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싣는 순서>
① 수도권 중심 철길… 이제는 지역 거점 중심으로
② 충청권 메가시티 마중물… 광역 철도 조성 속도 내야
③ 철도는 충청 수부도시 대전 중심으로 풀자
④ 멈춰선 '세종역'은 필요한가
⑤ 철도 자원의 활용도를 높이자
![]() |
KTX 세종역 검토 위치도. 세종시 제공 |
하지만, 상황은 녹록하지 않다. 2012년 지방선거부터 2024년 총선까지 'KTX 세종역 건설'이 단골 메뉴로 올라왔지만, 이번 대선에서는 사라졌다. 세종시가 '제 2의 수도'를 내걸고 출범했는데도 수도권과 직결되는 전철 노선이 하나도 없어 도시 발전을 위해 꼭 필요한 교통망이라는 의견이 중론이다. 하지만, 정부는 'KTX 세종역 건설'에 대해 철도수요와 정거장 안전성 등을 이유로 여전히 신설 불가 입장을 고수했고, 오송역(충북)·공주역(충남)·서대전역(대전) 등의 기능 약화를 우려한 주변 광역자치단체의 지지를 받지 못했다. 현재는 충청권 메가시티 등 여러 협력 사업을 추진하는 상황에서 'KTX 세종역 건설'은 더욱 오리무중이었다.
대전 입장에서 'KTX 세종역'은 나쁜 선택지가 아니다. 서대전역 기능이 약화될 수 있지만, 대전은 북부권에 있는 유성의 인구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다. 2023년 세종시가 발표한 아주대 산학협력단과 동명기술공단에 의뢰한 KTX 세종역 설치사업 연구용역 결과를 보면 대전 북부권 50여만명 이상 배후수요 등이 경제성 효과를 끌어올린 것으로 풀이된다고 밝혔다. 대전 과학 인프라가 대부분 북부권에 밀집해 있어 이로 인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의미다.
![]() |
CTX(충청권광역급행철도)노선도<최초 제안서 기준>. 제공은 국토교통부 |
KTX 세종역의 대체재로 CTX를 거론했다. CTX는 대전정부청사역에서 정부세종청사, 조치원, 오송역을 거쳐 청주공항까지 총 64.4㎞를 잇는 노선이다. 최대 시속 180km인 급행열차를 투입해 충청권 핵심 도시를 1시간 안으로 연결하는 사업으로 민간사업자가 추진 중이다. 현재 국토교통부 의뢰로 한국개발연구원에서 민자적격성조사를 진행 중이다. 조사 결과는 올해 12월 나올 예정이다. 현재 계획상 CTX는 대전~세종~충북지역을 연결하는 1노선과, 대전~세종~조치원역~천안~서울까지 잇는 2노선, 총 2개 축으로 구상됐다.
CTX의 등장으로 'KTX 세종역'은 수면 아래로 내려갔지만, 상황은 미지수다. 가장 큰 변수는 아직 민자적격성조사 결과가 나오지 않았다. 이 사업은 정부주도의 대전~세종~충북을 연결하는 광역철도사업을 윤석열 정부 당시 민자사업으로 전환한 경우다. 경제성에 따라 민간사업자가 포기할 수도 있다. 또한, 광역급행철도는 고속철도와 엄연한 차이가 존재한다. 주변 도시 간 연결성을 높일 수 있지만, 기존 고속철도와의 접근성에 대한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대도시의 도심과 시계 바깥의 도시를 잇는 철도망을 '광역망'이라고 한다.
대전 입장에서는 CTX가 추진되면 대전역과 대덕특구를 경유하는 CTX-a에 대한 고민이 깊어질 수 있다.
지역 철도 한 관계자는 "광역철도 사업은 지역 연결성이 큰 사업으로 사업성이 떨어지지 않는 선에서 도시 내 정차역을 최대한 만들어내야 하는데 CTX는 서울 연결이 핵심"이라면서 "대전으로서는 지역산업 축으로 성장하고 있는 북대전을 경유하는 노선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