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종지역 경계성 지능·난독 학생을 위한 관계기관 협력체계 /세종시교육청 제공 |
21일 세종시교육청에 따르면 2025년 지역 초·중·고교 학생 중 경계선 지능·난독 진단 학생은 각 50명, 57명으로 총 107명이다. 51명(경계선 지능 30명·난독 21명)이던 2024년과 비교하면 2배 넘게 증가한 것으로, 심층진단 지원 학생 수도 97명에서 114명으로 17명이나 늘었다.
![]() |
지능의 정규분포 곡선 /세종시교육청 제공 |
경계선 지능·난독 학생 상당수는 학교생활과 학습에서 어려움 등을 겪고 있지만, 특수교육 대상 학생들에 비해 교육지원은 상대적으로 부족해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현실이다.
이에 세종시교육청은 경계선 지능·난독증 학생이 차별과 낙인 없이 자신의 속도로 꿈을 키워 갈 수 있도록 지원하는 '느루나래 프로젝트'를 본격 추진한다고 21일 밝혔다. '느루나래 프로젝트'는 '느루(오래도록 천천히)', '나래'(날개)의 합성어로, 학생이 조금 느리더라도 자신만의 속도로 더 멀리, 더 높이 날 수 있도록 돕겠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교육청은 2023년 '경계선지능 학생 지원 조례'를 제정하고, 2024년부터 경계선 지능·난독증 학생 지원 신청을 받아 심층 진단과 상담·치료 지원을 시작했다. 학생 1인당 200만 원의 예산 지원을 통해 인지·관계성·심리정서 등 세 가지 영역으로 상담이 진행되고 있다. 무엇보다 2025년 예산을 2억 원으로 대폭 증액해 정책 내실화와 지원 확대에 나선다는 점이 고무적이다. 지난해 예산(6000만 원) 보다 3배 넘게 늘린 규모다.
그간 교육청은 모든 학교에 조기 발견을 위한 지능·난독 선별 점검표를 배포, 신청 학생을 대상으로 심층 진단을 실시해왔다. 판정 학생은 발달 특성에 따라 선정된 경계선 지능·난독 전문기관에서 인지능력 향상·또래 관계 개선 등을 위한 20회기 내외의 개별 맞춤형 상담·치료를 지원해 높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다.
이번 느루나래 프로젝트를 통해선 ▲조기발견 및 심층진단 ▲개별 맞춤형 지원 ▲사회적 인식 개선 등이 중점 추진된다. 특히 경계선 지능·난독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개선과 유아-아동-청소년-성인까지 이어지는 생애주기별 맞춤형 지원 체계 구축에도 힘을 쏟을 예정이다. 또한 현재 경계선 지능·난독 학생을 선별하는 학부모용 체크리스트를 개발 중으로, 내년 도입을 앞두고 있다.
백윤희 교육국장은 "경계선 지능과 난독 학생들이 조금 느리더라도 정책적 지원을 디딤돌 삼아 어려움을 극복하고, 작은 성공의 경험을 통해 더 멀리, 더 높이 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지원할 것"이라고 전했다.
세종=이은지 기자 lalaej2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