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문학 아카이브] 63- '대전학'의 범주

  • 오피니언

[대전문학 아카이브] 63- '대전학'의 범주

박헌오 (사)한국시조협회 고문

  • 승인 2025-08-25 16:59
  • 신문게재 2025-08-26 19면
  • 김지윤 기자김지윤 기자
KakaoTalk_20250823_173405542
1993년 발간이후 보정이 안 된 한밭 인물지. (사진= 박헌오 고문)
'대전학'이란 말이 여러 문도에 의해서 거론되지만, 찻잔 속의 태풍이 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그것은 완성될 수 없는 끝없는 과제이기 때문이다. 새장 속의 새가 세상 새들의 마음을 다 알 수 없다. 숲에 살면서 숲의 마음을 품는 새와 같이 대전의 마음이 되는 다양한 '대전학'을 모두가 교양으로 삼아야 한다. 대전학이란 단어가 특허가 될 수 없고, 독점분야가 될 수 없으며 간과해서도 안 될 일이다. 시민 모두가 대전학을 이해하고 개척하며 생활화하는 데 따라서 싱싱한 도시가 된다. 대전학이란 주제는 무한히 열린 분야이고 한없이 방대한 분량이다. 몇 사람에게 맡길 수도 없지만 앞장서서 연구하고 설파하는 분들의 말을 허투루 들을 수도 없다. 대전이 문화도시이고 대전 시민이 문화시민이 되기 위해서는 시민 모두가 대전에 대한 것을 알기 위해 노력하고, 자랑스러운 것을 자랑스럽게 여겨 빛내주어야 한다. 대전인으로서 우리 편이 되어야 한다. 문학으로서는 대전의 자랑스러운 인물과 그의 대표적인 작품을 아는 데서부터 시작된다. 저도 나름대로 소중한 문인들이지만 기억의 뒤쪽에 묻혀 있는 분들을 재조명하기 위해서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다. 그분들의 작품을 읽고 기록해두고 좋은 시는 낭송해 보는 것이다. 다시 그런 분들의 작품을 꺼내어 앞으로 소개해 보려 한다.

박헌오 (사)한국시조협회 고문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장원토건 시공… 대전보건대 여자 기숙사 건립공사 1년 9개월 만에 재개
  2. 대전 아파트 신축 중 근로자 추락사 원·하청대표 각각 '실형'
  3. 與, 특별법 속도전? 로우키? 行首완성 의지 가늠
  4. 대전역세권 재정비촉진계획변경 공청회 9월 4일 개최
  5. [사건사고] 홍성 공장 근로자 기계 끼임사고·고속도로 연쇄추돌
  1. [홍석환의 3분 경영] 일할 맛
  2. 정부 R&D 예산 확대 시사에 대전시 '화색'
  3. 2026년 R&D 예산 최대 증가에 과학기술계 "환영… 연구 생태계 정상화 시그널"
  4. 대전 바이오산업의 AI 융합 혁신 성장 전략 도출
  5. "꿀 강의 10만 원에 산다"…지역 대학가 학생 간 강의 매매 성행

헤드라인 뉴스


세종시법 전면 재정비 필요성… 제주·전북·강원특별법과 대조

세종시법 전면 재정비 필요성… 제주·전북·강원특별법과 대조

국가균형발전을 선도하는 세종시의 특별법은 2011년 3월 국회 문턱을 넘어 현실과 이상에 맞게 잘 적용되고 있을까. 시 출범 후 13년을 보낸 2025년 이에 대한 전면 재정비 필요성이 시의회로부터 제기됐다. 이순열(어진·도담동) 시의원은 25일 제100회 시의회 임시회 본회의 5분 발언을 통해 "세종시 발전의 기둥인 세종시특별법의 중요성을 되짚어보고, 시대적 요구에 미치지 못하는 한계와 개정 필요성에 대해 말씀드리고자 한다"라고 밝혔다. 세종시가 법률적 토대 위에 건설되고 성장하고 있는 도시이고, 세종시법은 이의 주춧돌이나 행정수..

최교진 사회부총리겸 교육부 장관 후보 인사청문회 9월 2일
최교진 사회부총리겸 교육부 장관 후보 인사청문회 9월 2일

이재명 정부 초대 교육부 장관 후보인 충청 출신 최교진(53년생) 세종특별자치시 교육감에 대한 국회 인사청문회가 9월 2일 열린다. 국회 교육위원회는 25일 오전 전체 회의를 열고 최교진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 인사청문요청안과 인사청문회 실시계획서, 자료제출 요구안, 증인·참고인 출석요구안을 여야 합의로 의결했다. 여야 교육위원들은 청문회를 위해 모두 43개 기관에 1075건 자료 제출을 요구했다. 앞서 8월 19일 이 대통령은 "대한민국 교육 발전에 40여년 이상 헌신하며 오랜 교육 현장 경험과 폭넓은 행정 역량을 갖추고..

내달 대전·세종·충남 아파트 입주물량 0건… 전국도 한달 새 33% 감소
내달 대전·세종·충남 아파트 입주물량 0건… 전국도 한달 새 33% 감소

내달 대전과 세종, 충남지역에 입주 물량이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입주 물량도 전달보다 30% 이상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25일 부동산플랫폼 직방에 따르면, 9월 전국 아파트 입주 물량은 1만 1134세대로 집계됐다. 이는 이달 물량인 1만 6549세대 대비 33% 감소한 수치다. 내달 수도권 아파트 입주 물량은 5695세대로 전체 물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가운데, 이달(9655세대)과 견줘 약 41% 줄었다. 지방 입주 예정 물량은 5439세대로, 이달(6894세대)보다 약 21% 적은 수준이다. 지역별 입주 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학사모 하늘 높이…충남대 학위수여식 학사모 하늘 높이…충남대 학위수여식

  • 코로나19 환자 증가세…재확산 조짐 코로나19 환자 증가세…재확산 조짐

  • 대천해수욕장 폐장일에도…막바지 피서객 ‘북적’ 대천해수욕장 폐장일에도…막바지 피서객 ‘북적’

  • ‘드론테러를 막아라’ ‘드론테러를 막아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