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황광민 나주시의원 |
황광민 의원은 "전남에서 전국 최초로 주민조례를 통해 시행된 농민수당은 농업의 공익적 가치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확산시키고 최소한의 소득을 보장했으며 지역경제를 되살리는 마중물이 되었지만 농민수당이 국가정책으로 전환되기까지 갈 길이 멀다"며 "이런 상황에서 진보당과 농민단체들의 노력한 결과물 중 하나가 농어촌기본소득이다"고 언급했다.
또한 농어촌기본소득 도입을 공식화한 이재명 정부 국정기획위 발표를 소개하며 "오는 2026년부터 6개 군 단위 약 24만 명을 대상으로, 월 15만원씩 지역화폐로 지급하는 시범사업이 추진되며 2028년 이후에는 69개 군으로 확대해 약 272만 명에게 지원하겠다는 계획에 따라 1,700억 원 규모의 예산(국비 40%, 도비 30%, 시군비 30%)이 책정되었다"고 말했다.
이어 황광민 의원은 "보편적 지원은 분명히 내수경제 활성화에 기여한다는 것이 증명되는데도 굳이 시범사업을 거칠 필요가 있는지 의문이다. 검증이 필요하다며 지체하는 사이, 농촌은 더 빠른 속도로 소멸의 길로 내몰리고 있다. 즉각적인 전국 시행으로 사업의 효과를 극대화하여야 한다"며 이재명 정부의 농어촌기본소득 계획이 향후 나아갈 바에 대한 의견을 밝혔다.
아울러 "재정자립도가 낮은 지자체들은 30% 분담 자체가 버거워, 애초에 사업 공모조차 참여할 수 없는 상황에 놓이게 돼 소멸위험 지역일수록 더 절실히 필요한 정책이 정작 가장 필요한 곳에서 시행되지 못하는 모순이 발생할 수 있다. 정부가 최소 90% 이상을 책임지고 지자체 분담금을 10% 이하로 낮춰 모든 지자체가 차별 없이 참여토록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현재 농업·농촌식품산업기본법상 농촌지역 주민은 약 960만 명, 이 중 소멸위험지역 읍면은 448만 명이며, 이들에게 월 30만 원씩 지급하면 연간 16조원 가량이 필요하다. 이 정도가 되어야만 농촌을 살릴 수 있는 실질적인 대책이 될 것"이라며 "2019년 전남이 전국 최초로 농민수당을 주민조례로 도입했듯이 전남과 나주가 앞장서야 할 때"라고 말하며 5분 자유발언을 마무리했다.
나주=이승주 기자 1314191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