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3일 (가칭)충주LNG발전소 반대 범시민대책위원회가 충주시청 브리핑룸에서 서충주 LNG발전소 건립 전면 백지화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
주민과 시민단체들은 '밀실·꼼수행정'이라며 건립 전면 백지화를 요구하고 나섰다.
'(가칭)범시민 충주LNG발전소 반대 대책위원회'는 3일 충주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충주시가 2년 가까이 시민과 시의회를 기만한 채 발전소 추진을 밀어붙였다"며 강하게 비판했다.
대책위는 이날부로 시민사회의 공동 대응을 위해 범시민대책위 구성을 공식화했다.
시는 2023년 7월 한국동서발전㈜와 드림파크산단 내 5만 5000여 평 부지에 LNG발전소를 조성하는 내용의 양해각서(MOU)를 체결했지만, 이를 공개하지 않고 내부적으로만 추진해왔다.
이에 대해 대책위는 "전국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비공개 밀실행정"이라고 비판했다.
실제로 산업통상자원부 전기위원회는 5월 23일, 해당 사업에 대해 부지 확보와 주민 수용성 문제 등을 이유로 심의를 보류한 바 있다.
그러나 시와 동서발전은 보류 직후 즉시 재신청에 나섰고, 이는 시민들의 분노를 더욱 자극했다.
대책위는 그간 지역 주민들이 설명회와 서명운동을 통해 반대 입장을 명확히 밝혔고, 시민사회단체들도 동참해 강력한 반대 여론을 형성하고 있음에도 시가 이를 무시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시가 내세운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 적용도 충주시에는 해당되지 않는 법률이라며, 당위성 없는 핑계에 불과하다고 꼬집었다.
이어 "이미 충주에는 연간 8억 4400만㎾h의 전기를 생산하는 충주댐 수력발전소가 존재한다"며 "신재생에너지가 강조되는 시대에 굳이 LNG발전소를 추가로 건립할 필요가 없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드림파크산단 자체에 대한 의혹도 제기됐다.
PF대출을 위한 충주시의 단독 지급보증으로 수십억 원의 이자를 시민 세금으로 부담하고 있으며, 이 분양률을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 발전소 유치가 추진되고 있다는 비판이다.
대책위는 조길형 충주시장이 발전소 유치와 산업단지 지급보증 결정에 책임이 있다며, 향후 추진이 계속될 경우 드림파크산단 관련 각종 의혹에 대해 철저한 조사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대책위는 요구사항으로 드림파크산단 내 LNG발전소 설치 전면 백지화와 대책위가 포함된 LNG발전소 충주시의회 조사특별위원회를 구성해 밀실·꼼수 행정을 철저히 조사하고 시민들에게 전면 공개할 것을 촉구했다.
한편 이날 기자회견에는 시민단체 및 주민 대표, 충주시의원 등이 함께 참석해 공동 대응 의지를 밝혔다. 충주=홍주표 기자 32188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