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산청군의회 전경<제공=산청군의회> |
그는 지난 5년간 지역의 안전지수가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며, 주민 참여 중심의 실효성 있는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지역안전지수는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 따라 매년 발표된다.
교통사고, 화재, 범죄, 자살, 생활안전, 감염병 등 6개 분야로 나뉘며, 1등급에서 5등급까지 수치화된다.
이 의원에 따르면, 산청군의 최근 5년간 평균 안전등급은 3.4등급으로, 하락 추세를 보이고 있다.
분야별로는 교통사고·화재가 각각 3.8등급, 감염병은 3.2등급, 자살은 2.8등급을 기록했다.
범죄는 상대적으로 양호한 2등급이 유지됐으나, 생활안전은 평균 4.8등급으로 가장 취약한 수준이다.
그는 "생활안전은 주민 일상과 직결되는 영역"이라며, 지표 개선을 위한 행정적·사회적 노력이 병행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경감 지표 개선을 위한 심장충격기 설치 확대, 공공질서 예산 강화는 행정의 몫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의식 지표 향상을 위해선 주민들의 자발적 참여와 안전 교육이 핵심이라고 덧붙였다.
이 의원은 다음 두 가지 구체적인 방안을 제안했다.
첫째, 연령대별 맞춤형 생활안전 교육 프로그램을 정기적으로 운영해 주민의 위기 대응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
둘째, 생활안전 무사고 마을을 인증하는 '우수마을 제도'를 도입하고, 인센티브를 제공해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해야 한다.
지역안전은 누군가 대신해줄 수 없는 과제다.
이 의원은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노력만이 안전한 일상을 만들 수 있다"며, "주민과 행정이 함께 만들어가는 생활안전 문화 정착"을 강조했다.
위험은 통계로 드러났고, 해답은 현장에 있다.
이제는 수치 개선이 아닌, 삶의 질 향상으로 이어지는 안전정책이 필요한 때다.
산청=김정식 기자 hanul3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