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3일 대전교육청에 따르면 2024년 4월·2025년 1월 교육부 중앙투자심사(중투심)에 잇달아 고배를 마신 후 더 이상 심사를 의뢰하지 않은 채 대안을 모색 중이다. 당초 계획한 2027년 3월 개교 목표는 이미 불가능해졌다.
대전 공립형 대안학교는 2014년 임기를 시작한 설동호 교육감과 이전 김신호 교육감 때부터 이어진 교육 현안이지만 2025년 현재까지도 이뤄지지 않고 있다. 공립 대안학교는 획일화된 교육과정이 아닌 학생 개인의 특성을 반영한 대안교육을 할 수 있는 학교다.
설동호 교육감은 취임 2024년 7월 8일 개최한 3선 취임 2년(통산 10년) 기자회견에서 유성구 복용동 부지 확정 사실을 공개했다. 앞서 옛 진잠초 방성분교, 학하초 부지에 각각 목표했던 학교 설립이 어려지자 새로 찾은 부지다.
![]() |
2024년 7월 8일 설동호 대전교육감 3선 취임 2년 기자회견 당시 모습. |
이에 대전교육청이 해당 내용을 보완해 2025년 1월 중투심을 재신청했지만 이번 다른 사유를 들어 학교 설립을 막았다. 대안교육이 주가 되는 순수 대안교육 중점 학교 설립과 학령기 인구 급감에 따른 설립 규모 재검토를 사유로 또 다시 고배를 마셨다. 교육청은 인공지능(AI) 중심 대안학교를 계획한 바 있다.
2025년 1월 이후 두 번의 중투심이 더 있었지만 대전교육청은 학교 설립을 위한 심사를 의뢰하지 않았다. 교육과정 편성 등 시간이 필요하다는 게 대전교육청의 설명이다.
2027년 개교 목표는 이미 물 건너갔다. 대전교육청은 이르면 2029년에나 공립형 대안학교 개교가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지만 이마저도 안갯속이다.
기본적인 학교 콘셉트를 다시 구상해야 하는 상황에서 앞서 확보한 부지를 변경할 가능성도 전해진다. 일대 주민들과 협의한 내용들이 변경되면서 주민 수용성에 변화가 있을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그동안 주민 반발 등 수용성 문제로 부지 선정에 시간이 걸린 만큼 복용동 부지를 철회한다면 시간이 더 소요될 수 있다.
대전교육청은 조만간 공립 대안학교와 관련한 검토사항을 발표할 계획이다. 대전교육청 미래생활교육과 관계자는 "검토하고 있는 내용이 있는데 조만간 발표할 수 있을 것"이라며 "학교 설립은 늦어지지만 대안교육 프로그램까지 늦출 순 없어 프로그램을 마련하려 한다"고 말했다. 임효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