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통영시 해양안전 거점 도시로 도약 (조감도)<제공=통영시> |
지난해 5월 업무협약 후 이루어진 이번 계약은 2027년 준공 목표인 사업의 첫 단계에 불과하다.
센터는 선박검사와 안전 기술 연구, 해양안전 교육을 원스톱으로 제공한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그러나 통영 해역의 실제 사고 현황과 지역 어업인들의 요구를 얼마나 반영했는지는 의문이다.
20톤 미만 선박 9,100척이 검사 대상이지만, 센터 인력과 장비 확보 계획은 구체적으로 제시되지 않았다.
전국 해양사고의 70% 이상이 어선에서 발생하는 현실에서, 검사만으로 사고 감소 효과를 거둘 수 있을지 불투명하다.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의 전문성은 인정받지만, 지역 특성을 반영한 안전 기준 개발에는 상당한 연구가 필요하다.
센터 운영비와 인력 확보 방안이 불명확해 지속가능성에도 의문이 제기된다.
올해 말 준공 예정인 '통영 마리나 비즈센터'와의 연계 계획도 구체적 협업 모델 없이 선언적 의미에 그칠 우려가 있다.
지역 어업인들 사이에서는 "또 하나의 관공서만 늘어나는 것 아니냐"는 비판적 목소리도 나온다.
실질적 효과를 위해서는 형식적 검사를 넘어 안전의식 제고와 노후 어선 현대화, 안전장비 보급이 병행되어야 한다.
천영기 통영시장은 "통영을 첨단 해양기술과 선박 안전의 허브로 도약시키는 기반이 될 것"이라고 밝혔으나, 실질적 안전 향상을 위한 구체적 로드맵이 더 절실하다.
스마트 기술로 포장된 전시성 사업이 아닌, 실질적 해양안전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을지 시민사회의 지속적 관심과 견제가 필요한 시점이다.
통영=김정식 기자 hanul3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