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도에 따르면 특별금융지원은 경북 버팀 금융 4000억 원, 시군 소상공인 특례보증 5700억 원, APEC 정상회의 성공개최 지원 특례보증 300억 원, 경북 인구감소지역 경쟁력 강화 특례보증 400억 원, 경북 소상공인 비상금 통장대출 특례보증 500억 원,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정책자금 900억 원, 기타자금 1200억 원 등 신규 지원 1조 3000억 원과 만기 연장 7000억 원을 포함해 총 2조원 규모다.
경북신용보증재단에서 애초 계획했던 2025년 소상공인 보증지원 1조 4000억 원 대비 6000억 원 늘어난 규모로 신규 보증이 당초 8000억 원에서 1조 3000억 원 규모로 대폭 확대됐다.
도는 지난해 12월 긴급 민생 안정 대책 회의에서 채무부담 등 금융비용 증가와 경기침체로 위기에 직면한 중소기업과 소상공인들을 위한 금융지원 대책(1차)을 논의한 바 있다.
도는 3월 22일 발생한 대형산불과 고물가, 고환율에 따른 내수 부진 등으로 소상공인들이 그 어느 때보다 어렵다고 판단해 소상공인들을 위한 금융지원 대책(2차)을 마련했다.
경북 버팀 금융 지원사업을 애초 2000억 원에서 4000억 원으로 확대했으며, 그 결과 경북신용보증재단의 올해 소상공인들을 위한 보증 규모가 1조 8000억 원에서 2조 원이 됐다.
경북 버팀 금융 지원사업 확대로 추가되는 예산은 도내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지원사업을 위해 도와 시군이 함께 출연하는 경상북도 중소기업육성기금을 사용하며, 2025년도에 출연하는 70억원(도 50, 시군 20)을 투입할 계획이다.
특히, 이번 북부지역 산불 피해 소상공인들의 재기 지원을 위해 300억 원 규모의 재해 소상공인 긴급경영안정자금을 투입한다.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의 정책자금인 재해 소상공인 긴급경영안정자금과 경북도 재해소상공인 긴급경영안정자금과 결합 시 산불 피해를 본 소상공인들은 융자 한도 최대 3억원(피해금액 이내), 2년 동안 무이자, 최장 10년(5년 거치, 5년 분할 상환)까지 이용할 수 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소상공인, 자영업자들을 살리는 것이 골목상권을 살리고, 민생경제를 살리는 가장 중요한 첫걸음이다. 경북 경제의 새로운 도약을 민생의 가장 가까운 골목에서 소상공인들이 살아나는 것에서부터 만들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안동=권명오 기자 km1629km@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