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수원이 14일~18일 IAEA와 원전 수명관리 및 IGALL 워크숍을 개최했다./한수원 제공 |
이번 워크숍은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는 장기 가동 원전의 안전성을 강화하고, 관련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기술 교류의 장으로, 아시아 회원국 중 최초로 한국에서 개최되어 그 의미를 더했다.
한수원 산하 중앙연구원에서 열린 이번 워크숍에는 IAEA 및 해외 원전 경년열화(오래되어 성능이 저하되는 현상) 관리 분야 전문가들이 초청됐다.
이들은 원자력발전소 전 주기 수명 관리 방법론, 장기 가동 원전의 경제성 평가, 주요 설비 개선 사례, AI 등 최신 수명 관리 기술, 국가별 규제 및 기술 현안 등에 대해 한수원 및 유관 기관 전문가들과 심도 깊은 논의를 나눴다.
현재 전 세계 원전의 평균 가동 연수는 32년이며, 약 66%의 원전이 30년 이상 운영되고 있다. IAEA는 이러한 추세에 맞춰 회원국들의 장기 가동 원전 안전성을 높이고 경년열화 관리 전문 인력의 기술 역량을 제고하기 위해 IAEA 기술 문서 기반 전문 교육 패키지를 개발해 왔다.
신호철 한수원 중앙연구원장은 "장기 가동 원전에 대한 효율적인 경년열화 관리는 2050 탄소중립 달성과 에너지 안보 강화에 기여하며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을 실현하는 최선의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이번 워크숍을 통해 국제적으로 검증된 원전 수명 관리 노하우 및 경험 사례를 공유하여 글로벌 최고 수준의 장기 가동 원전 경년열화 분야 기술 역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부산=김성욱 기자 attainuk051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