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룡다문화] 양귀비꽃은 왜 ‘양귀비꽃’일까?

  • 다문화신문
  • 계룡

[계룡다문화] 양귀비꽃은 왜 ‘양귀비꽃’일까?

  • 승인 2025-06-15 14:02
  • 수정 2025-06-15 14:06
  • 신문게재 2024-11-24 30면
  • 충남다문화뉴스 기자충남다문화뉴스 기자
1. 양귀비꽃은 왜 ‘양귀비꽃’일까-1
한국 사람들과 처음 만날 때, 가장 자주 받는 질문은 “어디서 왔어요?”이다. “중국 시안이요.”라고 대답하면, 어떤 사람들은 그곳이게 어디 있는지 잘 모른다. 그래서 나는 “진시황, 병마용, 당나라, 이백”과 같은 키워드를 덧붙여 설명하곤 한다.

내가 시도해 본 많은 키워드 중, 들은 사람 중 백이면 백 모두 “아~” 하고 고개를 끄덕이게 되는 단 하나의 키워드가 있는데 바로 ‘양귀비’다. 그제야 이 당나라 미인이 한국에서 이렇게 유명하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얼마나 유명하냐고? 아주 아름다운 꽃이 있는데, 그 한국어 이름이 바로 ‘양귀비꽃’이다! 사전을 찾아봤을 때 ‘양귀비’는 ‘아편꽃’이라고 번역되어 있어서 깜짝 놀랐다. “어? ‘아편꽃’의 씨앗을 다이소에서 팔아도 되는 거야”? 라는 의문이 든다. 찾아보니 사실 유독 성분이 있는 건 ‘Papaver somniferum’이고, 유독 성분이 없는 건 ‘Papaver rhoeas’이다.

1. 양귀비꽃은 왜 ‘양귀비꽃’일까-2
한국 길가나 공원에서 자주 볼 수 있는 붉은 꽃이 바로 ‘Papaver rhoeas’인데, 중국에서는 ‘우미인(虞美人)’이라고 불린다.  그렇다면 ‘우미인’은 누구일까? '우미인' 역시 역사적으로 매우 유명한 여성이다.

진나라 말기, 서초 패왕(西楚霸王) 항우(项羽)가 유방(刘邦)에게 해하에서 포위당했을 때, 이미 패배는 기정사실이었다. 항우가 사랑하는 우미인은 더 이상 짐이 되지 않기 위해, 그의 허리에 찬 칼을 뽑아 자결했다. 훗날 그녀의 무덤 위에 피어난 붉은 꽃은, 바람 속에서 춤추듯 흔들렸다. 우미인이 춤을 잘 추는 것으로 유명했기 때문에, 이 꽃은 ‘우미인’이라 불리게 된 것이다.

그런데 한국에서는 왜 이 꽃을 ‘양귀비꽃’이라고 부를까?  양귀비 역시 '우미인'처럼 역사 속의 유명한 미인이지만 문학작품 속 '우미인'은 대체로 긍정적인 이미지로 그려지는데, 양귀비는 훨씬 더 복잡한 인물이다. 남편도 아이도, 한국 친구들도 이유를 잘 모르겠다고 했다. 그러던 중, 어느 날 <벌거벗은 세계사>라는 프로그램을 보게 되었는데, 그 프로그램에서 교수님이 말하길, “양귀비는 역사 속에서 아름답지만 동시에 위험한 존재로 여겨지기 때문에, 이 꽃을 그렇게 부른다.”라고 했다.

나는 바람 속에서 흔들리는 양귀비꽃 영상을 시안에 있는 중국 친구에게 보냈다. 친구는 나에게 또 다른 영상을 보내주었다. 그 영상에는 당나라 미인으로 분장한 무용수들이 춤추는 장면이 담겨 있었다. 친구가 말하길, “봐봐, 꽃이 흔들리는 모습과 무용수의 춤사위, 정말 닮지 않았니?”

1. 양귀비꽃은 왜 ‘양귀비꽃’일까-3
이제는 그 꽃을 볼 때마다, 바람 속에서 춤추는 당나라의 미인들을 떠올리게 된다. 그 꽃이 양귀비든, 우미인이든, 이름을 넘어선 그 아름다움과 이야기는, 지금 이곳 한국에서도 조용히 피어나고 있다. 한 송이 꽃에 담긴 수천 년의 역사와 문화, 그 속에서 중국과 한국은 서로 닮은 기억을 나누고 있다. 이름은 다르지만, 우리가 바라보는 그 아름다움은 같은 것이 아닐까.
당리 명예기자(중국)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사망 20일 뒤 발견된 모자 왜?…사회 단절된 채 수개월 생활고
  2. 대전교육청 리박스쿨 이어 이번엔 극우 교원단체 '대한교조' 홍보 배정 논란
  3. 저스티스 유한 법무법인 첫 전환…전문성·법률서비스 강화
  4. 대전.충남 행정통합 특별법 완성… 외국인 관광객 유치 특례 추가
  5. 의대생 전원 돌아온다지만... 지역 의대 학사운영·형평성 논란 등 과제
  1. 유성선병원 대강당의 공연장 활용 의료계 의견 분분…"지역 밀착형vs감염병 취약"
  2. ‘민생회복지원금 21일부터 사용 가능합니다’
  3. 전재수 "해수부, 세종보다 부산이 더 효과" 발언에 충청권 '발끈'
  4. 대전.충남 행정통합 결실 위해선 초당적 협력 시급
  5. 지질자원연 탐해3호 서태평양 출항, 해저 희토류 정밀 탐사 시작

헤드라인 뉴스


정부세종청사 첫 국무회의 언제?… 이재명 정부는 다를까

정부세종청사 첫 국무회의 언제?… 이재명 정부는 다를까

오는 8월 청와대의 대국민 개방 종료와 함께 이재명 새 정부의 '국가균형발전' 시선이 어디로 향할지 주목된다. 청와대는 새 정부 로드맵에 따라 7월 말 일단 문을 닫는다. 2022년 5월 첫 개방 이후 약 3년 만의 폐쇄 수순이다. 빠르면 9월경 종합 보안 안전과 시설물 등의 점검 과정을 거친 뒤 대통령실의 심장부로 다시 거듭날 예정이다. 이재명 대통령이 청와대에서 국정 운영을 시작할 시점이기도 하다. 청와대가 다시 수도 서울의 상징이자 중앙권력의 중심부로 돌아오는 과정이나 우려되는 지점은 분명하다. 수도권 초집중·과밀을 되레 가속..

이번엔 스포츠다!… 대전시 `스포츠 꿈돌이` 첫 공개
이번엔 스포츠다!… 대전시 '스포츠 꿈돌이' 첫 공개

대전시가 지역 대학생들과 협업해 새롭게 탄생시킨 '스포츠 꿈돌이' 캐릭터를 시민들에게 공개했다. 15일 대전시에 따르면 오는 17일까지 대전시청 1층 로비에서 '2025 꿈씨패밀리 스포츠디자인 산학협력 프로젝트 전시회'를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대전시 대표 마스코트인 '꿈돌이'와 '꿈씨패밀리'를 스포츠 테마로 재해석한 작품들로, 한남대학교 융합디자인학과와 목원대학교 시각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과 재학생 38명이 참여해 지난 한 학기 동안 완성한 결과물을 시민들에게 공개하는 자리다. 전시장에는 캐릭터별 등신대, 티셔츠·선캡 등 굿즈, 그리..

제23회 이동훈미술상 본상 임송자 화백… 특별상 김은희, 정의철 작가
제23회 이동훈미술상 본상 임송자 화백… 특별상 김은희, 정의철 작가

충청을 대표하는 미술상인 제23회 이동훈 미술상 본상 수상자로 임송자 화백이 선정됐다. 이동훈기념사업회는 15일 중도일보 4층 대회의실에서 진행한 제23회 이동훈미술상 수상 작가 심사 결과, 본상에 임송자 화백, 특별상에 김은희, 정의철 작가를 각각 수상자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동훈 미술상은 대전·충청 미술의 토대를 다진 고 이동훈 화백의 예술정신을 기리고자 2003년 제정됐다. 대전시와 이동훈기념사업회가 공동 주최하며, 중도일보와 대전시립미술관이 주관한다. 본상은 한국 근·현대미술에 큰 업적을 남긴 원로 작가에게, 특별상은 대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제22회 이동훈미술상 특별상 수상 작가전 제22회 이동훈미술상 특별상 수상 작가전

  • ‘스포츠 꿈돌이’ 캐릭터 첫 공개 ‘스포츠 꿈돌이’ 캐릭터 첫 공개

  • 대전충남 행정통합 특별법 완성…충청 새 미래 열린다 대전충남 행정통합 특별법 완성…충청 새 미래 열린다

  • 요란한 장맛비 요란한 장맛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