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장충남 남해군수 기자회견<사진=김정식 기자> |
기자회견에는 장충남 군수를 비롯한 군 관계자들이 참석해 등재의 의의와 실행 방향을 설명했다.
죽방렴 어업은 남해군 지족해협 일대에서 500년 넘게 이어져 온 대나무 가두리 방식의 전통 어로법으로, 유엔 식량농업기구가 생물다양성 보전과 공동체 유산 가치 등을 인정해 신규 등재를 결정했다.
이번 등재는 2015년 국가중요어업유산 지정 이후 10년 만의 성과이자, 네 번째 도전 끝에 얻은 결실이다.
죽방렴보존회를 중심으로 한 지역 주민들의 자발적 참여와 중앙부처·지자체·언론 간 협력이 주된 원동력이었다.
등재를 계기로 남해군은 보존과 전승, 생태관광, 브랜드화, 국제교류, 청정해역 조성 등 다섯 가지 축을 중심으로 중장기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군은 청년 어업인 육성과 아카이빙 작업을 포함한 전승 체계를 정비하고, 지족해협 일대를 중심으로 조류체험·고기잡이 등 생태 체험 프로그램을 강화한다.
아울러 죽방렴 홍보관을 체험과 판매가 결합된 복합문화공간으로 개편하고, 독일마을 등 관광 자원과 연계한 탐방 코스도 마련한다.
죽방렴 브랜드는 지리적 표시제와 함께 가공품·기념품 개발로 프리미엄 시장을 겨냥한다.
그러나 실천력 있는 실행 구조는 아직 초기 단계다.
지역 어민 고령화, 멸치 어종 감소, 브랜드 위변조, 재해 시 쓰레기 처리 등 현장 과제는 여전히 남아 있다.
무엇보다도 통합예산과 실행 조직에 대한 구체적 설계는 '추후 협의' 수준에 머물러 있어, 사업 지속성과 정책 신뢰성에 대한 보완이 요구된다.
세계유산 등재는 출발선일 뿐이다.
멸치가 사라져도 유산은 살아남아야 한다.
남해=김정식 기자 hanul3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