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문객·매출액' 점유율 1% 미만...세종시 관광의 현주소

  • 정치/행정
  • 세종

'방문객·매출액' 점유율 1% 미만...세종시 관광의 현주소

본보, 한국관광공사 제공 자료로 2024년 한해 방문객 수, 매출액 등 분석
방문객 0.8%, 매출액 0.2%, 네비게이션 0.7% 점유율 기록
대형 유통점·레저 시설 부재 현실...수도권으로 돈과 사람 쏠림 뚜렷

  • 승인 2025-01-03 15:43
  • 이희택 기자이희택 기자
KakaoTalk_20250103_153641976_06
좌측부터 금강과 국회 세종의사당 예정지, 국립세종수목원, 중앙공원, 호수공원으로 이어지는 중앙녹지공간 전경.이 곳은 미래 행정수도 관광의 특화 영역으로 통한다. 사진=이희택 기자.
'행정수도 마이스(MICE) 관광', '야간 경제 관광', '호수·중앙공원·수목원·박물관 거점 관광', '정부청사 옥상정원 등의 정원 관광'.

세종특별자치시가 특화 관광 전략으로 고려해볼 만한 요소들이다. 2024년 관광 도시로서 현주소는 바닥을 면치 못했다.

한국관광공사가 제공한 한국관광데이터랩을 분석해보면, 앞으로 숙제가 무엇인지 보여준다.

2023년 12월~2024년 11월까지 1년간 방문객(내지+외지 KT) 점유율은 전국(120억여 명)의 0.8%(777만여 명)에 불과했다. 역시나 경기(24.1%)와 서울(17.9%), 인천(5.5%) 등 수도권 점유율이 47.5%로 압도적 수치를 보였다.



지방에선 경남이 6.3%, 부산과 경북이 각각 5.6%, 대구가 4.4%, 울산이 2%로 경상권(23.9%)이 우위를 보였고, 충남(4.6%)과 충북(3.3%), 대전(2.8%) 등 충청권 점유율은 11.7%에 그쳤다. 전라권은 전남(4.1%)과 전북(3.9%), 광주(2.6%), 제주(2.2%) 등 모두 12.8%로 집계됐고, 강원은 4.3%의 점유율을 보였다.

지역경제 활성화 지수로 볼 수 있는 매출액(전체 3.75조 원 규모) 점유율도 경기 22.4%, 서울 33.5%, 인천 4.7% 등 수도권에서 60.6%로 방문객 점유율을 크게 넘어섰다.

이처럼 돈과 사람이 수도권으로 쏠림 현상은 지방 소멸 가속화의 다른 말로 풀이된다.

지역에선 부산(7.8%)과 대구(4.7%), 경남(3.5%), 경북(2.6%), 울산(1.3%) 등 경상권이 19.9%로 후순위를 이었고, 대전(4.1%)과 충남(2.5%), 충남(2.1%) 등 충청권이 8.7%, 광주(2.3%), 전남과 제주(각 2%), 전북(1.6%) 등 전라권이 7.9%, 강원이 2.6%로 조사됐다. 세종은 대부분 식음료 매출 유형으로 0.2%에 머물렀다.

세종시가 코로나 19를 거치며 상권 공실 악화와 경기 침체, 역외 소비 증가 현상을 맞이한 현실을 여실히 보여준다.

2024년 1월부터 12월까지 네비게이션(티맵) 검색 건수(5억여 건)로도 세종은 0.7% 점유율에 머물렀다. 경기도(30.3%)와 서울(14.3%), 인천(7.1%), 강원(6.8%), 충남(5.3%), 부산(5.2%), 경남(5%), 경북(4.6%), 충북(3.5%), 전남(3.4%), 대구(3%), 제주(2.7%), 전북(2.6%), 대전(2.3%) 등의 순이다.

제목 없음
2024년 한해 세종시에서 가장 많은 네이게이션 검색이 이뤄진 장소 순위. 사진=한국관광공사 제공.
세종시의 주요 지점별 최대 네비게이션 검색 순위는 ▲조치원역(약 16만회) ▲국립세종수목원(8만여 회) ▲세종호수공원(8만여 회) ▲대평시장(7만여 회)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6만여 회) ▲전의면 세종에머슨CC(4.7만여 회) ▲조치원 세종전통시장(4만여 회) ▲부강역(3.6만여 회) ▲전동면 베어트리파크(3.6만여 회) ▲종촌동 CGV 세종(3.5만여 회) ▲전의면 레이캐슬CC(3.3만여 회) ▲메가박스 나성점(3.2만여 회) 등의 순위를 기록했다.

전국적으로 △인천공항(646만여 회) △김포공항(약 178만 회) △스타필드 하남(166만여 회) 광명역(152만여 회) △스타필드 수원(147만여 회) △스타필드 고양(135만여 회) △현대프리미엄아울렛 김포점(104만여 회) △더현대 서울(93만여 회) △현대백화점 판교점(92만여 회) △서울역(91만여 회) △에버랜드(89만여 회) 등 주요 교통·유통·레저 시설 중심으로 방문이 잦았다. 아울렛이나 백화점 등 대형 쇼핑몰과 놀이공원 하나 없는 세종시 현실이 대조를 이뤘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KakaoTalk_20250103_153641976_01
2025년 세종시는 새로운 도약의 한해를 맞이할 수 있을까. 사진은 전월산 정상에서 본 1월 1일 일출 전경. 사진=이희택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청주시에 코스트코 입점한다
  2. 금강환경청, 논산 임화일반산단 조성 환경영향평가 '반려'
  3. 한남대, 대전 소제동서 로컬 스타트업 Meet-up Day 개최
  4. 둔산경찰서, 기초질서 확립 교통안전 캠페인 실시
  5. 대전성모병원 홍유아 교수, 최적화된 신장질환 치료 전략 제시
  1. 대전경찰, 보이스피싱에 속은 20대 9000만 원 송금 막아
  2. PBS 폐지 넘어 과제 산적… 기관장 선임 절차 개선 목소리
  3.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
  4. 2026학년도 수능 전 마지막 모의평가
  5. 충남대 ‘1+3 학부 위탁 교육 외국인 신입생 간담회’ 개최

헤드라인 뉴스


"李정부, 공공기관 이전 다행"… 여당 앞 달라진 김태흠 지사 왜?

"李정부, 공공기관 이전 다행"… 여당 앞 달라진 김태흠 지사 왜?

이재명 정부 출범 후 4일 국회도서관에서 처음 열린 국회의원 초청 정책설명회. 김태흠 충남도지사의 언행은 확연히 달랐다 집권당인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의 발언에 야당이 된 국힘 소속의 김 지사는 시종일관 진지한 태도로 공감을 표하면서 실·국장들 향해 국회의원 지역구인 시·군의 현안사업을 적극 지원하라는 말을 여러 차례 쏟아냈다. 특히 공공기관 2차 이전과 관련해선, “이재명 정부가 들어서서 다행”이라고 했고, 국립치의학연구원 공모 움직임에 대해선 “국힘은 힘이 없다. 민주당이 나서달라”는 말을 하기도 했다. 충남도 정책설명회는 올해 3..

꿈돌이 컵라면 5일 출시... 도시캐릭터 마케팅 `탄력`
꿈돌이 컵라면 5일 출시... 도시캐릭터 마케팅 '탄력'

출시 3개월여 만에 80만 개가 팔린 꿈돌이 라면의 인기에 힘입어 '꿈돌이 컵라면'이 5일 출시된다. 4일 대전시에 따르면 '꿈돌이 컵라면'은 매콤한 스프로 반응이 좋았던 쇠고기맛으로 우선 출시되며 가격은 개당 1900원이다. 제품은 대전역 3층 '꿈돌이와 대전여행', 꿈돌이하우스, 트래블라운지, 신세계백화점 대전홍보관, GS25 등 주요 판매처에서 구매할 수 있다. 출시 기념 이벤트는 12일부터 14일까지 3일간 유성구 도룡동 엑스포과학공원 내 꿈돌이하우스 2호점에서 열린다. 행사 기간 ▲신제품 시식 ▲꿈돌이 포토존 ▲이벤트 참여..

서산 A 중학교 남 교사, `학생 성추행·성희롱` 의혹, 경찰 조사 중
서산 A 중학교 남 교사, '학생 성추행·성희롱' 의혹, 경찰 조사 중

충남 서산의 한 중학교에서 남성 교사 A씨가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개월간 성추행과 성희롱을 했다는 고소장이 접수돼 경찰이 수사 중이다. 일부 피해 학생 학부모들은 올해 학기 초부터 해당 교사가 학생들을 대상으로 반복된 부적절한 언행과 과도한 신체접촉을 주장하며, 학교에 즉각적인 교사 분리 조치를 요구했다. 이에 학교 측은 사건이 접수 된 후, A씨를 학생들과 분리 조치하고, 자체 조사 및 3일 이사회를 개최해 직위해제하고 학생들과의 접촉을 완전히 차단했으며, 이어 학교장 명의의 사과문을 누리집에 게시했다. 학교 측은 "서산교육지원청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병입 수돗물 싣고 강릉으로 떠납니다’ ‘대전 병입 수돗물 싣고 강릉으로 떠납니다’

  • ‘푸른 하늘, 함께 만들어가요’ ‘푸른 하늘, 함께 만들어가요’

  •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

  • 2026학년도 수능 전 마지막 모의평가 2026학년도 수능 전 마지막 모의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