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 외국인 유학생 1만4천명 돌파… 10명 중 1명 '중도 이탈'

  • 사회/교육
  • 사건/사고

충청권 외국인 유학생 1만4천명 돌파… 10명 중 1명 '중도 이탈'

대전 6299명·충남 5985명·충북 2134명
세종 제외한 충청권 모든 지역서 늘어
중도탈락 1219명… 충북이 탈락률 최고
"현실적 지원 통해 지역 인재로 키워야"

  • 승인 2025-06-08 17:36
  • 신문게재 2025-06-09 6면
  • 이은지 기자이은지 기자
국내 외국인 유학생.jpg copy
/교육부 제공
국내 외국인 유학생이 매년 증가하는 가운데, 충청권 대학의 유학생도 1만 4000명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각 대학과 지자체는 학령인구 감소 위기 타개책으로 유학생 유치에 사활을 걸고 있지만, 10명 중 1명은 학업을 마치지 못하고 중도 이탈하는 것으로 확인돼 학업을 지속시킬 수 있는 현실적 지원책이 요구된다.

8일 대학알리미에 공시된 2023년 기준 외국학생 현황을 살펴보면 충청권 대학(전문대 제외·사이버대 포함)의 재적 학생은 1만 4420명에 달했다. 충청권에선 대전권 대학이 외국학생이 가장 많다. 대전권 11곳에 6299명이 재적 중이며, 세종은 캠퍼스를 제외한 대전가톨릭대 1곳에 2명, 충남은 14곳에 5985명, 충북은 7곳에 2134명이 재적 중인 것으로 집계됐다.

전년과 비교하면 세종을 제외한 충청권 모든 지역의 외국학생이 늘었다. 2022년 대전권은 5729명, 세종은 2명, 충남 5364명, 충북 1745명 등 총 1만 2840명으로 1년 새 1580명이 증가했다.

유학생 증가세 속 2023년 충청권 대학의 중도탈락 외국학생은 1219명에 달했다. 이 수치는 재적 학생의 10분의 1수준이다. 구체적으로 대전은 410명, 충남 646명, 충북 163명이다. 1년 전 1250명인 것과 비교하면 소폭 감소했으며 대전(480명)은 감소, 세종(0명)은 유지, 충남(545명)은 증가, 충북(225명)은 감소했다. 중도탈락 학생이 없는 세종권 대학을 뺀 충청권 대학의 평균 중도탈락률은 2022년 7.91%에서 2023년 6.55%로 감소했다. 지역별로 보면 충북(2022년 11.04%·2023년 7.83%)이 최고 탈락률을 보였으며, 다음으로 충남(2022년 6.56%·2023년 6.51%), 대전(2022년 6.14%·2023년 5.31%) 순이다.



교육부는 2027년까지 유학생 30만 명을 유치해 세계 10대 유학 강국 도약을 목표로 삼고, 지난 2023년 유학생 교육경쟁력 제고방안(Study Korea 300K Project)을 발표, 다양한 해외인재 유치 전략을 추진해왔다. 이러한 성과로 2022년 기준 전국 16만 6892명이던 유학생은 2024년 20만 8962명으로 4만 2070명이나 늘었다.

유학생들이 학업 공백 없이 지역 인재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향후 외국학생의 국내 유입이 더욱 증가할 것이란 기대감에서다. 유학생이 학업을 유지하지 못하고 이탈하는 원인을 파악하고 실정에 맞는 지원을 해야 할 필요성도 제기된다. KOSIS 국가통계포털에 공개된 유학생 설문 결과에 따르면 한국 유학생활에서 가장 어려운 사항으로 언어문제(61.1%)를 꼽았으며, 다음으론 경제적 문제(8.1%)라고 답했다. 실제 이들은 유학 기간 부모님의 지원(62.4%)과 학교 장학금(17.5%)으로 학비를 마련하고, 부모님의 지원(67.8%)이나 모아놓은 돈(10.6%)으로 생활비를 충당하고 있었다. 현재 받고 싶은 지원으로 수업료 감면(36.6%)을 1순위, 아르바이트·취업 지원(18.4)을 2순위로 꼽았다.


지역의 한 국립대 관계자는 "외국인 유학생들은 학기 중에 아르바이트 등 경제활동에 치중해 학업에 차질을 빚기도 한다"며 "학비나 생활비를 충당하려는 이유도 있겠지만 본국에서 일하는 것보다 국내 인건비가 더 높아 유학기간 중 경제활동에 매진하는 경향도 있는 것 같다"고 전했다.
이은지 기자 lalaej2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신탄진역 유흥가 '아가씨 간판' 배후 있나? 업소마다 '천편일률'
  2. 대전 구도동 식품공장서 화재…통영대전고속도로 검은연기
  3. [2025 구봉산 둘레길 걷기행사] "어디서든 걸을 수 있는 환경 만들겠다"
  4. 728조 예산전쟁 돌입…충청 與野 대표 역할론 촉각
  5. [2025 구봉산 둘레길 걷기행사] "자연과 함께 일상 속 피로 내려놓길"
  1. [오늘과내일] 대전시의회, 거수기 비판을 넘어설 마지막 기회
  2. [2025 구봉산 둘레길 걷기행사]가을 도심 산행의 매력 흠뻑
  3. [2025 구봉산 둘레길 걷기행사] "구봉산에 물든 가을, 함께 걷는 행복"
  4. [월요논단] 새로운 관문, 유성복합터미널이 대전을 바꾼다.
  5. [2025 구봉산 둘레길 걷기행사] "건강은 걷기부터, 좋은 추억 쌓기를"

헤드라인 뉴스


대전역 철도입체화사업 선정될까… 국토부 종합계획 반영 목표 사활

대전역 철도입체화사업 선정될까… 국토부 종합계획 반영 목표 사활

국토교통부가 2월 철도 지하화 선도지구를 지정한 데 이어 12월 추가 지하화 노선을 발표할 예정이어서 대전역 철도입체화 사업이 추가 반영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앞서 국토부 선도지구에 대전이 준비한 두 사업 중 대전 조차장 철도입체화 사업(약 38만㎡)만 선정됐지만, 이번 '철도지하화 통합개발 종합계획'에는 이재명 대통령의 철도 지하화 대선 공약과 해당 지역 개발 여건 강화 등으로 대전역 철도입체화사업(12만㎡)이 반영될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3일 대전시에 따르면 국토부는 지난해 1월 '철도 지하화 및 통합개발 특별법'을 제정한..

[꿀잼대전 힐링캠프 2차] 캠핑의 열정과 핼러윈의 즐거움이 만나다
[꿀잼대전 힐링캠프 2차] 캠핑의 열정과 핼러윈의 즐거움이 만나다

늦가을 찬바람이 부는 11월의 첫날 쌀쌀한 날씨 속에도 캠핑을 향한 열정은 막을 수 없었다. 중부권 대표 캠핑 축제 '2025 꿀잼대전 힐링캠프'가 캠핑 가족들의 호응을 받으며 진행됐다. 올해 두 번째로 열린 꿀잼대전 힐링캠프는 대전시와 중도일보가 공동 주최·주관한 이벤트로 1~2일 양일간 대전 동구 상소오토캠핑장에서 열렸다. 이번 캠핑 역시 전국의 수많은 캠핑 가족들이 참여하면서 참가신청 1시간 만에 마감되는 등 경쟁이 치열했다. 행운을 잡은 40팀 250여 명의 가족들은 대전지역 관광명소와 전통시장을 돌며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

이재명 대통령, 4일 `2026년 728조 정부 예산안` 국회 시정연설
이재명 대통령, 4일 '2026년 728조 정부 예산안' 국회 시정연설

이재명 대통령이 4일 국회를 찾아 2026년 정부 예산안 편성 방향을 직접 설명하고 협조를 요청한다. 이 대통령은 국회의 예산안 심사 개시에 맞춰 이날 국회 본회의장에서 시정연설을 통해 예산안 편성의 당위성 등을 설명한 후 국회의 원활한 협조를 구할 예정이다. 정부는 앞서 8월 29일 전년도(673조 원) 대비 8.1% 증가한 728조원 규모의 2026년도 슈퍼 예산안 편성 결과를 발표했다. 총지출 증가율(8.1%)은 2022년도 예산안(8.9%) 이후 4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며, 경제 성장을 위한 인공지능(AI)과 연구·개발(..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빨갛게 물들어가는 가을 빨갛게 물들어가는 가을

  • ‘여섯 개의 점으로 세상을 비추다’…내일은 점자의 날 ‘여섯 개의 점으로 세상을 비추다’…내일은 점자의 날

  • 인플루엔자 환자 급증…‘예방접종 서두르세요’ 인플루엔자 환자 급증…‘예방접종 서두르세요’

  • 가성비 좋은 겨울옷 인기 가성비 좋은 겨울옷 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