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부산대 양자원천연구사업 킥오프 사진./부산대 제공 |
부산대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하는 '차세대 양자과학기술 핵심 기초원천연구' 사업에 단독 선정됐다.
옥종목 물리학과 교수를 중심으로 초전도 소재, 측정, 이론을 아우르는 융합 연구를 통해 국내 양자소재 연구 거점으로 도약할 계획이다.
이번 과제는 에너지 손실이 없는 초전도체 중에서도 차세대 양자컴퓨터의 핵심으로 주목받는 3차원 위상초전도체를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위상초전도체는 마요라나 상태라는 특이한 양자 상태를 통해 정보 손실에 강하고 잡음에 잘 견디는 특성을 가진다. 이는 미래 양자컴퓨터의 안정성과 성능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차세대 소재로 주목받는 이유다.
연구팀은 올해부터 2029년까지 5년간 국비 45억 원, 시비 2억 원 등 총 47억 원을 투입한다. 이를 통해 고품질 위상초전도 소재 개발 및 성능 향상, 극저온·고자장 환경에서의 특성 측정 기술 확보, 다양한 측정 기법을 통한 위상초전도 현상 검증 등을 추진한다.
또한,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부산·울산·경남 지역을 국내 양자소재 연구 거점으로 육성하고 지역 제조업 및 첨단산업과의 연계도 강화할 방침이다.
이번 과제에는 부산대 물리학과 옥종목, 박성균, 황춘규 교수를 비롯해 UNIST, KAIST, 창원대 등 다수의 대학과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연구진이 함께 참여한다. 고순도 단결정 성장부터 이론 모델 계산, 극저온 물성 측정, 특성 검증에 이르는 전 주기를 아우르는 융합 연구가 진행된다.
연구책임자인 부산대 옥종목 교수는 "이번 과제는 세계적으로도 도전적인 연구 분야다. 성공한다면 부산을 넘어 대한민국이 양자소재 연구를 선도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 다가올 양자 시대를 준비하는 데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부산=김성욱 기자 attainuk051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