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산경찰, 집중호우 선제적 조치 ‘침수피해 예방’

  • 전국
  • 논산시

논산경찰, 집중호우 선제적 조치 ‘침수피해 예방’

침수지하차도 즉시 양방향 통제 등 안전확보 '만전'
순찰 통해 침수되는 차량 안전한 곳 대피, 사고 막아
지자체와 핫라인 가동 등 이상적인 재난시스템 작동 '호평'

  • 승인 2025-07-22 14:34
  • 장병일 기자장병일 기자
논산경찰서 전경
지난주 집중호우로 전국 곳곳에서 침수와 고립상황이 속출하는 상황 속에 유비무환의 자세로 시민 안전을 지켜낸 논산경찰서(서장 유동하)의 선제적 대응이 지역사회로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다.

14일 오후 2시경 ‘논산 오거리 지하차도’와 ‘창말 지하차도’에 다량의 빗물이 유입, 침수되고 있는 상황을 발견하고 논산지구대는 순찰차로 즉시 양방향을 통제하고 차량을 우회시키는 선제적인 조치로 논산시에서 차량과 보행자 통행이 제일많은 두 지하차도의 안전을 확보했다.

1752821163769
이날 시내버스에 타고 있던 승객들은 “차량통제에 대한 불만이 아니라 경찰의 신속한 조치에 조금 늦더라도 안전하게 귀가할 수 있게 되어 다행”이라며 가슴을 쓸어내렸다는 후문이다. 실제로 당일 교통불편으로 112신고된 내용도 없었다고 하니 성숙한 시민의식까지 빛났다.

주목할 만한 사례는 17일 오전 11시경 신속한 구조 작업이다. 집중호우가 시작될 무렵 전년도 침수지역인 연무읍 소재 ‘노래골 지하차도’ 침수 상황을 확인하기 위해 연무지구대 지역경찰이 순찰하던 중 차량 1대가 시동이 꺼진채 침수되고 있는 상황을 발견하고 즉시 운전자를 안전한 곳으로 대피시켰다.



지하차도 특성상 순식간에 침수될 수 있는 일촉즉발의 위험한 순간이었지만, 경찰의 발 빠른 판단과 조치로 큰 사고를 막을 수 있었다.

평소 침수 위험지역을 선정해 비가 오면 자동으로 순찰하는 유비무환시스템이 빛을 발하는 순간이었다.

1752826475537
또 18일 오전 7시경 논산시 소재 모 아파트 앞 인도가 주저앉았다는 신고 현장에서는 20cm 정도의 지반침하로 자칫 안전조치에 소홀할 수도 있었지만, 국민 생명과 안전을 위해서는 과하다 싶을 만큼의 예방적 조치가 필요하다고 판단해 주변에 폴리스라인 설치 등 안전확보에 총력을 기울였다.

현장 경찰관의 판단은 주효했다. 이러한 안전조치 후 얼마 되지 않아 지반침하가 불구 20cm에서 3m의 대형 싱크홀로 확대되면서 아파트 담장 붕괴는 물론 보행자나 차량까지 매몰될 수 있는 위험한 상황이 발생 됐지만, 앞선 과감한 현장 판단이 자칫 대형사고가 발생 될 수도 있었을 상황을 사전에 완벽하게 예방할 수 있었다.

1752751977660
또한, 유동하 논산경찰서장은 현장 긴급복구가 필요하다고 판단, 김영관 논산시 부시장에게 직접 유선으로 신속한 복구가 가능토록 업무협조를 요청해 당일 복구가 완료돼 주민들의 안전확보는 물론 통행 불편을 최소화했다.

현장경찰관은 신속출동해 안전확보를 하고 지휘관은 지자체와의 핫라인을 가동시켜 안전하게 마무리 짓는 이상적인 재난시스템이 작동된 것이다.

이번 논산경찰서의 몇가지 사례는 재난 대응의 기본 원칙이 무엇인지를 다시 한번 입증했다.

특히, 전년도 침수지역을 미리 파악하고 신속한 원인분석으로 집중 순찰을 실시한 것은 임기응변이 아닌 체계적인 대비책의 결과였다.

재난 대응은 사무실에서 지시만으로 이뤄지는 일이 아니다. 현장에서 발로 뛰며 위험을 사전에 차단해야 결국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켜낸다.

과거엔 ‘몇십 년에 한 번’이라던 집중호우가 이제는 해마다 반복되고 있다. 또 다른 재난이 언제든 찾아올 수 있다.

재난을 막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과할 정도의 철저한 사전준비와 끊임없는 경계뿐이다. 논산경찰서는 그 소중하지만 당연한 진리를 다시 한번 실천으로 증명해 호평받고 있다.


논산=장병일 기자 jang39210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둔산지구의 새로운 미래를 그리다] 대전 둔산지구의 탄생과 번영…그리고 변화의 기로
  2. KTX 세종역 카드 폐기...CTX 2개 노선 현실화하나
  3. 대전역세권 개발에 지하공간 활용하자
  4. "신입 노동자 퇴근 여부도 몰라"… 한솔제지 노동자 사망에 노동계 분노
  5. '의대생·전공의 복귀특혜 반대' 형평성 논란 확산… 국민청원 3만 6000명 동의
  1. '요일제 몰라 헛걸음에 신청접수처 오인까지'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첫 날 잇단 해프닝
  2. 송미령 장관, 민생회복 쿠폰 시행 대응...수해 피해 지원 지휘
  3. 농협, 폭염·수해 대응 '쿨링키트' 긴급 지원
  4. 세계 최초 정지궤도 환경위성 천리안위성 2B호 5년간 역할 톡톡
  5. 농촌진흥청, 집중호우 피해 농가에 긴급 기술지원 총력

헤드라인 뉴스


이 대통령 “특별재난지역 신속 지정, 특별교부세도 빨리 지급해달라”

이 대통령 “특별재난지역 신속 지정, 특별교부세도 빨리 지급해달라”

이재명 대통령은 22일 "(폭우 피해지역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신속하게 지정하고 특별교부세도 최대한 빨리 지급해달라"고 지시했다. 재난과 재해, 교통사고와 자살 등으로 인한 죽음을 언급하며 국민이 고통받는 일을 최소화하고, 소비쿠폰에 이어 부처별로 소비 진작 프로그램을 준비해달라고도 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대통령실에서 주재한 제32회 국무회의 모두 발언을 통해 “현장에서 본 국민의 안타까운 상황들이 지금도 눈앞을 떠나지 않는다. 망연자실하게 무너진 집, 떠나간 가족들을 생각하면서 아무 표정도 짓지 못하는 그분들, 복구도 제대로 되지..

`행정수도특별법` 2025년 연내 통과...여·야 정치권 시험대
'행정수도특별법' 2025년 연내 통과...여·야 정치권 시험대

2003년 12월 노무현 참여정부 당시 국회 문턱을 넘은 '신행정수도건설특별조치법'이 2025년 12월 버전으로 국회 본회의 통과에 이를 수 있을지 주목된다. 국가균형성장과 수도권 초집중·과밀 병폐 해소, 지역소멸과 저출산·고령화 위기 극복으로 나아갈지, 전 세계적으로 유례 없는 수도권 일극체제를 고착화할지 선택의 순간이 다가오고 있다. 결국 21년 만의 역사적 진전은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한 여·야 정치권의 진정성 있는 결단과 의지에 달려 있다. 선거용 전략의 종식을 선언하는 의미도 함께 담고 있다. 5월 1일 관련 법안을 당론으로..

LH 공급하는 대전 대동2구역 `가뭄 속 단비` 될까
LH 공급하는 대전 대동2구역 '가뭄 속 단비' 될까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공급하는 대전 대동2구역이 10월에 분양에 나설 전망이다. 올해 주택 공급이 급격히 줄어든 상황에서 이번 분양이 가뭄 속 '단비'가 될지 주목된다. 22일 LH 대전충남본부에 따르면, 대동2구역 주거환경개선사업은 동구 대동 일원에 건축면적 1만 882.43㎡ 부지에 1420세대 규모로 지어진다. 1블록 13개 동 1130세대와 2블록은 6개 동 290세대로 구성된다. 시공사는 금호건설과 디엘이앤씨, 계룡건설산업이 맡았다. 이 중 1블록은 공공분양으로 진행하는데 2025년 5월 착공에 나서면서 분양을 앞두고..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가장 더운 대서…펄펄 끓는 도로 가장 더운 대서…펄펄 끓는 도로

  • 꿈돌이 라면, 막걸리 이어 ‘꿈돌이 호두과자’ 출시 꿈돌이 라면, 막걸리 이어 ‘꿈돌이 호두과자’ 출시

  • 에너지 낭비의 주범 ‘개문냉방’ 여전 에너지 낭비의 주범 ‘개문냉방’ 여전

  • 민생회복 소비쿠폰 접수 첫 날…북적이는 행정복지센터 민생회복 소비쿠폰 접수 첫 날…북적이는 행정복지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