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이인로의 시 <속행로난>과 김홍도 그림 <동강조어>

  • 오피니언
  • 여론광장

[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이인로의 시 <속행로난>과 김홍도 그림 <동강조어>

  • 승인 2025-01-24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광무제(BC4 ~ AD57, 재위 25 ~ 57)는 중국 후한 창업으로 한을 재건한 황제다. 동한이라고도 부르는데, 23년 왕망을 격파하고 수도를 동쪽으로 이동했기 때문이다. 위업이 가능했던 것은 덕장인 광무제 자신에게도 있겠지만, 휘하에 훌륭한 신하가 많았기 때문이리라.

광무제에게 호양 공주(湖陽公主)라는 미망인 누이가 있었는데, 은근히 송홍(宋弘)이라는 신하를 흠모했다. 공주의 눈에 위풍당당한 용모와 덕에 넘치는 기품이 돋보였던 모양이다. 광무제가 알아채고 둘의 연을 맺어주려 한다. 어느 날 송홍이 입궐하자, 아내를 바꿔보는 것은 어떠냐며 의사를 떠본다. 김희영 저 <이야기 중국사>에 의하면 송홍이 이렇게 말한다. "소신의 어리석은 생각으로는 가난할 때 사귄 친구는 잊어서는 안 되며, 구차하고 천할 때 고생을 같이 하던 아내는 절대로 내쳐서는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 황제가 처남매부 되자 청하는데 근엄하고 완곡하게 거부한 것이다. '빈천지교(貧賤之交)는 불가망(不可忘)이요, 조강지처(糟糠之妻)는 불하당(不下堂)'이란 말이 여기에서 유래했다 한다.

어진 인재가 수없이 등장하지만, 한 사람만 더 살펴보자. 처사(處士) 엄광(嚴光, BC.39-AD.41) 이야기다. 엄광은 광무제와 어려서 동문수학한 죽마고우이다. 광무제의 창업에 적잖이 기여했지만, 황제에 오르자 홀연히 사라졌다. 수소문 끝에 어렵게 찾아, 삼고초려 끝에 데려왔다. 광무제가 "이 사람 엄광이, 나를 도와주지 않을 텐가. 서로 돕는 게 의리가 아니겠는가?" 엄광은 눈을 크게 부릅뜨고 광무제를 노려보며 말했다. "자네는 옛날 요임금 때 소부(巢父)가 귀를 씻었다는 고사를 들어보지도 못했는가? 선비에게는 굽힐 줄 모르는 뜻이 있는 것일세. 나를 귀찮게 하지 말아 주게." 광무제가 간의대부(諫議大夫)를 제수했으나, 집으로 돌아가 농사와 낚시로 세월을 보냈으며, 이후 부춘산에 들어가 은거하며 일생을 마쳤다. 한나라 때 청절(淸節)의 선비가 많이 나온 것은 엄광의 이 같은 뜻을 본받은 데서 연유한 것이라 한다.

공의 유무, 크기에 따라서 알맞게 포상하는 것이 논공행상이다. 물론, 논공행상보다 더 중요하고 우선해야 하는 것이 인재등용이다. 진지한 검증을 통해 발탁하고 적재적소에 배치, 능력을 백분 발휘 할 수 있도록 뒷바라지해야 한다. 전문성, 능력도 없으면서 엉터리 공이나 허울로 한 자리 차지하려는 요즘 세태와 비교하면 얼마나 신선한가? 두고두고 귀감이 되었던 모양이다.



그림
김홍도, <동강조어>, 지본담채, 111.9 × 52.6cm, 보물 제1971호, 간송미술관
이인로(李仁老, 1152 ~ 1220, 고려시대 시인)는 임춘(林椿) · 오세재(吳世才) 등과 어울려 시와 술을 즐겼으며, 세칭 '죽림고회(竹林高會)'를 이루어 활동하였다. 스스로도 문학역량에 대한 자부심이 대단하였지만, 크게 쓰이지 못해 종종 한탄했다. <속행로난(續行路難, 세상살이 어려움을 잇다)>이란 시가 있다. 2수는 지신의 능력을 알아주지 못하는 세상에 대한 한탄이 담겨있지만, 1수와 3수에서는 깨끗하고 고고한 삶을 노래한다. 그 본보기로 엄광을 호출한다. 자릉은 엄광의 자이다. 1수만 옮겨 본다. "산에 올라 성난 호랑이 수염 건들지 말고 / 바다에 가서 잠자는 용의 구슬 탐내지 마라 / 사람이 한가할 땐 지척이 천리처럼 느껴지고 / 태산준령도 토담길처럼 느껴질 때가 있다 / 나라끼리 사소한 일로 서로 싸워 소란한데 / 갈림길 너무 많아 양주(楊朱)도 눈물지었지 / 그대는 보지 못했는가, 엄자릉이 광무제 오히려 업신여기며 / 칠리탄 기슭에서 낚시질만 한 것을"

다양한 형태의 고사인물도도 많이 그려진다. 김홍도(金弘道, 1745 ~ 1806 조선 도화서 화원) 의 <삼공환불도(三公不換圖)>도 이 고사가 소재이다. 대자연 벗 삼아 유유자적하는 것을 삼공벼슬과 바꿀 수 없다는 것이다. 그림은 같은 소재의 김홍도 작 <동강조어(東江釣魚)>이다.

상부와 하부가 나뉘어져 있다. 사이에 큰 여백이 있어 이색적이다. 상하의 나무가 같은 크기인데다 심원법으로 그려져 심산유곡이 바로 눈앞에 있고, 사람이 아주 먼 아래에 있는 것 같다. 낚싯대 떠난 눈길 역시 고기 낚는 것과 거리가 멀다. 물아일체의 경지가 절로 느껴진다.

양동길/시인, 수필가

양동길-최종
양동길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갑천 야경즐기며 워킹' 대전달빛걷기대회 5월 10일 개막
  2. 수도 서울의 높은 벽...'세종시=행정수도' 골든타임 놓치나
  3. 충남 미래신산업 국가산단 윤곽… "환황해권 수소에너지 메카로"
  4. 이상철 항우연 원장 "한화에어로 지재권 갈등 원만하게 협의"
  5. [근로자의 날] 작업복에 묻은 노동자 하루…"고된 흔적 싹 없애드려요"
  1. 충청권 학생 10명 중 3명이 '비만'… 세종 비만도 전국서 가장 낮아
  2. 대학 10곳중 7곳 올해 등록금 올려... 평균 710만원·의학계열 1016만원 ↑
  3.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
  4. [춘하추동]삶이 힘든 사람들을 위하여
  5. 2025 세종 한우축제 개최...맛과 가격, 영양 모두 잡는다

헤드라인 뉴스


[근로자의 날] 작업복에 묻은 노동자 하루…"고된 흔적 싹 없애드려요"

[근로자의 날] 작업복에 묻은 노동자 하루…"고된 흔적 싹 없애드려요"

"이제는 작업복만 봐도 이 사람의 삶을 알 수 있어요." 28일 오전 9시께 매일 고된 노동의 흔적을 깨끗이 없애주는 세탁소. 커다란 세탁기 3대가 쉴 틈 없이 돌아가고 노동자 작업복 100여 벌이 세탁기 안에서 시원하게 묵은 때를 씻어낼 때, 세탁소 근로자 고모(53)씨는 이같이 말했다. 이곳은 대전 대덕구 대화동에서 4년째 운영 중인 노동자 작업복 전문 세탁소 '덕구클리닝'. 대덕산업단지 공장 근로자 등 생산·기술직 노동자들이 이용하는 곳으로 일반 세탁으로는 지우기 힘든 기름, 분진 등으로 때가 탄 작업복을 대상으로 세탁한다...

`운명의 9연전`…한화이글스 선두권 경쟁 돌입
'운명의 9연전'…한화이글스 선두권 경쟁 돌입

올 시즌 절정의 기량을 선보이는 프로야구 한화이글스가 9연전을 통해 리그 선두권 경쟁에 돌입한다. 한국프로야구 10개 구단은 29일부터 다음 달 7일까지 '휴식 없는 9연전'을 펼친다. KBO리그는 통상적으로 잔여 경기 편성 기간 전에는 월요일에 경기를 치르지 않지만, 5월 5일 어린이날에는 프로야구 5경기가 편성했다. 휴식일로 예정된 건 사흘 후인 8일이다. 9연전에서 가장 주목하는 경기는 29일부터 5월 1일까지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리는 LG 트윈스와 승부다. 리그 1위와 3위의 맞대결인 만큼, 순위표 상단이 한순간에 뒤바..

학교서 흉기 난동 "학생·학부모 불안"…교원단체 "재발방지 대책"
학교서 흉기 난동 "학생·학부모 불안"…교원단체 "재발방지 대책"

학생이 교직원과 시민을 상대로 흉기 난동을 부리고, 교사가 어린 학생을 살해하는 끔찍한 사건이 잇따라 발생하면서 학생·학부모는 물론 교사들까지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경찰과 충북교육청에 따르면 28일 오전 8시 33분쯤 청주의 한 고등학교에서 특수교육대상 2학년 A(18) 군이 교장을 비롯한 교직원 4명과 행인 2명에게 흉기를 휘둘러 A 군을 포함한 모두 7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경계성 지능을 가진 이 학생은 특수교육 대상이지만, 학부모 요구로 일반학급에서 공부해 왔다. 가해 학생은 사건 당일 평소보다 일찍 학교에 도착해 특..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2025 유성온천 문화축제 5월 2일 개막 2025 유성온천 문화축제 5월 2일 개막

  • 오색 연등에 비는 소원 오색 연등에 비는 소원

  • ‘꼭 일하고 싶습니다’ ‘꼭 일하고 싶습니다’

  •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