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 중심 충주, 보행자 위한 도시로 전환해야"

  • 전국
  • 충북

"차량 중심 충주, 보행자 위한 도시로 전환해야"

정용학 시의원, 회전교차로·대각선횡단보도 확대 제안
속도 관리만으로 보행자 사망률 82% 감소 효과 강조

  • 승인 2025-05-22 10:06
  • 홍주표 기자홍주표 기자
정용학 충주시의원
보행자 사망률을 최대 82%까지 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충주시의 도시 교통환경을 '차량 중심'에서 '보행자 중심'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주장이 충주시의회에서 구체적인 대안과 함께 제기됐다.

정용학(용산·지현·호암직동·달천, 사진) 의원은 22일 열린 제294회 충주시의회 임시회 2차 본회의 자유발언을 통해 '보행자의 안전과 편의를 위한 도시 교통환경 전환'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정 의원은 "자동차의 높은 주행속도는 사고 빈도를 높일 뿐 아니라, 사망 및 중상의 정도를 심화한다"며 "한국교통연구원 자료에 따르면 차량 속도를 시속 60㎞에서 50㎞로 낮출 경우 보행자 사망 확률이 약 54% 감소하며, 50㎞에서 30㎞로 낮추면 사망 확률은 무려 82%까지 줄어든다"고 강조했다.

이에 그는 보행자 안전 강화를 위한 효과적인 대안으로 회전교차로와 대각선횡단보도 확대를 제안했다.



국토교통부 자료를 인용하며 회전교차로 설치 이후 차량의 교차로 통행 시간은 평균 21% 단축되고, 교통사고 건수는 24.7% 감소하며, 교통사고 사망 건수는 76%까지 줄어든다고 했다.

현재 충주시에는 시청 앞 사거리, 제1·제2 로터리 등을 포함해 총 23개소의 회전교차로가 운영 중이지만, 주거지와 초등학교 인근, 고령자 이용시설 주변 등에 추가 설치가 필요한 상황이라는 게 정 의원의 주장이다.

또 대각선횡단보도는 용산초, 연수초, 남한강초 앞 교차로 3개소에만 설치돼 있다.

도로교통공단 조사에 따르면 대각선횡단보도 설치는 일반 도로에서 발생하는 보행자-차량 사고를 약 25%, 어린이 보호구역에서는 약 50%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정 의원은 "현재 충주시에는 동시보행신호를 운영 중인 14개소의 교차로가 있다"며 "이러한 곳은 기존 신호체계에 'X자' 형태의 횡단 경로와 보행신호등만 추가하면 큰 예산 부담 없이 대각선횡단보도로 전환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보행자 중심의 교통정책은 이동의 편리함을 넘어 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한 공공의 책무"라며 "회전교차로와 대각선횡단보도의 확대는 사람 중심의 교통문화로 나아가는 도시 교통환경 전환의 시작"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충주시는 2024년 시민수요 맞춤형 버스노선 개편, 읍면지역 콜버스 도입, 유개형 승강장 확대 등 교통환경 개선에 노력해왔으나, 보행자 안전이 우선시되는 교통 인프라 구축은 여전히 미흡한 실정이다.

정용학 의원의 이번 제안은 교통 패러다임 전환을 통해 시민 안전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시발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충주=홍주표 기자 32188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1기 신도시 재건축 '판 깔렸지만'…못 웃는 지방 노후계획도시
  2. 대전·충남 행정통합 추진 두고 김태흠 지사-김선태 의원 '공방'
  3. 대통령실 인사수석에 천안 출신 조성주 한국법령정보원장
  4. 밀알복지관 가족힐링캠프 '함께라서 행보캠'
  5.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1. 축산업의 미래, 가축분뇨 문제 해결에 달렸다
  2. 교정시설에서 동료 수형자 폭행 '실형'…기절시켜 깨우는 행위 반복
  3. '빈집 강제철거 0건' 충남도, 법 개정에 빈집정비 속도 오를까
  4. 대전행복나눔무지개푸드마켓 1호점 공식 카카오톡 채널 개설
  5. [촘촘하고 행복한 충남형 늘봄교육] 학생에게 성장을, 학부모에겐 신뢰를… 저학년 맞춤형 늘봄

헤드라인 뉴스


교수들도 지역대 떠난다… 이공·자연계열 이탈 심화

교수들도 지역대 떠난다… 이공·자연계열 이탈 심화

최근 5년간 충청권 국립대학에서 타 대학·기관 등으로 이직한 교수 절반 이상이 이공·자연계열인 것으로 파악됐다. 최근 해외로 떠나는 수도권 대학교수들이 늘면서 비수도권 대학교수들이 수도권으로 향하는 연쇄 이탈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정부에서 지역별 국가 첨단산업 인재 육성을 강조하고 있지만, 정작 우수교원들이 지역을 떠나는 것이다. 9일 국회 교육위 서지영 의원실이 최근 발표한 '전국 국립대 교수 이직 현황'을 분석한 결과, 최근 5년간(2021년~2025년 5월) 충남대·충북대 등 전국 지방거점국립대 9곳에서 이직한 교수는 3..

공중화장실에 남긴 흔적… 청소 관리자에겐 하루의 전쟁
공중화장실에 남긴 흔적… 청소 관리자에겐 하루의 전쟁

대전의 한 전통시장 공중화장실. 문을 열자 바닥에 흩어진 휴지 조각이 눈에 들어왔다. 몇몇 변기 칸은 이물질로 막혀 사용할 수 없었고, 비누통은 텅 비어 있었다. 휴지통이 없으니 누군가는 사용한 휴지를 변기 뒤편에 숨겨두고 갔다. 무심코 남긴 흔적은 청소 노동자에게는 전쟁 같은 하루를, 다른 이용자에게는 불쾌한 경험을 남긴다. 사회 전반의 시민의식 수준이 높아졌다는 평가와 달리, 공중화장실만큼은 여전히 우리의 부끄러운 민낯이 드러나는 공간이었다. 9일 중도일보는 대전의 한 전통시장과 천변 공중화장실을 관리하는 청소 관리자를 현장에서..

보완수사 존폐 기로… 검찰청 폐지안에 대전지검 긴장
보완수사 존폐 기로… 검찰청 폐지안에 대전지검 긴장

정부가 검찰청을 해체하고 기소·수사권을 분리하는 조직 개편안을 발표하면서 보완수사권 존폐 논란이 재점화됐다. '검수완박'이라 불린 2021년 형사소송법 개정 때 검사장이 직접 기자회견을 열고 평검사들이 전국회의 소집을 요구했던 대전지검은, 지금은 겉으론 평온하지만 내부에선 일손을 잡지 못하는 모습이 역력하다. 최근 발표된 정부조직법 개정안은 검찰청을 해체하고 기소 권한을 법무부 산하의 공소청으로, 수사 기능을 행정안전부 산하의 중대범죄수사청(중수청)으로 분리하겠다는 것이 골자다. 검사가 보안수사를 실행할 수 있느냐는 이번 개정안 구..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올바른 손씻기로 식중독 예방해요’ ‘올바른 손씻기로 식중독 예방해요’

  • 전통시장 화재안전 집중조사 전통시장 화재안전 집중조사

  • ‘한국의 情을 고향에 전하세요’ ‘한국의 情을 고향에 전하세요’

  •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