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국태민안, 심사정의 <묵모란도>

  • 오피니언
  • 여론광장

[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국태민안, 심사정의 <묵모란도>

  • 승인 2025-01-10 13:49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학창시절 민속학 수업의 일환으로 무속 조사에 참여한 일이 있다. 당굿으로 기억되는데 당집에서 1박 2일 동안 진행되었다. 지금같이 영상도구가 흔치 않았던 시절이라 소리 녹음만 했다. 법당, 마당, 부엌, 장독대 등을 돌며 행해지는 무가 또는 축원이 대부분이다.

제일 많이 등장하는 단어가 대길대덕(大吉大德), 국태민안(國泰民安)이었다. 대길대덕은 개인에 대한 기원으로, 무병장수(無病長壽), 자손번창(子孫繁昌)등과 함께 등장한다. 국태민안과 함께 시화연풍(時和年豊), 태평성대(太平聖代) 등도 많이 들린다. 믿음체계가 아닌 문화적, 의식적 측면을 살펴보자. 대길대덕은 기복 신앙적 측면이 있지만, 국태민안은 지향점이 다르다. 공동체 의식이다. 상부상조의 아름다운 정신이다. 개인보다 전체를 생각하는 대의와 배려의 미덕이다. 무속뿐 아니라 각종 기원제, 대부분의 세시풍속과 민속놀이에 빠짐없이 등장한다.

조선왕조실록 등 왕가의 문서에도 국태민안과 그와 유사한 말이 수없이 회자된다. 통치이념 역시 다르지 않았기 때문이다. 나라가 태평하고 백성이 편안한 것이 염원이요, 우리가 추구해온 이상향의 하나란 말이다.

국태민안은 행복의 기본 조건이다. 나라가 혼란하고 개인이 불안한데 그 무엇으로 행복이 가능해지랴. 인간적 고통 없이 만족감을 느끼며 살고 싶은 것은 불문가지다. 때문에 오늘날 국가들 역시 행복 추구의 권리를 법으로 보장하고 있다. 그를 행복 추구권이라 한다. 우리 헌법 제10조는 "모든 국민은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가지며, 행복을 추구할 권리를 가진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가 전하는 헌법재판소가 구체화한 내용은 이렇다. "행복추구권은 행복을 실현 내지 추구할 수 있는 권리로서, 자기가 추구하는 행복관념에 따라 생활하는 것도 포함하며, 쾌적한 환경 속에서 살 권리, 행복한 사회적·경제적 생활을 할 권리로서, 개개의 구체적 권리로는 생명권, 신체의 자유, 정신적·문화적·기술적 창조의 보호, 인간 고유의 개인적 영역에서의 권리(명예권·성명권·초상권 등), 자유로운 생활 영위, 생존권 등이다." 이러한 행복추구권 행사의 전제 조건이 국태민안이란 말이다.

국태민안의 기원 또는 상징하는 꽃으로 '모란'이 소환된다. 모란은 '화왕(花王)', '부귀화(富貴花)'로 불린다. 크고 풍성하며 아름다워서 부귀영화의 상징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소망과 희망의 표현인 한편 복과 덕으로 보기도 하였다. 왕가에서는 본래의 의미를 뛰어넘어 국태민안, 태평성대의 상징으로 병풍을 만들어 중요 의례에 사용하였다. 신분에 관계없이 활용되어, 원삼, 활옷 등의 의상과 침구, 병풍 등에 그려졌다.

그림은 현재 심사정(玄齋 沈師正, 1707 ~ 1769, 화가)의 <묵모란도>이다. 현재는 겸재 정선에게 그림을 배운 문인화가이다. 문인화가 이면서도 가문의 상황 때문에 그림에만 몰두한, 요즘말로 전업 작가이다. 남종화풍을 수용하여 자신만의 화풍을 구축하고 정착시켰다.

묵모란도
<묵모란도>, 심사정(1706~1769), 1767, 종이에 수묵, 136.4×58.2cm, 국립중앙박물관
모란 두 송이가 먼저 눈에 들어온다. 몰골 발묵법으로 그린 농담만으로 꽃잎에서 풍성함과 화사함이 느껴지는 빼어난 그림이다. 줄기와 잎을 따라 위쪽으로 향하면 봉오리가 하나 있다. 그 위쪽으로 목련 가지가 이어지고, 목련꽃 사이에서 새 한 마리가 노래하고 있다. 마치 태평가를 부르는 듯하다. 모란꽃송이 아래에는 바위와 난초가 있다. 세련되고 절제된 품격이 아름답게 다가온다. 오른편에 "정해년 겨울 먹으로 놀다. 현재(丁亥冬墨戱 玄齋)"란 관지가 있어, 말년인 1767년 겨울에 그렸음을 알 수 있다.

우리는 전통적으로 자연 또는 세상의 일부라는 인식이 강하다. 어울림이 아름다운 삶의 근간임을 체득하고 있다. 어디서고 국태민안을 기원하는 이유다. 혼자서 행복하기는 어렵다. 함께하면 행복이 배가된다. 그런데, 정치가 국태민안을 깨고 있다. 자리싸움에만 몰두하며 국민의 행복추구권을 짓밟고 있다. 어떻게 해야 국태민안이 될지, 모든 가치판단의 기준으로 삼기 바란다.

양동길/시인, 수필가

양동길
양동길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갑천 야경즐기며 워킹' 대전달빛걷기대회 5월 10일 개막
  2. 수도 서울의 높은 벽...'세종시=행정수도' 골든타임 놓치나
  3. 충남 미래신산업 국가산단 윤곽… "환황해권 수소에너지 메카로"
  4. 이상철 항우연 원장 "한화에어로 지재권 갈등 원만하게 협의"
  5. [근로자의 날] 작업복에 묻은 노동자 하루…"고된 흔적 싹 없애드려요"
  1. 충청권 학생 10명 중 3명이 '비만'… 세종 비만도 전국서 가장 낮아
  2. 대학 10곳중 7곳 올해 등록금 올려... 평균 710만원·의학계열 1016만원 ↑
  3.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
  4. [춘하추동]삶이 힘든 사람들을 위하여
  5. 2025 세종 한우축제 개최...맛과 가격, 영양 모두 잡는다

헤드라인 뉴스


[근로자의 날] 작업복에 묻은 노동자 하루…"고된 흔적 싹 없애드려요"

[근로자의 날] 작업복에 묻은 노동자 하루…"고된 흔적 싹 없애드려요"

"이제는 작업복만 봐도 이 사람의 삶을 알 수 있어요." 28일 오전 9시께 매일 고된 노동의 흔적을 깨끗이 없애주는 세탁소. 커다란 세탁기 3대가 쉴 틈 없이 돌아가고 노동자 작업복 100여 벌이 세탁기 안에서 시원하게 묵은 때를 씻어낼 때, 세탁소 근로자 고모(53)씨는 이같이 말했다. 이곳은 대전 대덕구 대화동에서 4년째 운영 중인 노동자 작업복 전문 세탁소 '덕구클리닝'. 대덕산업단지 공장 근로자 등 생산·기술직 노동자들이 이용하는 곳으로 일반 세탁으로는 지우기 힘든 기름, 분진 등으로 때가 탄 작업복을 대상으로 세탁한다...

`운명의 9연전`…한화이글스 선두권 경쟁 돌입
'운명의 9연전'…한화이글스 선두권 경쟁 돌입

올 시즌 절정의 기량을 선보이는 프로야구 한화이글스가 9연전을 통해 리그 선두권 경쟁에 돌입한다. 한국프로야구 10개 구단은 29일부터 다음 달 7일까지 '휴식 없는 9연전'을 펼친다. KBO리그는 통상적으로 잔여 경기 편성 기간 전에는 월요일에 경기를 치르지 않지만, 5월 5일 어린이날에는 프로야구 5경기가 편성했다. 휴식일로 예정된 건 사흘 후인 8일이다. 9연전에서 가장 주목하는 경기는 29일부터 5월 1일까지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리는 LG 트윈스와 승부다. 리그 1위와 3위의 맞대결인 만큼, 순위표 상단이 한순간에 뒤바..

학교서 흉기 난동 "학생·학부모 불안"…교원단체 "재발방지 대책"
학교서 흉기 난동 "학생·학부모 불안"…교원단체 "재발방지 대책"

학생이 교직원과 시민을 상대로 흉기 난동을 부리고, 교사가 어린 학생을 살해하는 끔찍한 사건이 잇따라 발생하면서 학생·학부모는 물론 교사들까지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경찰과 충북교육청에 따르면 28일 오전 8시 33분쯤 청주의 한 고등학교에서 특수교육대상 2학년 A(18) 군이 교장을 비롯한 교직원 4명과 행인 2명에게 흉기를 휘둘러 A 군을 포함한 모두 7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경계성 지능을 가진 이 학생은 특수교육 대상이지만, 학부모 요구로 일반학급에서 공부해 왔다. 가해 학생은 사건 당일 평소보다 일찍 학교에 도착해 특..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2025 유성온천 문화축제 5월 2일 개막 2025 유성온천 문화축제 5월 2일 개막

  • 오색 연등에 비는 소원 오색 연등에 비는 소원

  • ‘꼭 일하고 싶습니다’ ‘꼭 일하고 싶습니다’

  •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