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산 대산 공단 전경 |
이번 지정은 국내 3대 석유화학단지 가운데 두 번째 사례로, 공급 과잉과 원자재 가격 불안정으로 침체를 겪고 있는 대산단지의 회생과 재도약을 목표로 하고 있다.
대산석유화학단지는 전국 2위의 에틸렌 생산능력을 갖춘 핵심 산업단지임에도 지난해 가동률은 74.3%로 3대 단지 중 최저를 기록했다.
올해 2분기에는 68.0%로 더 하락했으며, HD현대오일뱅크, 한화토탈에너지스, 롯데케미칼, LG화학 등 주요 기업은 일부 생산라인 가동 중단과 희망퇴직을 단행했다.
이에 따른 지역경제 영향도 뚜렷하다. 기업 국세 납부액은 2022년 1조4천951억 원에서 지난해 1천160억 원으로 91.9% 감소했고, 법인 지방소득세는 92.5% 줄었다. 이는 고용률 하락, 상권 침체, 폐업 증가 등 사회·경제적 파급으로 이어지고 있다.
충남도와 서산시는 2조6천억 원 규모, 5개 분야 26개 사업을 발굴해 지역 산업 경쟁력 강화에 나섰다. 주요 전략은 ▲긴급 경영안정자금 지원 ▲지방투자촉진 보조금 확대 ▲산업단지 기반시설 개선 ▲신산업 분야 투자 유치 ▲소상공인 금융 지원 등 다각적 정책을 병행하는 것이다.
이완섭 서산시장은 "대산단지가 국가 경제의 중요한 축인 만큼, 이번 지정을 계기로 산업 경쟁력을 회복하고 지역경제 활력을 되찾을 기반이 마련 됐다"고 말했다. 안호 충남도 산업경제실장도 "석유화학산업 생태계 회복과 미래형 산업구조 도약의 중요한 전환점"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나 현장에서는 실효성에 대한 의문도 나온다. 대산산단 관계자들은 "대기업 지원책이 제한적이고, 글로벌 공급 과잉 속에서 단기 지원만으로 투자 유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아울러 "민간산단인 일반대산산업단지를 국가산단으로 지정하고, 용수·전기 요금 인하 및 저리 대출 지원 등 특단의 구조적 지원 대책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지역 소상공인 역시 "저리 대출 외에 현실적 지원책이 미비하다. 기업이 위축되면 주변 지역 상권도 함께 침체된다"며 "단기적 정책만으로는 장기적 경제 회복이 어렵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지정이 정책적 상징성과 초기 지원책 제공에는 의미가 있지만, 실질적 지역경제 회복과 산업 재도약을 위해서는 장기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주요 과제로는 ▲산업단지 기반시설과 물류 인프라 개선 ▲국가산단 전환을 통한 세제·요금 혜택 확보 ▲신산업·친환경 투자 유치 ▲중소기업·소상공인 지원 체계 강화 등이 꼽힌다.
결국 대산산단의 재도약은 정책, 기업, 지역사회가 유기적으로 협력하고 단계적 실행 전략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는지 여부에 달려 있다. 위기 속 정책 전환은 기회가 될 수 있지만, 실질적 성과 창출을 위해선 장기적 관점의 정책 설계가 필수적이라는 지적이다.
서산=임붕순 기자 ibs99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