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공업지역현황도./김해시 제공 |
김해시는 2035년 김해시 공업지역기본계획의 정책 방향을 토대로 내년부터 노후 공업지역의 체계적 정비를 위한 '공업지역 정비구역 지정'과 '정비계획 수립'을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번 정비는 도시 공업지역의 활성화 및 관리에 관한 특별법에 근거해 노후 공업지역을 산업정비형, 산업관리형, 산업혁신형 등 유형별 관리 방안에 따라 기반 시설 개량, 업종 재배치, 환경 관리 강화 등 첨단 산업 중심의 지속 가능한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는 데 목적이 있다.
대상지는 산업단지 등 계획적 개발지를 제외한 용도 지역상 공업지역으로서, 관내 공업지역 총 10개소(9.0㎢) 중 노후도와 미개발지 현황, 접근성, 업종 연계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파급 효과가 큰 구역부터 시범 지정해 단계적으로 정비한다.
시는 이를 위해 내년 상반기 정비구역 지정 및 정비계획 수립 용역 착수, 기초 조사와 유형별 정비 방안 마련, 하반기 주민 열람과 관계 기관 협의, 도시계획위원회 심의, 공업지역 정비구역 지정 순으로 행정 절차를 차질없이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이번 정비구역 지정과 정비계획 수립은 공업지역기본계획의 실행을 본격화하는 첫걸음"이라며 "노후 공업지를 미래 산업 거점으로 전환해 지역 경제 활력과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시민 생활 환경과 기업 경쟁력이 함께 개선되는 상생 모델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김해=김성욱 기자 attainuk051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김성욱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