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으로서는 수소산업벨트가 석탄화력발전소 폐지 이후의 대안이 될 수 있다. 도내 발전 3사와 긴밀히 연결해 향후 범용 일반 인공지능(AI), 초AI(강AI) 시대에도 넉넉한 전기를 생산해야 한다. 수소산업 클러스터를 앞세워 전국 지자체가 차세대 청정에너지산업의 주도권 확보에 도전장을 내밀고 있는 사실도 기억해야 할 것이다. 울진 원자력 수소 등 '동해안 수소경제 벨트'와는 조화로운 공존이 필요하다.
탄소중립을 말하면서 수소 생산의 90% 이상이 화력연료에 의존하는 것은 뼈아픈 대목이다. 태양광·해상풍력 등 친환경 전력을 활용한 수소 생산에 더욱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도내 철강·석유화학 산업과도 연계시킬 수밖에 없다. 수소 전문기업 200개 육성 계획이 일부 수소사업 철수나 유보 입장을 보이는 기업에도 좋은 자극이 되길 바란다. 세제·재정·규제 완화 등 패키지 지원은 필수다. 수소산업 확산의 가장 큰 전제는 에너지 전환이 지체되지 않는 것이다.
수소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 대학, 기업, 충남산학융합원 등과 긴밀히 공조해야 한다. 수소 생산 비용, 운송 및 저장, 인프라 부족을 해결해야 수소도시 10개소 조성도 실현 가능하다. 충남도가 국내 수소 공급 30% 점유 계획을 밝힌 건 6년 전이다. 전초적 수소 생산 거점 역할을 수행하려면 이재명 정부가 운을 뗀 '수소고속도' 확충이 시급하다. 에너지를 다변화하고 신산업을 육성하는 일은 단순하지 않다. 충남이 핵심 축으로 성장하려면 수소 기술 개발을 위한 예산도 대폭 늘려야 한다. 언제라도 사업화가 가능하도록 저장·운송, 활용 등 모든 준비를 다할 때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