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전 중앙로 지하상가 비상대책위원회가 6일 대전경찰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방원기 기자 bang@ |
6일 대전 중앙로 지하상가 비상대책위원회는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이 주장하며 대전경찰청에 고소장을 접수했다. 대전시는 2024년 7월 5일 자로 관리협약·개별점포 사용허가가 만료됨에 따라 중앙로지하상가 관리 주체를 대전시설관리공단으로 이관하고 440개 점포에 대한 경쟁 입찰에 진행했다. 비대위에 따르면 2024년 5월 22일 공지된 중앙로지하상가 1차 경쟁 입찰과 관련해 마감 후 자체 조사를 진행했다. 이들은 낙후된 구역과 활성화된 구역 조회수가 비슷하게 나타난 점과 상인 외 일반인은 입찰 공지 자체를 인지하기 어려운 점 등을 의혹으로 제기했다. 또 1인 1점포 입찰이란 조건에도 불구하고 조회수가 급격하게 치솟았다고 했다.
비대위는 정보공개청구를 통해 한국자산관리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온비드 시스템의 2024년 5월 23일부터 29일까지 대전시설관리공단이 공고한 물건 440개에 대한 입찰 일별 조회수 데이터를 공개했다. 이들은 이 기간 A·B·C·D 구역의 평균 조회수가 동일하다고 꼬집었다. 대전 중앙로 지하상가의 경우 소비자들이 밀집되는 구역으로 경쟁 입찰이 몰릴 수밖에 없는데, 조회수를 보면 4개 구역 모두 평균이 같거나 비슷하다는 게 비대위의 설명이다. 비대위는 누군가 의도적으로 조회수를 올리지 않는 한 소비자 발길이 뜸한 소외 구간의 조회수가 잘 나올 수 없다고 힐난했다. 또 이 기간 특정 하루만 조회수가 눈에 띌 만큼 떨어져 있었고, 이날을 제외한 나머지는 고루 상승하는 패턴을 보였다고 지적했다.
장인수 비대위원장은 "일반 입찰 조회는 물건별 관심도와 위치, 점포 상황에 따라 다르게 반응해야 하는데 그렇지 않았다"며 "A·B·C·D구간의 조회수가 동시에 급감하려면 수천 명의 단위 사용자가 모두 특정 날짜에만 활동을 멈춰야 하고, 우연히 모두가 다른 날짜엔 일제히 활동하기 시작하는 건 불가능에 가깝다"고 꼬집었다.
비대위는 철저한 조사를 통해 진상을 밝혀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비대위는 "현재 많은 조회수에 놀라 본인이 영업하는 매장을 빼앗길 수 있다는 두려움에 높은 입찰가로 낙찰을 받게 된 수많은 상인들은 말할 수 없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빠른 시일 내 진실이 밝혀져 상인들의 명예가 회복되고, 정의가 살아있는 대전으로 반드시 되돌아오길 바란다"고 말했다.
방원기 기자 ba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