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공심야 지정병원. 구미시 |
올해 1월부터 시작된 연장 진료에는 3월 말까지 총 8755여 명(산부인과 701명, 소아청소년과 8054명)이 방문했다.
3월 4일부터 운영을 시작한 공공 심야 약국도 같은 달 말까지 346명이 이용해 의료사각지대 해소에 기여를 하고 있다.
연장 진료는 미리안 산부인과 의원, 에바마레 산부인과 의원, 형곡 연합 소아·청소년과 의원, 옥계 연합 소아·청소년과 의원 등 4개 의료기관이 참여해 지정 요일에 따라 평일은 오후 8시까지 일요일과 공휴일은 오전 9시부터 오후 3시까지 운영 중이다.
소아청소년과는 월평균 2685명, 산부인과는 234명이 이용했으며 특히 산부인과에서는 연장 진료를 통해 응급 분만 3건이 신속히 처리됐다.
전체 이용자 중 22.8%는 구미 외 인근 지역거주자로 분석돼 인근 도시의 수요까지 흡수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소아청소년과 이용자 가운데 1~5세 영유아가 38%를 차지해 보호자들의 야간 진료 불안을 해소하는 데도 효과를 보인 것으로 드러났다.
![]() |
공공지정약국. 구미시 |
이 중 선산희망약국은 365일 연중무휴 운영되며 나머지 약국들은 지정 요일에 한해 오후 8시부터 11시까지 문을 열게 된다.
공공 심야 약국은 운영 한 달도 안되는 기간 동안 346명이 이용했다. 해열진통제, 호흡기 치료제 등 일반의약품 구매 336건, 처방 조제 11건, 전화 상담 14건이 이뤄졌다.
일일 이용자 수는 최소 1.7명에서 최대 13.3명까지 집계됐다. 오는 7월부터는 구미 대형약국과 셀메드 현대약국의 운영 요일이 추가돼 접근성이 더욱 개선될 예정이다.
시는 기존에 운영 중인 '신생아집중치료센터', '365 소아 청소년 진료센터'와의 연계를 통해 지역의료 인프라 간 시너지 효과도 기대하고 있다.
김장호 구미시장은 "연장 진료와 심야 약국 운영이 응급실 과밀화를 완화하고, 시민들이 늦은 시간에도 안심하고 진료와 약을 받을 수 있는 기반이 확충되고 있다"라며 "앞으로도 시민 중심의 촘촘한 의료 인프라확충에 힘을 쓰겠다"라고 밝혔다.
구미=김시훈 기자 silim53@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