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재활병원 노조와 사측인 대전시·충남대병원은 좀처럼 협상의 접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노조는 다른 병원에 비해 턱없이 낮은 임금을 개선하는 방안으로 정근수당과 위험수당 신설을 요구하고 있다. 10년 근속 시 '기본급의 50%' 지급을 정근수당으로 요구하고 있지만, 사측은 기본급 20% 수준을 제시하면서 돌파구를 찾지 못하고 있다. 노조는 연간 재정부담이 1억원도 안되는 만큼 실질적인 운영 기관인 대전시가 수용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노조와 사측의 협상 난항은 근본적으로 병원의 적자와 무관하지 않다. 대전시에 따르면 개원 3년 차에 들어선 병원의 적자는 지난해 34억6000만원에서 올해 40억9000만원으로 추산되고 있다. 문재인 정부 국정과제로 2023년 개원한 대전 공공어린이재활병원은 건립 당시부터 매년 수십억원의 적자가 예상됐다. 기획재정부는 병원 건립에 국비를 지원한 후 추가 재정 투입이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열악한 처우로 직원들의 퇴사가 일상이 되고, 매년 수십억 적자를 내는 병원이 지속적으로 존립하기는 힘들다. 국비 지원은 병원 존립의 관건이 된다. 이재명 정부는 공공의료 인프라 확충을 약속했다. 장애아동 재활과 치료 등 이만한 공공의료 기능을 수행하는 병원도 없다. 대전시와 지역 민주당 국회의원들은 함께 국비 지원을 관철해야 한다. 당장은 대전시가 노조와 병원 정상화 방안을 마련, 사회적으로 절대 약자인 장애아동 환자와 보호자들의 근심을 덜어줘야 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