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덕구 신청사 조감도. (사진= 대전 대덕구) |
신청사는 연축지구 개발과 맞물려 대덕구 발전을 견인할 모멘텀이 될 것이란 기대가 큰 데 부족한 건립비 확보와 기존 청사 부지 개발 넘어야 할 산도 만만치 않다.
8일 대덕구에 따르면 주중 신청사 건립 공사를 알리는 착공계를 내고 6월 착공에 돌입한다.
연축동 241번지 일원에 들어서는 대덕구 신청사는 4만 8810㎡, 지하 2층~지상 9층 규모로 지어진다. 3개 동에는 본청과 대덕구의회, 대덕구 보건소 등이 자리를 잡는다. 완공은 기존 계획보다 1년 늦어진 2027년 하반기로 예상된다.
앞서 대덕구는 지난해 10월 LH와 사업부지 매매계약을 체결하고, 지열 설비 설치에 착수하면서 건립을 위한 첫 단추를 끼웠다.
수년째 좀처럼 속도를 내지 못하던 신청사 건립이 본격화되면서 맞물린 연축지구 도시개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다만, 청사 설립의 첫 삽을 떴다는 기대감과 함께 여전히 풀어야 할 문제들이 뒤쫓고 있다.
가장 관건은 재원 확보다. 예산 부족이라는 꼬리표가 달린 사업이다 보니 부족한 금액을 어떻게 충당할지 우려가 클 수밖에 없다.
초기 1200억 원이던 금액은 인건비와 원자재값 인상 등의 이유로 1589억 원까지 눈덩이처럼 불어났다.
대덕구는 최근까지 933억 원의 청사건립기금을 확보했지만 ,여전히 650억 원의 금액이 부족하다. 이 중 500억 원가량은 대전시로부터 현청사 매입을 통해 마련하고, 나머지의 경우 매년 축적되는 청사건립기금과 교부금 요청으로 메꾸겠다는 계획을 세운 상태다.
연축지구로 새롭게 둥지를 틀면서 남아있을 청사 부지 개발에도 속도를 내야 한다.
유동 인구 감소로 공동화를 막기 위해 현 구청사를 어떻게 활용해야 할지 머리를 맞대야 한다.
지난해 연말 해당 부지가 포함된 오정동은 국토교통부로부터 도시재생 혁신 지구(국가 시범 지구) 후보지로 선정된 바 있다. 대전시와 대덕구는 혁신 지구 지정을 통해 해당 구간을 복합 혁신 거점으로 만들겠다는 계획이지만 아직 후보지다 보니 장담하기 이르다.
국토부는 오는 9월께 후보지를 대상으로 본 공모 신청서를 접수, 12월 최종 선정할 예정으로 해당 사업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는 최악의 상황까지 고려해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다.
대전시 관계자는 "우선 개발 방향부터 예상 사업비 등 촘촘하게 계획을 설계해 정부 사업에 선정될 수 있도록 준비 중이다"라며 "경제적 파급 효과를 토대로 후보지를 선정한 만큼 대덕구만의 방향성을 갖추고 대비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지윤 기자 wldbs120611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