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심기일전, 안중식의 <탑원도소회지도>

  • 오피니언
  • 여론광장

[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심기일전, 안중식의 <탑원도소회지도>

양동길/시인, 수필가

  • 승인 2024-12-20 12:31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원로 작가, 몇 대 작가, 대표 작가 등은 임의로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다. 공식적인 조직, 규정, 선정절차가 있는 것도 아니다. 전시회 또는 정리, 분류 등 때문에 편의상 만들어 지고, 임시로 붙여지기도 한다. '한국화 근대 6대가'란 말이 있다. 많이 사용되다보니 통설처럼 되었다. 1940년 조선미술관 창립 10주년 기념전 '십대산수풍경화전(十大山水風景畵展)'이 있었다. 여기에 출품했던 작가 중에 1971년 생존해 있던 6명이 신문회관 화랑에서 열린 '동양화 여섯분 전람회'에 참여한다. 이 전시회가 인사동에서도 열리게 되는데 전람회 명칭이 '동양화 6대가'로 바뀐다. 여기에서 유래된 말이다.

근대 한국화 6대가(大家)는 의제 허백련(毅齊 許百鍊, 1891~1977), 이당 김은호(以堂 金殷鎬, 1892~1979), 심향 박승무(深香 朴勝武, 1893~1980), 청전 이상범(靑田 李象範, 1897~1972), 심산 노수현(心汕 盧壽鉉, 1899~1978), 소정 변관식(小亭 卞寬植, 1899~1976)이다. 저마다 개성이 강하여 독특한 창작세계를 보여준다.

6대가 모두 소림 조석진(小琳 趙錫晋, 1853 ~ 1920)과 심전 안중식(心田 安中植, 1861 ~ 1919)으로부터 사사 받거나 깊이 연관이 있다. 소림과 심전 역시 인연이 깊다. 둘 다 조선의 마지막 도화서 화원이다. 1881년 신식 무기 제조법과 조련법을 배우기 위하여 중국으로 떠났던 영선사(領選使) 일행의 제도사(製圖士)로 발탁된다. 관비 유학으로 톈진(天津)에서 1년 동안 견문을 넓히고 돌아온다. 1902년 고종의 어진 도사(御眞圖寫) 화사(?師)로 함께 선발된다. 1911년 이왕가의 후원으로 설립된 서화미술원(書?美術院)에서 교수로 재직한다. 이곳에서 한국 근대 전통회화를 주도하는 많은 화가가 배출된다. 1919년 서화협회를 조직하여 초대회장은 심전이, 2대 회장엔 소림이 선출된다. 전통 회화와 근현대 회화의 가교역할을 한 것이다.

ehthd
안중식 <탑원도소회지도(塔園屠蘇會之圖)> 종이에 옅은 채색, 23.4 x 35.4cm,1912년, 간송미술관 소장
그림 한 점 감상해 보자. 1912년 심전이 위창 오세창(葦滄 吳世昌, 1864∼1953)에게 그려준 <탑원도소회지도(塔園屠蘇會之圖)>이다. 그림 좌측에 화제와 임자년(1912) 첫 날 밤에 원의 주인 위창을 위해 그렸다는 관지가 있다. 작품배경이 된 집 주인이 위창임을 밝히고 있다. 위창은 자기 집을 '탑원'이라 불렀다. 그의 집이 원각사(현 탑골공원) 근처에 있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망국이후 조선 지식인의 모습을 그린 거의 유일한 그림으로 알려져 있다. 이 자리는 위창이 안중식과 천도교 교주 손병희, 권동진, 최린 등을 초대한 도소주 모임이었다. 화폭엔 8명이 보인다. 나라 잃은 지식인과 예술가가 모여 울분을 토로한 자리라 이른다. 대부분 3·1운동 주도자여서 구국의 방안 모색이 주된 화제가 아니었을까 추측해 본다.



멀리 운무 속에 탑이 보인다. 원각사 10층 석탑(국보, 1962)의 상층부로 짐작된다. 밤안개 또는 물안개가 자욱한 뭔가 침울한 분위기다. 함께한 사람들이 호수 가장자리 누각에 놓인 간소한 주안상에 둘러앉았다. 일종의 아회도로서 기록 또는 기념하기 위한 것처럼 보이는 데, 탁월한 조형력으로 아름답게 승화시킨 것이 돋보인다. 호선형 구도나 농담에 의한 원근법도 근현대적이다.

오세창은 <만세보>, <대한민보>의 사장을 지낸 언론인이자 지식인으로 일본을 질타한다. 간송 전형필(澗松 全鎣弼, 1906 ~ 1962)과 손잡고 문화재 수집 및 보존에 앞장선 선각자이다. 전서, 예서에 뛰어난 서예가이기도 하며, 당대 최고의 서화 감식안으로 <근역서화징(槿域書畵徵)>과 <근역서휘(槿域書彙)>등을 저술했다. 안중식과 더불어 '서화가협회'를 창립, 전통 미술 보전을 위한 미술가 양성에도 일조했다. 3·1운동 때에는 민족대표 33인 가운데 한 명으로 활약했으며, 광복 후 미 군정청으로부터 조선왕조 국새를 인계받는 민족대표로 선정되었다.

도소주는 초백주(椒柏酒)와 함께 오래 전부터 세주(歲酒)로 썼던 술이다. 설날 아침에 차례를 지내고 마시는 약주이다. 마시면 괴질(怪疾)과 요사스럽고 사악한 기운(邪氣)을 물리치며 장수한다고 믿었다. 새로워지는 것이다.

관점에 따라 다르겠지만, 지금 벌어지고 있는 정치상황은 망국의 그때와 크게 다르지 않다. 대단히 심각하다. 세밑과 세시에 술자리가 대단히 많다. 흥청망청 보내자는 것은 아닐 것이다. 물론, 위기에 처했다고 모든 일상을 접을 필요는 없다. 그러나 새 희망으로 새해를 맞이하면 얼마나 좋으랴. 위안과 안정, 비전과 진로모색, 심기일전이 필요하다. 그러한 만남의 자리가 되기를 기대한다.

양동길/시인, 수필가

양동길
양동길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중·서구 새마을금고 파크골프 어울림 한마당 성황
  2. 청주시에 코스트코 입점한다
  3. 금강환경청, 논산 임화일반산단 조성 환경영향평가 '반려'
  4. 9월의 식물 '아스타', 세종호수·중앙공원서 만나보세요~
  5. 대산산단 산업위기대응지역 지정에도 '대기업들은 효과 글쎄'
  1. 대전 양성평등주간 기념식
  2. 찾아가는 복지서비스 '경로당 활성화 지원사업' 맞춤형 프로그램 마무리
  3. 한남대, 대전 소제동서 로컬 스타트업 Meet-up Day 개최
  4. 둔산경찰서, 기초질서 확립 교통안전 캠페인 실시
  5.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

헤드라인 뉴스


메가충청스퀘어 조성사업, 연내 첫 발 뗄 수 있을까

메가충청스퀘어 조성사업, 연내 첫 발 뗄 수 있을까

대전 도심융합특구의 중심 사업인 '메가충청스퀘어'가 연내 청신호가 켜질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정부의 공공기관 2차 이전이 초읽기에 들어감에 따라 대전 혁신도시에 자리한 '메가충청스퀘어 사업'의 차질 없는 추진이 중요해지고 있다. 3일 대전시에 따르면 메가충청스퀘어 조성 사업은 대전 역세권 동광장 일원에 연면적 22만 9500㎡, 지하 7층-지상 49층 규모로 컨벤션, 상업·주거시설, 호텔 등 주요 시설을 포함한 건물 2개 동을 짓는 사업이다. 대전역 동광장 일대를 중심으로 조성되는 대규모 복합 개발 프로젝트로 경제와 문화의 중심지로..

정부, 美 관세 피해기업 긴급경영자금 연말까지 13.6조 푼다
정부, 美 관세 피해기업 긴급경영자금 연말까지 13.6조 푼다

정부가 미국의 관세 조치로 피해를 입은 수출기업에 연말까지 13조6000억원 규모의 긴급경영자금을 공급한다. 대전·세종·충남의 경우 대미 수출기업은 1317곳으로 지역 전체의 30.2%를 차지하는 만큼, 상당수 기업이 수혜를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3일 관계부서 합동으로 경제관계장관회의 및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美 관세협상 후속 지원대책'을 발표했다. 앞서 정부는 미국과 관세협상을 통해 상호관세를 15% 수준으로 낮췄지만, 수출 하방 요인이 여전해 이번 지원대책을 마련했다. 통상환경 변화에 대응 여력과 자금력이..

이재명 대통령 취임 100일 기자회견 9월 11일 개최
이재명 대통령 취임 100일 기자회견 9월 11일 개최

이재명 대통령의 취임 100일 기자회견이 9월 11일 열린다. 이규연 대통령실 홍보소통수석은은 3일 오후 브리핑을 통해 “이재명 정부 출범 100일을 기념하는 기자회견을 개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올해 7월 3일 취임 한 달 기자회견을 진행한 이후 70일 만에 열리는 두 번째 회견이다. 회견의 슬로건은 '회복을 위한 100일, 미래를 위한 성장'으로, 90분간 민생·경제와 정치·외교안보, 사회·문화 등 세 분야로 진행하며, 150여 명의 내외신 기자가 참석할 예정이다. 이 수석은 "이 대통령은 이번 회견에서 미래 성장을 위한 정부..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

  • 2026학년도 수능 전 마지막 모의평가 2026학년도 수능 전 마지막 모의평가

  • 꼬마선비의 유생체험 꼬마선비의 유생체험

  • ‘5대 반칙운전 집중 단속합니다’ ‘5대 반칙운전 집중 단속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