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66강 연저지인(?疽之仁)

  • 문화
  •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66강 연저지인(?疽之仁)

장상현/ 인문학 교수

  • 승인 2021-04-13 11:02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제66강 ?疽之仁(연저지인) : (부하의) 등창을 빨아주는 인자함.

글자 뜻 : ?(핥을 연) 疽(등창 저) 之(어조사 지) 仁(어질 인)

출전 : 사기(史記), 손자/오기열전(孫子/吳起列傳)

의미 / 비유 : 등창을 빨아주는 인자함과, 훌륭한 지도자의 표상에 비유





사기(史記) 손자/오기열전(孫子/吳起列傳)에 등장하는 대장군 오기(吳起)는 전국시대 초기의 병법가(兵法家)이다.

그는 위(衛)나라의 부자집 아들로 태어났으며 고위관리가 되고자 하는 꿈이 있었다. 그러나 뜻을 이루기도 전에 재산을 탕진하여 주변에 웃음거리가 되었으며, 이에 자기를 비웃은 사람 30여 명을 죽이고 이웃나라로 도망을 친다.

오기(吳起)는 고향을 떠나면서 스스로 팔꿈치 살을 물어뜯으며 "대신(大臣)이나 재상(宰相)이 되기 전에는 절대 돌아오지 않겠습니다"라며 어머니에게 맹세했다. 그 후 오기는 노(魯)나라에 가서 공자의 제자 증삼(曾參)의 문하에 들어갔으나 모친이 죽었는데도 고향에 돌아가서 상복(喪服)을 입지 않았다하여 쫓겨나게 된다.

이 사건 이후 오기는 유학(儒學)을 단념하고 병법(兵法)을 익혀 명장(名將)이 된다.

이때 제(齊)나라가 노(魯)나라를 공격해오자 노나라 왕은 오기를 장군으로 삼고자 했으나 그의 아내가 제(齊)나라 사람이라는 이유로 신하들의 반대에 부딪쳤다. 그러자 오기는 자신의 아내를 죽여 장군이 되기 위해 마침내 살처구장(殺妻求將)의 충성을 보여준 후 장군으로 기용되어 제나라를 물리친 후에 유명해졌다.

전쟁을 마친 후 오기는 위(衛)나라 출신이라는 점 때문에 다시 충심(忠心)을 의심받자 노나라를 떠나, 위(魏)의 문후(文侯)에게 몸을 의탁하게 된다.

위나라 문후는 재상 이극(李克)이 "오기는 탐욕스럽고 호색하지만 병법에 있어서는 그를 따를 자가 없습니다"라며 천거했기에 오기를 장군으로 임명해서 진(秦)의 다섯 성을 뺏는 데 성공한다. 오기는 장군이 되어 늘 병사들과 동일한 환경에서 생활(먹고, 자고)하므로 병사들로부터 진심으로 존경을 받고 있었다.

한번은 병사 중 한 명이 심한 종기로 인해 사경(死境)을 헤매고 있자, 오기는 이를 보고 자기 입으로 직접 피고름을 빨아 병을 낫게 해주었다. 그런데 이 이야기가 종기로 아팠던 병사의 어머니에게 전해졌는데, 소식을 들은 어머니는 갑자기 목 놓아 울기 시작했다 한다. 사람들이 이상히 여겨 우는 이유를 물으니 병사의 어머니가 말하기를 "몇 해 전 오기 장군의 휘하에 있던 그의 아버지 역시 오기장군이 고름을 빨아주어 종기를 깨끗이 치료한 적이 있습니다. 그 병사의 아버지는 장군의 은공에 감복하여 전투에서 은혜에 보답하고자 죽음을 불사하고 용맹하게 싸우다 결국은 목숨을 잃고 말았습니다. 이제 아들이 또 오기 장군에게 다시금 큰 은혜를 입은 것은 목숨이 얼마 남지 않았음이니 슬픔을 참을 길이 없습니다"라고 말하면서 더욱 큰 소리로 울었다.

자기를 알아주던 사람에게 은혜를 갚는다는 것은 정당하지만 어려운 처사이다.

춘추시대 진(晉)나라 때 예양(豫讓)이라는 협객이 자기를 등용해 인정해주던 옛 주인의 은혜를 갚고자 자객으로 행동하다 실패하여 참형을 당하면서 하던 말 '士爲知己者死 女爲悅己者容(사위지기자사 여위열기자용)'이란 유명한 말을 인용하고 있다.

즉, 남자는 자기를 알아주는 사람을 위하여 목숨을 바치고, 여자는 자기를 사랑하는 사람을 위하여 단장(丹裝)을 한다는 말이다.

이런 면에서 보면 오기는 인간의 감성을 확실히 이해했던 장군이다. 그는 조직 구성원 즉, 병사들의 신뢰를 얻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일이라는 것을 알았고 그래서 행동으로 병사들의 신뢰를 얻으려고 노력했던 것이다.

세간(世間)에 오기에 대한 평가(評價)는 두 가지로 갈린다.

첫째는 인정이 많고 아랫사람을 사랑하며 동고동락(同苦同樂)으로 군대 사기를 돋우어 전투능력을 배가시키는 위대한 장군상이다.

둘째로는 자기 출세를 위해 어떠한 행동도 서슴지 않고 행할 수 있는 비정한 사나이로 평가된다.

이에 한비자(韓非子)의 글에 이런 일화가 있다.

오기가 하루는 옛 친구를 만나 식사를 하자고 했는데, 친구가 "그래. 내가 좀 볼 일이 있어서 잠깐 일 좀 보고 먹자"고 했고, 오기는 "그래. 뭐 자네 돌아오면 먹지"라고 대답했는데, 저녁이 되도록 친구는 오지 않았고 오기는 끝까지 밥을 먹지 않고 기다리다가 결국 하루 종일 식사를 하지 않았다.

다음 날 아침, 오기는 사람을 보내 옛 친구를 찾아오게 했고 친구가 오자 그때서야 함께 식사를 하였다고 한다. 오기의 집념과 고집, 인내심을 짐작케 하는 일화이다.

어쨌든 사기의 저자 사마천은 오기에 대해 평(評)하기를 장수로서 우수성보다 인간미가 박정하고 비정한 사람으로 기록하고 있다.

우리 인간사는 조직이나 공동체의 일원으로 살아간다. 현대사회에서 볼 때 오기는 철저한 자기위주의 인간형이기는 하나 조직을 잘 관리하고 운영하는 지혜와 실천은 본받을 만하다.

특히 지도자의 경우 자기희생은 지도력과 직결되는 문제이기 때문이다.

자기 위주이면서도 남을 속이며, 자기를 과신하는 지도자는 후세에 어떠한 평가를 받을까? 자신을 성찰(省察)해 볼 필요가 여기에 있지 않을까?

장상현/ 인문학 교수

2020101301000791400027401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호서대' 연극트랙', 국내 최대 구모 연극제서 3관왕
  2. 아산시, 민관협력 활성화 워크숍 개최
  3. 천안법원, 공모해 허위 거래하며 거액 편취한 일당 '징역형'
  4. 충청남도교육청평생교육원, 노인 대상 도서관 체험 수업 진행
  5. 엄소영 천안시의원, 부성1동 행정복지센터 신축 관련 주민 소통 간담회 개최
  1. 상명대, 라오스서 국제개발협력 가치 실천
  2. 한기대 김태용 교수·서울대·생기원 '고효율 촉매기술' 개발
  3. 천안법원, 음주운전으로 승용차 들이받은 50대 남성 징역형
  4. 천안시의회 드론산업 활성화 연구모임, 세계드론연맹과 글로벌 비전 논의하다
  5. 세종시 '러닝 크루' 급성장...SRT가 선두주자 나선다

헤드라인 뉴스


`이재명 정부와 민주당` 충청권 역주행...행정수도 진정성 있나

'이재명 정부와 민주당' 충청권 역주행...행정수도 진정성 있나

행정수도와 국가균형발전 키워드를 주도해온 더불어민주당이 '해양수산부 이전' 추진 과정에서 강한 반발과 비판에 직면하고 있다. 이 대통령의 국정 지지도는 각종 여론조사 결과 대선 득표율(49.4%)을 크게 뛰어넘는 60% 대를 넘어서고 있으나 유독 충청권에서만 하락세로 역주행 중이다. 지난 7일 발표된 리얼미터와 여론조사 꽃, 4일 공표된 한국갤럽의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충청권은 호남과 인천경기, 서울, 강원, 제주권에 비해 크게 낮은 60%대로 내려앉거나 그 수준에 머물고 있다. 그 이유는 어디에 있을까. 2026년 충청권 지방선..

조국혁신당 대전시당, `검찰개혁 끝까지 간다`… 시민토크콘서트 성황
조국혁신당 대전시당, '검찰개혁 끝까지 간다'… 시민토크콘서트 성황

조국혁신당 대전시당이 12일 유성문화원에서 '검찰개혁 시민콘서트'를 열어 당원·시민들과 함께 검찰개혁의 필요성과 구체적인 방향 등을 논의했다. 이날 행사엔 황운하 시당위원장과 차규근·박은정 의원이 패널로 참여하고, 배수진 변호사가 사회를 맡아 진행했다. 이들은 조국혁신당이 발의한 검찰개혁 5법 공소청법, 중대범죄수사청법, 수사절차법, 형사소송법 개정안·검찰독재 정치보복 진상규명과 피해회복을 위한 특별법 등의 내용과 국회 논의 상황, 향후 입법 일정·전망을 설명했다. 차규근 의원은 "수사절차법과 형사소송법 개정안을 통해 검찰의 무차별..

무더위에 수박 한 통 3만원 훌쩍... 농산물 가격 급등세
무더위에 수박 한 통 3만원 훌쩍... 농산물 가격 급등세

여름 무더위가 평소보다 일찍 찾아오면서 수박이 한 통에 3만원을 넘어서는 등 농산물 가격이 급등하고 있다. 13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대전 수박 평균 소매 가격은 11일 기준 3만 2700원으로, 한 달 전(2만 1877원)보다 49.47%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1년 전 2만 1336원보다 53.26% 오른 수준이다. 2020년부터 2024년까지 가격 중 최대·최소를 제외한 3년 평균치인 평년 가격인 2만 1021원보다는 55.56% 인상됐다. 대전 수박 소매 가격은 2일까지만 하더라도 2만 4000원대였으나 4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폐업 늘자 쏟아지는 중고용품들 폐업 늘자 쏟아지는 중고용품들

  • 물놀이가 즐거운 아이들 물놀이가 즐거운 아이들

  • ‘몸짱을 위해’ ‘몸짱을 위해’

  • ‘꿈돌이와 전통주가 만났다’…꿈돌이 막걸리 출시 ‘꿈돌이와 전통주가 만났다’…꿈돌이 막걸리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