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민의힘 대전시당이 개최한 해양수산부 이전 반대 궐위대회. [사진=이성희 기자] |
충청 보수야권이 3일 이재명 대통령의 취임 30일 첫 기자회견에 강하게 반발했다.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을 못 박아 지역민들에게 실망을 안긴 것은 물론 대전·충청이 영·호남과 강원 등 다른 지역보단 좋은 조건이라는 차별적 인식을 보여줬다는 이유에서다. 지역 보수야권은 해수부 이전 저지를 위해 강력한 투쟁에 나서겠다는 계획이다.
이 대통령은 이날 취임 30일 첫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날 기자회견을 향한 지역 차원의 관심은 대단히 컸다. 최근 충청권을 달구고 있는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에 대한 이 대통령의 명확한 입장을 들을 기회였기 때문이다. 단순히 지역 홀대를 넘어 국토균형발전과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에 역행한다는 이유로 반발이 거셌던 만큼 정책 선회 가능성도 조심스레 점치기도 했다.
하지만 이 대통령은 지역의 기대와 달리 해수부 부산 이전을 아예 못 박았다. 이 대통령은 "부산 상황이 사실 매우 심각하다"며 "수도권에서 거리가 멀면 멀수록 심각하다. 더 어려운 지역으로 (이전을 해야 하는데), 그 중에 하나가 해수부다. 부산이 해수부가 있기는 또 적정하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이 제시한 해수부 부산 이전의 명분과 근거도 반발을 불러왔다. 대전·충청은 상대적으로 수도권에서 가깝고, 앞서 공공기관을 집중적으로 이전해 다른 지역보다 상황이 낫다는 것이다.
이 대통령은 "충청지역은 그래도 수도권에서 출퇴근도 좀 하고, 소위 '남방한계선'이 점점 내려오고 있다"며 "남방한계선을 완전히 벗어난 남도 지방들, 호남·영남·강원 이런 데 보다는 좀 낫다"고 했다.
또 "수도권에서 균형발전을 위해해 공공기관을 대전, 세종, 충남으로 집중적으로 이전을 했다"며 "행정수도 이전과 공공기관 이전 등 혜택을 받는데, 그보다 더 어려운 지역에 옮기는 것 갖고 '다 내가 가질 거야'라고 하지는 않을 것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당장 국민의힘 충청진영은 "대선이 끝나니 토사구팽 당했다"며 격하게 반발했다. 특히 해수부 부산 이전보다도 충청권에 대한 이 대통령의 잘못된 인식을 강하게 비판했다.
국민의힘 대전시당은 강형석 대변인 명의의 논평을 내 "대선 당시에는 세종시 완성을 통해 진정한 행정수도를 만들겠다고 외치더니 이제는 '충청은 이미 혜택을 봤다'며 손가락질 한 것"이라며 "대선이 끝나자마자 손바닥 뒤집듯 말을 바꿔 충청을 손절한 모습을 무엇이라 불러야 하는가"라고 했다.
충청과 영·호남, 강원을 비교한 발언에 대해서도 "충청을 기득권으로 몰아 다른 지역과 이간질하는 행탠는 구시대적 정치술수"라며 "충청의 반발을 합리적 문제 제기를 단순한 이기심으로 매도했다. 550만 충청인을 향한 모욕이며 책임 회피"라고 지적했다.
국민의힘 세종시당도 해양수산부 이전 반대 결의문을 채택하고, 장외투쟁에 들어갔다. 세종시당은 결의문에서 "충청권과 함께 이재명 정부와 더불어민주당의 행정수도 해체 시도에 대해 강력한 책임을 묻겠다"며 "해수부 이전 저지를 위해 모든 수단을 동원해 싸워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국민의힘 대전시당이 이전 반대 궐위대회를 열었고, 세종시당은 이전 반대 서명운동과 릴레이 1인 피켓 시위에 돌입할 예정이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사실상 충청에 대한 노골적 배신을 선언한 것이나 마찬가지"라며 "단순히 해수부 부산 이전뿐만 아니라 충청에 대한 잘못된 인식까지 보여줬다. 이르면 다음주부터 시·도별 국민의힘 조직을 중심으로 구체적인 활동에 나설 계획"이라고 말했다.
송익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