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교육부 제공 |
교육부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2024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22일 발표했다. 이번 평가는 중3과 고2 학생 2만7606명을 표집해 컴퓨터 기반 평가(CBT)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국어·수학·영어를 공통으로 평가하고 일부 중학교에서는 사회·과학도 함께 평가했다.
과목별로는 중3 국어는 보통학력 이상(3수준 이상) 비율이 2024년 66.7%로 전년보다 5.5%p 상승했다. 고2 수학의 경우 기초학력 미달(1수준) 비율이 12.6%로, 전년보다 4%p 감소해 성취도 향상이 확인됐다.
반면 지역 간 학력 격차는 여전했다. 중3 전 과목에서 대도시 학생의 성취 수준이 읍면 지역보다 높았고, 기초학력 미달 비율도 대도시가 낮았다. 고2는 지역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중3의 지역 격차는 뚜렷했다.
성별 격차도 이어졌다. 국어와 영어 과목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전반적으로 우수한 성과를 보였다. 중3 영어에서는 여학생의 3수준 이상 비율이 66.2%, 남학생은 56.4%였으며 1수준 비율은 여학생 4.4%, 남학생 9.8%로 차이가 컸다.
정의적 특성에서는 중학생의 자신감과 흥미, 학습의욕이 전년보다 낮아졌다. 중3 국어에서 '자신감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42.1%, 영어 학습의욕은 61.3%로 전년보다 낮았고 고2는 큰 변화 없이 유지됐다. 성취 수준이 높을수록 정의적 특성도 높게 나타났으며 수학에서 이런 경향이 부각됐다.
중3 학생의 사회·정서적 역량은 하락세를 보였다. 협업과 갈등 해결, 회복탄력성 항목에서 낮은 비율을 기록했고 성취수준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 능력의 격차도 크게 나타났다. 고2는 유의미한 변화 없이 전반적으로 유지됐다.
진로 역량의 경우, 탐색 역량은 중3에서 68.7%(+8.1%p), 고2는 86.1%(+11.6%p)로 증가했으나, 설계 역량은 중3이 52.3%(-8.3%p), 고2가 65.8%(-6.2%p)로 줄었다.
김천홍 교육부 책임교육정책관은 "일부 교과의 성취도 향상 성과가 있었으나, 중학생의 학습동기 저하와 지역 간 격차는 우려되는 부분"이라며 "지역별 학력격차 해소를 위해 시도교육청과 협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고미선 기자 misunyd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