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전시청사. 사진제공은 대전시 |
최근 대전연구원이 발표한 '대전시 폐기물부문 온실가스 발생 현황과 감축 방안'을 보면 대전시의 생활폐기물 소각량은 2022년 7만 9651.3톤으로 급증한 후 2023년 9만 6834.7톤까지 증가하는 등 증가 폭이 매우 크게 나타났다.
이는 2023년 기준 전국 광역시 중 4번째로 많은 것이다.
또한 대전시의 생활폐기물 매립량은 2023년 6만 5298.5톤으로 2021년 12만3773.8톤에 비해 감소했지만, 전체 광역시 중 2번째로 매립량이 많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 같은 결과는 생활폐기물 발생량의 변동폭이 크지 않은 것 등을 고려할 때 2030년 직매립 금지에 대응해 소각량을 늘렸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타 광역시에 비해 재활용률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어 앞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로 보인다.
폐기물 부분 온실가스 배출 역시 관리 노력이 필요하다.
대전시 폐기물부문 직접배출량은 2021년(25.3%), 2022년(12.1%) 두 해 연속으로 큼 폭의 증가세를 보였으며, 2022년 기준 87만6160톤 CO10ep 수준에 해당해 6대 광역시 중 4번째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직접배출량의 매립 및 소각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약 91.80%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간접배출량 역시 2022년 기준 79만6090톤 CO10ep 수준으로 이 역시 광역시 중 4번째이며, 91%가 매립과 소각 과정에서 발생했다.
이에 연구진은 대전시 관내 공공재활용시설이 부재하다며 설치에 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대전시 하수처리장 및 음식물 처리시설에서 생산된 바이오가스의 온실가스 감축 기여도를 높이기 위해 활용처를 다각화 할 수 있는 방안 마련도 요구했다. 이를 위해 현재 수소트램 도입 추진에 발맞춰 지역 내 자체 수소생산기반 시설 도입 필요성을 제기했다.
이와함께 공공기관과 대형 유통업체를 중심으로 1회용품 사용 제한과 다회용기 보증제, 친환경 포장재 인증제 등의 도입 의무화도 강조했다.
음식물 쓰레기 비중이 여전히 높아 RFID기반 종량제 확대를 통한 감축을 유도하고 사용 가럄ㅇ에 따른 요금 감면, 포인트 제공, 친환경 인증과 같은 인센티브 제도 등의 정책 검토도 제시했다.
특히 대전시는 전국 17개 광역시도 중 유일하게 관내 공공선별장이 부재한 상황으로 재활용 비중의 지속적인 감소, 재활용 폐기물 처리 비용 증가, 폐기물 운송 거리 증가 및 환경부담 가중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어 공공선별장 도입이 필요하다.
문충만 대전연구원 책임연구위원은 "공공선별장 도입 시 안정적인 폐기물 처리 시스템 운영이 가능해지고, 고품질 원료를 출하함으로써 재활용률을 구조적으로 제고할 수 있다"면서 "소각 및 매립량 감소, 수거·운송 단계의 직·간접배출량 감소 등으로 인한 폐기물부문의 온실가스 직접 감축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