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 교육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선서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
이 후보자는 모두발언을 통해 "교육이 갖는 중요성과 국민의 높은 기대를 잘 알고 있기에 막중한 책임감을 느낀다"며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으로서 자질과 업무 능력을 겸허한 자세로 검증받겠다"고 말했다. 36년간 대학 교육에 몸담아온 그는 지역 거점국립대인 충남대 총장과 국공립대총장협의회 회장 등을 역임한 경험을 바탕으로, 향후 교육 정책을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 후보자는 "이재명 정부의 교육정책이 성공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며 네 가지 핵심 정책 목표를 제시했다. 주요 정책 방향은 ▲공교육 국가책임 강화 ▲교사와 학생이 행복한 학교 실현 ▲AI 기반 교육 혁신을 통한 미래인재 양성 ▲교육을 통한 지역혁신과 국가균형발전 등이다.
먼저 이 후보자는 공교육 강화를 위해 "국가가 책임지는 교육·돌봄 체계를 구축하고, 기초학력 보장과 창의·협업 중심의 교육환경을 조성하겠다"고 했다. 또 "교사와 학생이 모두 행복한 학교를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교권 보호와 학생들의 정서·행동 위기 지원을 우선적으로 실현하겠다"고 밝혔다.
AI 교육 혁신과 관련 "초·중·고 단계에서 디지털 문해력과 AI 기초역량 강화하고, 대학에서 다양한 AI 인재를 체계적으로 양성할 수 있도록 교육 생태계를 조성해 나가겠다"고 설명했다. 인문학과 시민교육도 함께 강화한다는 구상이다.
지역 균형 발전과 관련해선 "지역 출신인 저를 교육부 장관으로 지명한 뜻을 되새기며 '서울대 10개 만들기'를 통해 지역 거점대학을 전략적으로 육성하겠다"라며 "소외되는 지역대학이 없도록 국립대와 사립대가 동반 성장할 수 있는 자원 공유 체계를 구축하겠다"고 강조했다.
이 후보자는 "정책 추진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존중과 소통"이라며 국회와의 긴밀한 협의와 교육 현장의 목소리 반영을 약속했다. 또 "국가교육위원회, 시도교육청, 대학 등과 협력적 거버넌스를 구축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그는 "교육은 사회를 지탱하는 가장 본질적인 힘이자 미래를 여는 원동력"이라며 "국민주권 정부의 교육정책이 성공할 수 있도록 모든 역량을 쏟겠다"고 피력했다.
고미선 기자 misunyd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