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기연 이동윤(가운데) 박사팀이 겨울철 전기차의 온돌형 난방을 실현하는 고효율 고유연 '금속섬유천 면상 발열체' 기술을 개발했다. 전기연 제공 |
한국전기연구원(KERI·이하 전기연)은 전기변환소재연구센터 이동윤 박사팀이 전기차 단점을 보완하는 고효율·고유연 금속섬유천 면상 발열체 기술을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배터리 최적 동작은 20~40도로, 적정 온도보다 높거나 낮으면 성능이 떨어진다. 미국환경보호청에 따르면 영하 7도에서 전기차의 전비는 34% 떨어져 상온보다 57%가량 줄어든다. 이를 조절하기 위해 가열이나 냉각이 이뤄지다 보면 전기가 에너지가 더 소모될 수밖에 없다. 일반 내연기관차량은 엔진 폐열을 열원으로 난방 등 실내 온도를 조절하지만 전기차는 폐열이 부족해 히터 등 별도 시스템이 필요하다.
이동윤 박사 연구팀은 전기차 성능 향상을 위한 열 관리 시스템으로 과거 옷감형 태양전지, 발열 의류 기술 개발을 노하우로 활용해 금속섬유천 면상 발열체 기술을 고안했다. 높은 열 전도성과 내구성의 실로 가느다란 스테인리스강 미세 와이어(SUS316L)을 제직해 천을 만들고 이것을 발열체로 적용될 수 있도록 세부기술을 복합적으로 적용했다. 여기에 전기를 흘리면 금속이 가진 내부저항에 의해 최대 500도까지 발열이 일어나는 구조다.
금속섬유천은 선이 아닌 면 형태를 가져 온열 기능에 고른 온도 분포를 보이고 유연성도 뛰어나 차량 내부 곡면 어디서도 손쉽게 부착할 수 있다. 같은 양의 전기를 발열체를 흘렸을 때보다 기존 열선 방식 대비 금속섬유천이 10~30% 높은 발열 성능을 보여 효율 측면에서도 우수하다. 단선이나 부분 손상에서도 성능을 유지하며 안정적으로 발열하는 것도 장점이다.
![]() |
차량용 카시트에 적용된 금속섬유천. KERI 기술은 기존 선(line)이 아닌 넓은 면(space)의 형태를 가져 발열 효율이 높, 단선이나 부분 손상이 발생해도 성능을 유지한다. 전기연 제공 |
![]() |
겨울철 전기차 온돌형 난방을 실현하는 KERI '금속섬유천 면상 발열체. |
이 기술은 전기차뿐 아니라 반도체 생산 장비와 화학 플랜트 배관, 기계 발열장치 등 제조업과 안마의자, 전기담요, 레저용 난방기 등 생활용, 의료용, 군용 등 균등한 발열이 필요한 다수 산업군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동윤 전기연 박사는 "금속섬유는 실과 달리 뻣뻣해 직조가 매우 어려웠는데 직물 생산·가공 업체인 (주)송이실업과 형버해 오랜 노력 끝에 금속섬유 전용 직조기 그리고 제직 패턴을 개발할 수 있었다"며 "금속섬유만으로 면 형태의 발열체를 제작한 건 세계 최초다. 우리 성과를 통해 기업들의 에너지 비용 절감과 범국가적 탄소중립 실현까지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임효인 기자
![]()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