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제공 |
예산에 설치된 중앙합동조사단 본부는 8월 2일까지 현장 조사를 진행해 중순 경 피해 규모를 확정할 것으로 전해졌다. 도는 피해 규모가 확정되는 대로 특별지원금을 국비보다 먼저 지급해 수해민들의 일상 복귀를 돕는다는 방침이다. 특별지원금 대상은 농·축산 피해 농가, 주택 파손 가구, 소상공인 등이다. 폭우 피해가 심한 도내 110여 개 중소기업의 경영정상화를 위한 지원금 지급도 중기부에 요청했다고 한다.
조사가 진행될수록 폭우 피해액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16~19일까지 집중된 폭우로 인해 발생한 피해는 3664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폭우 피해 직후인 22일 추산한 피해액 2430억원보다 1234억원이나 증가했다. 당장 급한 건 특별재난지역으로 먼저 선포된 서산시와 예산군에 더해 8개 시·군에 대한 추가 지정이다. 아산을 비롯해 당진·홍성·공주·천안·청양·부여·서천 등은 현재 잠정 피해액만 108억~594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된다.
특별재난지역 추가 지정이 늦어지는 것은 지자체별 피해 규모 산정과 정부 합동 피해조사, 대통령 재가 절차 등을 거쳐야 하기 때문이다. 해당 지역 수해민으로선 노심초사할 수밖에 없는 만큼 추가 지정을 서둘러야 한다.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돼도 지원금이 피해를 복구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정부와 지자체는 재난지원금의 현실화와 실효성 있는 수해 지원책을 다각도로 고민해야 한다. 하천 정비 등 혹시 모를 극한 호우에 대비하는 것도 잊지 말아야 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