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윤석열 전 대통령이 21일 서울 메가박스 동대문에서 다큐멘터리 영화 '부정선거, 신의 작 품인가' 관람 도중 계엄령 선포 장면이 나오자 관람객의 박수를 받고 있다. 공동취재 |
국힘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은 “계엄에 대한 반성·자중을 할 때 아닌가”라고 했고, 한동훈 전 대표는 “자멸하는 길”, 조경태 의원은 “뻔뻔하고 한심하다”고 성토한 반면, 김문수 후보는 ‘선관위 책임’으로 돌리며 윤 전 대통령을 옹호했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는 "(윤 전 대통령과 국힘은) 여전히 일심동체”라고 비판했고, 조국혁신당과 개혁신당도 “국힘 내부에 친윤 인사들이 판을 치고 있다”며 ‘대선=윤석열 심판'을 강조했다.
윤 전 대통령은 21일 오전 부정선거론을 주장하는 다큐멘터리 영화 시사회가 열리는 서울 동대문구 영화관을 찾아 '부정선거, 신의 작품인가'를 관람했다.
윤 전 대통령이 영화관에 도착했을 때 '너만 몰라 부정선거'라는 글귀가 적힌 붉은색 풍선을 든 지지자들이 환호했고, 설치된 홍보 포스터에는 영화 제목과 함께 '6월 3일 부정선거 확신한다'라는 문구도 새겨져 있었다.
계엄 당시 부정선거 의혹을 확인해야 한다는 이유로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계엄군을 투입했던 윤 전 대통령의 공개적인 영화 관람은 대선을 앞두고 극우세력을 비롯해 일부 강성 지지층을 결집하려는 정치적 행보로 해석된다. 여기에 헌법재판소의 대통령 파면 사유를 인정하지 않고, 현재 진행 중인 형사 재판 판결에 영향을 미치려는 의도로도 보인다.
윤 전 대통령은 영화 관람 후 별도의 발언 없이 자리를 떴고, 대신 영화감독은 "윤 전 대통령이 '컴퓨터 등 전자기기 없이 대만식이나 독일이 하는 투명한 방식으로 선거가 치러져야 될 것 같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 |
21일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가 경기 고양시 MBN 미디어센터에서 열린 한국방송기자클럽 대선 후보 초청 토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
반면 국힘 내부에선 윤 전 대통령과 김문수 후보를 모두 비판하는 발언이 나왔다.
김용태 비대위원장은 "윤 전 대통령은 탈당했다. 당과 이제 관계없는 분"이라면서도 "개인적 입장에서 봤을 때 계엄에 대한 반성·자중을 할 때 아닌가"라고 말했다.
한동훈 전 대표는 페이스북을 통해 "국민의힘은 '윤 어게인', 자통당(자유통일당), 우공당(우리공화당), 부정선거 음모론자들과 손잡으면 안 된다"며 "국민의힘이 자멸하는 지름길"이라고 밝혔다.
조경태 의원도 페이스북에 "이재명 민주당 제1호 선거운동원을 자청하는 건가"라며 "본인 때문에 치러지는 조기 대선에 반성은커녕 저렇게 뻔뻔할 수 있는지 참으로 어처구니없고 한심하다"고 썼다.
김근식 송파병 당협위원장은 한 발 더 나가 "제발 윤석열, 다시 구속해주세요"라며 "우리 당이 살고 보수가 거듭나기 위해서는 재구속만이 답"이라고 페이스북에 적는 등 국힘 소속 의원들의 온라인 단체대화방에도 "만류해야 한다, 자중해야 한다" 등의 글이 올라왔다.
![]() |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가 21일 인천광역시 남동구 구월 로데오광장에서 열린 유세에서 시민들에게 인사하고 있다. |
이 후보는 "(국힘과 윤 전 대통령은) 여전히 일심동체"라며 "조만간 국힘이 큰절을 하면서 석고대죄, '국민사죄쇼'를 할 텐데, 국민이 속을 만큼 정치의식 수준이 낮지가 않다. 국민을 진지하게 존중할 필요가 있다는 충고를 드린다"고 덧붙였다.
조국혁신당은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허위 선동에 기반한 다큐를 시청하며 대중 앞에 나선 것 자체가 자신의 내란 범죄를 부인하는 것이며 또 다른 내란 선동”이라며 “명태균을 앞세운 여론조작을 했고, 그 대가로 김영선에게 공천을 주기 위해 온갖 편법을 동원한 윤석열 당신이야말로 '부정선거'의 진짜 주범”이라고 강조했다.
개혁신당 선대위 공보단도 논평을 내고 "윤석열은 이미 탈당했다고 말하면서 속으로는 그를 여전히 추종한다. 당내 곳곳에는 친윤 인사들이 판을 치고 있다”며 “윤석열의 비상계엄 음모에 침묵하고 박수를 보낸 국힘이 이준석 후보에게 단일화를 요구하는 건 파렴치라고 볼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서울=윤희진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