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경고 없었다" 금산 수난사고 주장 엇갈려

  • 사회/교육
  • 사건/사고

"위험경고 없었다" 금산 수난사고 주장 엇갈려

현장 생존자 "구두경고 없었다" 밝히고
경찰 조사에서도 "경고 했다" 진술 없어
한 유족 "위험 알리는 조치 있었나 규명을"

  • 승인 2025-07-17 17:44
  • 신문게재 2025-07-18 6면
  • 임병안 기자임병안 기자
2025071001010006507
충남 금산 제원면 금강에서 발생한 수난사고 때 위험 경고가 현장에서 이뤄지지 않았다고 경찰은 판단하고 있다. 사진은 사고현장 모습. (사진=중도일보DB)
충남 금산 금강에서 물놀이 중 물에 빠져 20대 4명이 목숨을 잃은 사건에서 현장 수상 안전요원이 이들에게 위험을 경고했느냐를 두고 주장이 엇갈린다. 생존한 동료는 현장에서 물놀이를 제지하거나 경고는 없었다고 유족을 통해 밝히고 있으며 경찰 역시 수상안전요원에 대한 조사에서 경고를 했다는 진술은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파악됐다.

17일 금산경찰서에 따르면, 국가하천인 금강에서 익사사고가 발생한 이후 최근까지 수상안전요원에 대한 조사를 진행했다. 사고가 난 금산군 제원면 천내리 출렁다리가 있는 금강은 풍경이 아름다워 많은 관광객들이 찾는 곳으로 주말에는 수상안전요원 3명, 평일에는 2명씩 현장을 지키고 있다. 사고가 난 날에도 수상안전요원 2명이 근무 중이었고, 금산군은 사고 후 근무자들에게서 보고받은 바로는 "한 사람이 물놀이를 먼저 하고 있어 위험하다고 알렸다"는 설명이다.

그러나 사고현장에 함께 간 20대 생존자는 구두 경고나 제지를 받은 바 없다고 밝히고 있다. 그는 화장실을 가려고 물에서 잠시 나와 전화통화만 했을 뿐 현장을 벗어난 적 없었다. 그는 유족을 통해 "제지하거나 위험을 알리는 경고를 받지 못했고, 사고 후 119가 현장에 도착한 뒤에 공무원으로 여겨지는 어떤 여성분과 안전요원이 현장에 왔다"라고 기억을 밝혔다.

경찰 역시 수상 안전요원에 대한 최근까지 진행한 조사에서 수영을 금지하는 경고 조치가 사전에 있었다는 진술은 확보하지 못했다. 수상안전요원에 의한 사전에 구두 경고 조치는 없었다는 것이 경찰의 지금까지 조사를 통해 내린 잠정적인 판단이다. 경찰은 이번 사건의 수사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유족은 현장을 비추는 인근 커피숍의 CCTV를 분석해 당초 알려진 것처럼 사전 위험의 경고는 없었다는 것을 규명해달라고 경찰에 요구하고 있다.

2녀 1남의 막내아들을 잃은 한 유족은 "사고현장에 가까운 쪽의 현수막은 '음주 후 수영금지'를 안내할 뿐이었고, 일반인의 차량 통제 펜스도 열려 있는 상태이었다"라며 "위험의 구두 경고가 있었었다고 주장하지만 생존자는 그렇지 않았다고 말하고 있으니 정확히 규명돼야 한다"고 밝혔다.
임병안·정바름 기자 victorylb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서산을 비롯한 서해안 '물폭탄'… 서산 420㎜ 기록적 폭우
  2. [우난순의 식탐] 열대의 관능과 망고시루의 첫 맛
  3. 세종시 북부권 중심으로 비 피해...광암교 붕괴
  4. 김석규 대전충남경총회장, 이장우 대전시장과 경제발전방안 논의
  5. [대전다문화] 아이들의 꿈과 열정, 축구
  1. 국민연금공단 대전·세종본부, 취약계층 아동 지원
  2. 세종시, 에너지 자립 스마트시티로 도약 선언
  3. [대전다문화]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사례관리 신청하세요!!
  4. 한밭대 성백상·이주호 대학원생, OPC 2025 우수논문상
  5. 초복 앞두고 삼계탕집 북적

헤드라인 뉴스


충청 덮친 ‘500㎜ 물폭탄’… 3명 사망 피해신고 1883건

충청 덮친 ‘500㎜ 물폭탄’… 3명 사망 피해신고 1883건

16일 밤부터 17일 오후까지 충청권에 500㎜가 넘는 물 폭탄이 쏟아지면서 곳곳에서 인명사고 등 비 피해가 속출했다. 시간당 110㎜ 이상 기록적 폭우가 내린 서산에선 2명이 사망했고, 당진에서도 1명이 물에 잠겨 숨지는 등 충남에서 인명사고가 잇따랐으며, 1800건이 넘는 비 피해가 접수됐다. 세종에서는 폭우로 인해 소정면 광암교 다리가 일부 붕괴 돼 인근 주민 30명이 식당으로 대피하는 소동이 빚어졌다. 17일 충청권 4개 시·도 소방본부에 따르면, 이날 오후 3시까지 충남 지역에만 1883건, 충북 222건, 세종 48건,..

[WHY이슈현장] 꿀벌이 사라진다… 기후위기 속 대전양봉 위태
[WHY이슈현장] 꿀벌이 사라진다… 기후위기 속 대전양봉 위태

우리에게 달콤한 꿀을 선사해주는 꿀벌은 작지만 든든한 농사꾼이기도 하다. 식탁에 자주 오르는 수박, 참외, 딸기 역시 꿀벌들의 노동 덕분에 먹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전 세계 식량 공급의 약 90%를 담당하는 100대 주요 농산물 중 71종은 꿀벌의 수분 작용에 의존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꿀벌들이 사라지고 있다. 기후변화와 '꿀벌응애'라는 외래종 진드기 등장에 따른 꿀벌 집단 폐사가 잦아지면서다. 전국적으로 '산소호흡기'를 들이밀듯 '꿀벌 살리자'라는 움직임이 일고 있으나 대전 지역 양봉..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효과 100배? 역효과는 외면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효과 100배? 역효과는 외면

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이 가져올 효과는 과연 세종시 잔류보다 100배 이상 크다고 단언할 수 있을까. 객관적 분석 자료에 근거한 주장일까.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4일 충청 타운홀 미팅, 전재수 해수부 장관 후보가 14일 청문회 자리에서 연이어 강조한 '이전 논리'다 하지만 이를 뒷받침할 만한 '효과 분석' 지표는 없어 지역 갈등과 분열의 씨앗만 더욱 키우고 있다. 사실 이는 최소 6개월 이상의 용역(가칭 해수부의 부산 이전 효과)을 거쳐야 나올 수 있을 만한 예측치로, 실상은 자의적 해석에 가깝다. 해수부의 한 관계자는 "수도권 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폭우에 대전 유등천 교량 통제 폭우에 대전 유등천 교량 통제

  • 민생회복 소비쿠폰 접수창구 준비 민생회복 소비쿠폰 접수창구 준비

  • 밤사이 내린 폭우에 충남지역 피해 속출 밤사이 내린 폭우에 충남지역 피해 속출

  • 폭우 예보에 출입통제 폭우 예보에 출입통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