7일 대전 둔산동에서 열린 윤석열대통령 탄핵소추안 가결 찬성집회에서 시민들이 피켓을 든 채 국회 중계를 지켜보고 있다. (사진=이성희 기자) |
이날 서울 국회의사당 앞에서 대규모 집회가 계획되면서 대전에서도 주최 단체가 서울로 원정을 나간 상황에서 학생과 가족, 나홀로 참가자만으로 2000여 명이 둔산동 은하수네거리에 운집했다. 오후 3시 400여 명에서 시작해 참가자들이 불어나며 경찰의 안전선은 6차례 확장됐고, 무대장치도 수시로 자리를 옮겨가며 늘어나는 참가자들이 앉을 자리를 마련했다.
윤 대통령의 탄핵소추안에 대한 찬반 투표가 이뤄지는 날이면서 주말을 맞아 10대 학생들과 가족 단위 참가자들이 종전 집회 때보다 더 눈에 띄었다. 자유발언 때 단산에 올라 마이크를 잡은 김영수(대전예고1·가명) 양은 "학교 수업에서 광주민주화운동을 배울 수 있도록 가르쳐주신 선생님께 감사한 마음이 들고, 21세기에 1980년대 잘못을 다시 반복하는 것을 목격하게 돼 시험을 앞두고 가만히 책상에 앉아만 있을 순 없었다"라며 "학생들이 팻말이 아닌 펜을 잡을 수 있도록 잘못된 역사를 바로잡아 달라"고 촉구했다.
7일 대전 서구 둔산동에서 학생과 가족단위 참가자들이 집회에 참가하고 있다. (사진=임병안 기자) |
강영미 대전참교육학부모회 대표는 자유발언에서 "10년 전 세월호 참사 때 2살 아이를 데리고 이곳 거리에서 집회를 참석했는데 그 아이가 이제 13살이 되었고 떳떳하고 안전한 사회를 남겨주고 싶다"라며 국회에서 책임 있는 조치를 요구했다.
오후 5시 40분께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 표결 직전 국민의힘 의원들이 단체로 본회의장에서 퇴장해 부결될 거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참석자들은 술렁이고, 손으로 가슴을 두드리는 이들도 있었다. 참여자들은 은하수네거리 인도와 도로 2차선까지 노상에 앉은 상태서 각자 휴대폰으로 국회 중계를 시청하다 김건희 여사 특검법 부결 결과를 받아든 후부터 하나둘씩 자리를 떠났다. 이날 집회는 오후 7시께 마무리됐다. 윤석열정권퇴진대전운동본부는 오는 9일부터 집회를 재개할 예정이다.
임병안 기자 victorylb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