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이스트(한국과학기술원)에는 특히 강력한 목표가 있다. 과학기술에 기반한 경제 발전 기여가 그것이다. 학부 2년, 석·박사 통합 4년 등 6년 만의 박사 학위 취득으로 한국형 오펜하이머(미국의 물리학자)를 양산한다는 구상도 이날 내비쳤다. 예산 없이 지역-국가-글로벌 혁신 네트워크로 이어지는 AI 기술과 데이터 주권을 말하긴 힘들다. AI 투자 100조 원 목표가 AI 지역혁신 거점 만들기에 더 잘 집중돼야 할 듯하다.
실용적 AI 생태계 구축이라는 새 정부 정책 방향성은 나쁘지 않다. 다만 '실용'만 너무 강조해도 문제다. 기초과학 연구자들이 기술개발 과제로 눈을 돌릴 수 있다. 국내 AI 기업 81.9%가 인력 부족에 목말라한다. 우수 인재를 기초과학과 공학으로 유입해야 할 판에 현실은 정반대다. 지난해 한국의 AI 인재 유출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국 중 네 번째인 건 이제라도 반성할 점이다. 중국, 인도 등 해외 AI 전문가 영입 방안까지 고려할 단계다. 카이스트 'AI (단과) 대학' 신설도 늦기 전에 나서고 해외 스타교수 물색에도 힘쓸 때다. 정부출연연구기관과의 협업 역시 순조로워야 한다.
핵심 인력 없이는 국정 과제인 '소버린 AI(주권 AI)' 개발은 없다. 미국, 중국에 이은 제3의 극(極)도 불가능하다. 과기원이 지역혁신 생태계의 중심에 서겠다고 4대 과기원 총장들이 약속했으니 일단 든든하다. 인재들이 모인 카이스트가 국가대표급 AI 통합 받침대가 되길 기대한다. 지역이 혁신 네트워크로서 카이스트, AI 전문기업들과 핵심 파트너가 되려면 지자체 디지털 역량(인력, 예산, 리더십)부터 재정비가 필요하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