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문객·매출액' 점유율 1% 미만...세종시 관광의 현주소

  • 정치/행정
  • 세종

'방문객·매출액' 점유율 1% 미만...세종시 관광의 현주소

본보, 한국관광공사 제공 자료로 2024년 한해 방문객 수, 매출액 등 분석
방문객 0.8%, 매출액 0.2%, 네비게이션 0.7% 점유율 기록
대형 유통점·레저 시설 부재 현실...수도권으로 돈과 사람 쏠림 뚜렷

  • 승인 2025-01-03 15:43
  • 이희택 기자이희택 기자
KakaoTalk_20250103_153641976_06
좌측부터 금강과 국회 세종의사당 예정지, 국립세종수목원, 중앙공원, 호수공원으로 이어지는 중앙녹지공간 전경.이 곳은 미래 행정수도 관광의 특화 영역으로 통한다. 사진=이희택 기자.
'행정수도 마이스(MICE) 관광', '야간 경제 관광', '호수·중앙공원·수목원·박물관 거점 관광', '정부청사 옥상정원 등의 정원 관광'.

세종특별자치시가 특화 관광 전략으로 고려해볼 만한 요소들이다. 2024년 관광 도시로서 현주소는 바닥을 면치 못했다.



한국관광공사가 제공한 한국관광데이터랩을 분석해보면, 앞으로 숙제가 무엇인지 보여준다.

2023년 12월~2024년 11월까지 1년간 방문객(내지+외지 KT) 점유율은 전국(120억여 명)의 0.8%(777만여 명)에 불과했다. 역시나 경기(24.1%)와 서울(17.9%), 인천(5.5%) 등 수도권 점유율이 47.5%로 압도적 수치를 보였다.



지방에선 경남이 6.3%, 부산과 경북이 각각 5.6%, 대구가 4.4%, 울산이 2%로 경상권(23.9%)이 우위를 보였고, 충남(4.6%)과 충북(3.3%), 대전(2.8%) 등 충청권 점유율은 11.7%에 그쳤다. 전라권은 전남(4.1%)과 전북(3.9%), 광주(2.6%), 제주(2.2%) 등 모두 12.8%로 집계됐고, 강원은 4.3%의 점유율을 보였다.

지역경제 활성화 지수로 볼 수 있는 매출액(전체 3.75조 원 규모) 점유율도 경기 22.4%, 서울 33.5%, 인천 4.7% 등 수도권에서 60.6%로 방문객 점유율을 크게 넘어섰다.

이처럼 돈과 사람이 수도권으로 쏠림 현상은 지방 소멸 가속화의 다른 말로 풀이된다.

지역에선 부산(7.8%)과 대구(4.7%), 경남(3.5%), 경북(2.6%), 울산(1.3%) 등 경상권이 19.9%로 후순위를 이었고, 대전(4.1%)과 충남(2.5%), 충남(2.1%) 등 충청권이 8.7%, 광주(2.3%), 전남과 제주(각 2%), 전북(1.6%) 등 전라권이 7.9%, 강원이 2.6%로 조사됐다. 세종은 대부분 식음료 매출 유형으로 0.2%에 머물렀다.

세종시가 코로나 19를 거치며 상권 공실 악화와 경기 침체, 역외 소비 증가 현상을 맞이한 현실을 여실히 보여준다.

2024년 1월부터 12월까지 네비게이션(티맵) 검색 건수(5억여 건)로도 세종은 0.7% 점유율에 머물렀다. 경기도(30.3%)와 서울(14.3%), 인천(7.1%), 강원(6.8%), 충남(5.3%), 부산(5.2%), 경남(5%), 경북(4.6%), 충북(3.5%), 전남(3.4%), 대구(3%), 제주(2.7%), 전북(2.6%), 대전(2.3%) 등의 순이다.

제목 없음
2024년 한해 세종시에서 가장 많은 네이게이션 검색이 이뤄진 장소 순위. 사진=한국관광공사 제공.
세종시의 주요 지점별 최대 네비게이션 검색 순위는 ▲조치원역(약 16만회) ▲국립세종수목원(8만여 회) ▲세종호수공원(8만여 회) ▲대평시장(7만여 회)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6만여 회) ▲전의면 세종에머슨CC(4.7만여 회) ▲조치원 세종전통시장(4만여 회) ▲부강역(3.6만여 회) ▲전동면 베어트리파크(3.6만여 회) ▲종촌동 CGV 세종(3.5만여 회) ▲전의면 레이캐슬CC(3.3만여 회) ▲메가박스 나성점(3.2만여 회) 등의 순위를 기록했다.

전국적으로 △인천공항(646만여 회) △김포공항(약 178만 회) △스타필드 하남(166만여 회) 광명역(152만여 회) △스타필드 수원(147만여 회) △스타필드 고양(135만여 회) △현대프리미엄아울렛 김포점(104만여 회) △더현대 서울(93만여 회) △현대백화점 판교점(92만여 회) △서울역(91만여 회) △에버랜드(89만여 회) 등 주요 교통·유통·레저 시설 중심으로 방문이 잦았다. 아울렛이나 백화점 등 대형 쇼핑몰과 놀이공원 하나 없는 세종시 현실이 대조를 이뤘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KakaoTalk_20250103_153641976_01
2025년 세종시는 새로운 도약의 한해를 맞이할 수 있을까. 사진은 전월산 정상에서 본 1월 1일 일출 전경. 사진=이희택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경기 프리미엄버스 P9603번 운행개시
  2. [기획] 의정부시, 우리동네 정책로드맵 ‘장암동편’
  3. 유성복합터미널 3개사 공동운영체 출범…터미널·정류소 흡수·통합 본격화
  4. 첫 대전시청사 복원활용 탄력 붙는다
  5. 누리호 4차 발사 D-4… 국민 성공기원 분위기 고조
  1. '세종시=행정수도' 진원지, 국가상징구역...공모작 살펴보니
  2. 충남도 청렴 파트너 '제8기 도민감사관' 출범
  3. 헌법파괴 비윤리적 2025 인구주택총조사 국가데이터처 규탄 기자회견
  4. 홀트대전한부모가족복지상담소, 대전아동기관단체와 협약
  5. 온새미로 봉사단과 함께하는 사랑의 소규모 집수리

헤드라인 뉴스


대출에 짓눌린 대전 자영업계…폐업률 6대 광역시 중 두번째

대출에 짓눌린 대전 자영업계…폐업률 6대 광역시 중 두번째

대전지역 자영업자들이 극심한 불황을 견디지 못하고 잇따라 폐업의 길로 내몰리고 있다. 특히 도소매업의 경우 대출 증가와 폐업률 상승이 두드러지면서, 이들을 위한 금융 리스크 관리와 맞춤형 정책 지원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24일 한국은행 대전세종충남본부가 발표한 '대전지역 자영업 현황 및 잠재 리스크 점검'에 따르면 2025년 2분기 기준 대전지역 자영업자 수는 15만 3000명으로 집계됐다. 2023년 이후 감소세를 보인 다른 광역시와 달리 대전의 자영업 규모는 오히려 확대되는 추세다. 전체 취업자 수 대비 자영업자가 차..

갑천에서 18홀 파크골프장 무단조성 물의… 대전시, 체육단체장 경찰 고발
갑천에서 18홀 파크골프장 무단조성 물의… 대전시, 체육단체장 경찰 고발

대전 유성구파크골프협회가 맹꽁이와 삵이 서식하는 갑천 하천변에서 사전 허가 없이 골프장 조성 공사를 강행하다 경찰에 고발당했다. 스프링클러를 설치하고 나무를 심으려 굴착기를 동원해 임의로 천변을 파내는 중에 경찰이 출동해 공사가 중단됐는데, 협회에서는 이곳이 근린친수구역으로 사전 하천점용허가가 없어도 되고 불법도 아니라는 입장이다. 24일 대전시하천관리사업소와 대전충남녹색연합에 따르면, 유성구 탑립동 용신교 일대의 갑천변에서 11월 15일부터 17일까지 굴착기가 땅을 헤집는 공사가 이뤄졌다. 대덕테크노밸리에서 대덕구 상서동으로 넘어..

세종 도시재생 `컨트롤타워` 생긴다… 본보 지적에 후속대책
세종 도시재생 '컨트롤타워' 생긴다… 본보 지적에 후속대책

<속보>=세종시 도시재생사업을 총괄 운영할 '컨트롤타워'가 내년 상반기 내 설립될 예정이다. 국비 지원 중단 등 재정난 속 17개 주민 거점시설에 대한 관리·운영 부실 문제를 지적한 중도일보 보도에 후속 대책을 내놓은 것이다. <중도일보 11월 19일자 4면 보도> 세종시는 24일 오전 10시 기자간담회를 통해 도시재생 사업의 주민 거점시설 운영 현황과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본보는 10년 차 세종시 도시재생 사업을 추진하는 광역도시재생지원센터와 현장지원센터 5곳이 폐쇄한 작금의 현실을 고발하며, 1000억 원에 달하는 혈세 투입..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주렁주렁 ‘감 따기’ 주렁주렁 ‘감 따기’

  • 대전 불꽃쇼 기간 도로 통제 안내 대전 불꽃쇼 기간 도로 통제 안내

  •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