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일 대전사회서비스원에 따르면 경계선 지능 청년 및 학업 중단 청소년의 사회참여 확대와 자립 역량 강화를 위한 시범 사업을 5월부터 진행한다.
사서원은 최근 대전보건대학교가 중앙사회서비스원,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대전시교육청과 협력해 지원 사업의 발판을 마련했다.
경계선 지능 청년은 평균보다 낮은 인지 기능(지능지수 71~84)으로 인해 학업, 취업, 사회적 관계 등 다양한 영역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으나 지적장애 기준(지능지수 70 이하)에는 해당하지 않아 공적 지원에서 소외되는 경우가 많다.
이번 시범 사업은 이들에게 교육의 기회와 맞춤형 직업훈련을 제공해 사회 진입을 지원하고 자립생활 역량을 키우는 데 중점을 둔다.
사업은 5월부터 12월까지 대전시사회서비스원과 대전보건대학교 두 곳에서 이뤄진다. 총 60명의 경계선 지능 청년이 참여해 △진로 탐색 △직무교육 △취업 연계 △인턴십 △정서 지원 등 5개 분야에서 총 12회에 걸친 교육과정을 운영한다.
특히 이번 사업은 대전시사회서비스원의 높은 품질의 사회서비스와 대전보건대학교의 교육 전문성을 결합해 현장 중심의 실용적이고 체계적인 사업 모델을 구축한 것이 특징이다.
양 기관은 지역사회 통합돌봄 교육 활성화와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협력체계를 구축한 바 있으며, 이번 사업을 통해 지역 내 돌봄 체계 발전과 미래 인재 양성에 큰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한다.
김인식 대전시사회서비스원장은 "이번 시범 사업은 우리 사회의 사각지대에 놓인 경계선 지능 청년들에게 꼭 필요한 디딤돌이 될 것이다"며 "대전보건대학교와의 협력을 통해 교육과 돌봄이 유기적으로 연결된 실질적 지원체계를 마련했고, 이를 통해 참여 청년들이 자존감을 회복하고 지역사회 안에서 스스로의 삶을 설계해 나갈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김지윤 기자 wldbs120611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