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정은 6월 충청권 소비자물가 동향 발표 때와 상당히 달라졌다. 신선식품 가격이 대체로 안정세를 띠거나 하락세로 돌아서던 양상과는 대조적이다. 농작물재해보험 대상에 새로 포함된 깻잎은 평년보다 51% 이상 올랐다. 가축 폐사가 나날이 늘자 축산물값도 들썩인다. 해수 온도가 올라 공급이 줄어든 고등어는 전년 대비 30.23% 뛰었다. 여름철 가격 수급 변동이 예상되는 주요 품목은 집중 관리할 때다. 수급 안정과 유통 단계 축소, 물류 개선은 지속적인 숙제다.
지역 물가는 지금 무더위가 물가를 끌어올리는 히트 인플레이션(Heatflation)으로 봐도 될 상황이다. 큰 폭의 가격 변동으로 서민 여름철 생계에 켜진 비상등을 범부처와 지방자치단체가 함께 꺼야 한다. 정부 가용 물량을 동원하면서 농작물 생육 부진과 수산물 어획량 감소, 축산물 생산성 저하에 대비해야 할 것 같다. 민생 안정의 기본은 물가다. 이재명 정부 첫 '작품'인 비상경제점검 태스크포스(TF) 외에 농림축산식품부 농식품 수급 및 유통구조 개혁 TF에서 할 일이 쌓였다. 이상기후의 불확실성과 위험성은 점점 변수 아닌 상수가 된다.
체감물가의 맨 앞엔 밥상물가가 있다. 한 달 전만 해도 충청권은 주요 여름 농산물이 최대 30%까지 떨어져 물가 상승압력을 일부 상쇄할 정도였다. 고공행진 중인 물가를 못 잡으면 경기를 살리기 힘들다. 수박의 경우는 출하 지역 확대로 7월 하순이면 다소 안정될 여지가 있지만 그렇지 않은 품목이 많다. 소비자를 위해 유통업계와 연계한 할인행사, 농가를 위해서는 농업경영 안정과 안정적 재생산 활동 등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