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충청권 내륙철도 노선도. 제공은 충남도 |
<글 싣는 순서>
① 수도권 중심 철길… 이제는 지역 거점 중심으로
② 충청권 메가시티 마중물… 광역 철도 조성 속도 내야
③ 철도는 충청 수부도시 대전 중심으로 풀자
④ 멈춰선 '세종역'은 필요한가
⑤ 철도 자원의 활용도를 높이자
대전의 이웃인 충북은 예전에 사실 철도 소외 지역으로 볼 수 있었다. 국토의 중심에 위치했지만, 경부선 조치원역에서 갈라져 나온 충북선이 중앙선인 제천과 연결됐을 뿐 수도권과 직접 연결이 안 돼 철도 이용이 저조했었다. 그런 충북이 철도 중심도시를 꿈꾸고 있다. KTX 오송역이 고속철도 분기역으로 자리를 잡으면서 최근에는 중부내륙선까지 개통하면서 새로운 전기를 맞이하고 있다.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신규사업 10건을 건의하는 등 본격적인 철도 부흥 시대를 향해 가고 있다. 그 사이 '철도도시'였던 대전은 명성을 잃어가고 있다. 호남고속선이 오송역을 거치게 되면서 도심에 조성될 계획이었던 공주역은 접근성이 크게 떨어지는 현 위치에 자리 잡으면서 이용객의 외면을 받고 있으며, 서대전역의 KTX 정차 횟수는 60여편에서 10여편으로 크게 줄었다. 현재 철도가 수도권 중심으로 구성돼 대부분 남북축으로 조성돼 이에 대한 영향을 많이 받을 수 밖에 없는데 충남과 충북은 이름과 달리 한반도 중심의 동서에 자리를 잡고 있어 남북 축은 어느 한 지역으로 갈 수 밖에 없다
대전이 철도도시의 명성을 되찾기 위해선 이 부분에 대한 해결책 마련이 절실하다. 충북은 벌써부터 충남과 충북, 경북 등 13개 시·군을 잇는 '중부권 동서횡단철도'를 적극 추진 중이다.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추가 검토 사업'으로 반영돼 있는 상태로 이재명 대통령의 대선 공약에 포함돼 기대감을 높이고 있는 사업이다. 충남 서산을 기점으로 당진·예산·아산·천안, 충북 청주·증평·괴산, 경북 문경·예천·영주·봉화·울진까지 330㎞를 잇는 게 골자다.
현재까지 충남에서 대전까지 운행하는 직통열차는 없다. 이에 충남도에서 '충청내륙철도' 건설 사업을 추진 중이다. 충남 태안부터 서산공항-내포신도시-청양-공주-세종-신탄진-대전까지 146.7㎞를 단선으로 잇는 노선이다. 총사업비는 4조 4725억 원으로 추산된다. 충청 내륙철도가 개통되면 태안에서 세종까지 약 40분, 대전까지는 1시간 이내로 이동시간이 대폭 단축된다. 더욱이 충남 내포신도시와 대전이 연결된다. 대전 입장에서는 대전·충남 행정통합을 추진하고, 충청권메가시티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꼭 필요한 상황이다.
이와함께 대전은 올 연말 확정되는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2026-2035)에 '동서고속선'(대전-익산)과 '대전문경선'(대전-점촌), '대전남원선'(대전-남원) 등 3개 노선을 건의했다. 동서고속선은 대전부터 익산까지 67㎞ 연장으로, 신설 시 오송을 거치지 않고 대전-익산-호남고속선을 연계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추산 사업비는 3조 3000억 원이다. 대전과 강원 등 연계를 강화할 대전·문경선은 84㎞ 규모로 2조 2000억 원, 금산과 무주 등 철도소외지역을 포함해 대전부터 남원까지 117㎞를 잇는 대전·남원선은 3조 7000억 원이 각각 추산된다.
철도 사업은 막대한 비용이 투입되는 만큼 관건은 경제성이다. 수도권에 비견할 수는 없지만, 최소한의 경제성을 갖춰야 사업 추진의 명분이 될 수 있다. 과학도시 '대전'과 행정수도 ‘세종’이라는 장점을 부각해 경제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지역균형발전에 대한 당위성도 중요하다. 김윤덕 신임 국토교통부 장관은 취임식에서 "지역균형발전을 위해 경제성 중심의 SOC 사업 결정 방식을 재검토해야 한다"면서 "누구나가 공정한 기회를 누릴 수 있도록 어디에서나 자유롭게 연결되는 사회를 만들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역 철도사업 한 인사는 "아이러니하게도 대전(충남)과 충북은 철도사업을 놓고 협업과 경쟁을 할 수밖에 없는 구조"라면서 "대전 입장에서는 오송역의 등장으로 철도 중심 패권에서 밀리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중심을 끌어내리던, 이중 구조를 만들던, 장기적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