쇄신파 의원들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돈봉투' 사건 이후 한나라당 해체와 재창당을 주장한 충정은 당 간판만을 바꾸는 '위장개혁'이 아니라 바로 정당체제를 근본적으로 개혁하자는 것이었다”며 “그 첫번째 과제가 바로 중앙당을 폐지하고 당대표제를 폐지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국회의원과 공천자의 사실상 사조직 역할을 해 온 당원협의회의 완전 개편, 중앙당 체제에서 비롯된 강제적 당론 폐지, 당정 협의회 폐지 등도 제안했다.
쇄신파의 재창당 요구 등이 '비대위 흔들기'라는 당내의시각에 대해 “쇄신의 깊이에 대한 문제제기와 쇄신 자체를 거부하는 행위는 명백히 구분돼야 한다”며 “더 이상 비대위를 흔들어서는 안된다고 생각한다. 정당체제 개혁의 주체는 당 비대위라는 점을 분명히 해두고자 한다”고 말했다.
그들은 이어 “그러나 비대위가 재창당을 뛰어넘는 수준의 쇄신을 이뤄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앞으로 비대위에 근본적인 쇄신 방안을 건의하고 동시에 비대위가 제대로 활동하는지 감시하는 역할을 해나가겠다”고 말했다.
권영진 의원은 “당원협의회를 폐지하자는 것은 돈선거와 돈선거의 바탕이 되는 국회의원과 출마예상자들의 사조직화 돼있는 당협을 전면 개편하자는 것”이라며 “시도당까지 폐지하자는 것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권 의원은 “원내대표 간 협의를 중앙당 대표가 뒤집음으로써 국회의 자율성을 중앙당이 가로막고 대결과 투쟁, 갈등의 정치를 양산하는 현상이 계속되고 있다”며 “중앙당과 당대표 폐지를 주장하는 것은 돈과 조직으로부터 새로운 정당체제를 갖자는 의미도 있지만 국회를 국회답게 하고, 국회의원의 자율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이는 정당법을 고치지 않아도 얼마든지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비대위를 흔드는 것이 아니라고 선을 그으면서도 현 비대위의 쇄신 작업에 만족하지 않으며 감시와 비판 기능을 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쇄신파 의원들은 16일 다시 모여 개혁안을 논의하고 의견이 모아진 개혁안을 잇따라 제시해 비대위 쇄신안에 반영되도록 할 계획이다.
서울=김재수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