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을 만나는 다양한 방법, 세종 때 천문관측 기구'대간의'

  • 시민기자
  • 시민기자 뉴스

대전을 만나는 다양한 방법, 세종 때 천문관측 기구'대간의'

대전의 천지사방을 열치다 천문연 소재… 600년만에 복원한 유산…국토의 중심인 삼천교 둔치에 설치돼야

  • 승인 2014-09-11 13:27
  • 신문게재 2014-09-12 10면
▲ 한국천문연구원에 있는 대간의.
▲ 한국천문연구원에 있는 대간의.
대간의란 무엇인가=한국천문연구원에 있는 대간의(大簡儀)는 세종 때에 천문관측에 쓰던 큰 간의(簡儀)를 거의 600년 만에 복원(復元)한 것으로 우리의 자랑스러운 과학문화유산이다. 간의는 이상적이기는 하나 매우 복잡하고 관측하기 불편한 혼천의(渾天儀, 璇璣玉衡)를 간소화해서 만든 천문관측 의기(儀器)이다.

현종 10년(1669) 동춘당 송준길이 세종 때의 옥루(玉漏, 자격루의 일종)가 설치된 흠경각(欽敬閣) 옛 제도의 복구를 임금에게 아뢰어 청하였다. 그래서 그 해에 이민철이 수격식(水激式) 혼천의를, 송이영이 윤격식(輪激式) 혼천의를 제작하였다. 송이영의 혼천의는 혼천시계(渾天時計, 국보 제230호)라고도 하며, 현재 고려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하늘과 땅의 사방을 열어보자=대전의 중심이자 국토의 중심인 삼천동(三川洞, 현 둔산3동)의 삼천교 아래 둔치에 대간의를 설치해보자. 그리고 사유환(四遊環)의 규형(窺衡)과 백각환·적도환의 계형(界衡)을 통하여 하늘의 사방을, 입운환(立雲環)의 규형과 지평환을 통하여 하늘과 땅의 사방을 힘차게 열어보자.

하늘의 중심에 있는 삼원(三垣:太微垣, 紫微垣, 天市垣)과 이를 둘러싸고 있는 28수(宿)를 살펴보면 천문을 알 수 있다. 태미원은 남방7수 위에 있고, 자미원은 그 안쪽에 천추성(天樞星, 북극성)과 북두칠성을 가지고 있으며, 천시원은 동방7수에 가까이 있다. 동방은 오행으로는 목(木)이고, 봄에 해당하며, 주재신은 청룡이다. 동방7수(각·항·저·방·심·미·기)는 진(辰:角·亢)방, 묘(卯:房·心)방, 인(寅:尾·箕)방으로 나뉘어 청룡의 머리, 몸통, 꼬리에 해당한다.

계족산 자락에 무수한 성혈=대전의 동방인 계족산 자락에는 산맥의 흐름을 따라서 남북으로 홈구멍인 성혈(性穴)이 무수히 많다. 특히 대덕구 동춘당 동쪽 계족산 자락의 비래동고인돌의 덮개돌에는 수십 개의 성혈이 다양한 문양과 크기로 존재한다. 북쪽의 우람한 응봉산을 마주한 선사시대의 부족장이 하늘의 3원과 28수를 이곳에 새기지 않았나 싶다. 주변에서도 많은 성혈이 발견된다.

또한 대덕구 읍내동 당산(堂山)의 배바위(船巖)에 있는 수십 개의 성혈은 계족산자락과 갑천이 만나는 곳에 위치한다. 이는 동구 천동의 알바위 성혈들과 궤를 같이한다. 즉 생명탄생과 풍요를 기원하는 대상인 남두(斗)육성과 기(箕)성 즉 궁수자리가 새겨져 있다.

대덕구의 계족산 정상 입석에는 일렬로 된 삼태성이 뚜렷하게 새겨져 있고, 회덕초등학교 경내에는 직각의 삼태성이 뚜렷하게 새겨져 있다. 전자는 죽음을 관장하는 북두(斗)칠성 아래의 삼태성이나 삼(參:오리온자리)수의 삼태성으로 보이고, 후자는 직녀, 견우, 천진으로 여름철의 대삼각형을 이루는 별자리로 보인다.

훼손된 생태환경 복원 꾀해야=대전의 중심에서 동쪽의 천지를 일부 가늠해보았다. 선사인은 거시적 관점에서 생태에 순응하며 살아왔음을 성혈을 통해서 알 수 있게 되었다. 조선시대에 동춘당 송준길이 그랬듯이 이제 우리도 거시적 융합적 관점으로 천지를 관찰하여, 훼손된 생태환경의 복원을 꾀하여야할 것이다.

김진희 시민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랭킹뉴스

  1. 의정부시, 시민 김지민 씨 저소득층에 성금 100만 원 전달
  2. 김해시, 2026년 노인일자리 7275명 확대 모집
  3. 인천 미추홀구, ‘시 특색 가로수길 평가’ 최우수기관 선정
  4. 대전을지대병원, 바른성장지원사업 연말 보고회 개최
  5. 대전상의, 청양지회-홍성세무서장 소통 간담회 진행
  1.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2. 공공사업 낙찰 규모 계룡건설산업 연말에 1위 탈환할까
  3. 이장우 시장 맞은 충남대병원, "암환자 지역완결형 현대화병원 필요" 건의
  4. 노사발전재단 충청중장년내일센터, '대전 기업 밋업데이' 개최
  5. 대청호 가을녹조도 하향추세…조류경보 '관심'으로

헤드라인 뉴스


`K-스틸법` 국회 본회의 통과… 대한민국 철강산업 재도약 발판

'K-스틸법' 국회 본회의 통과… 대한민국 철강산업 재도약 발판

침체를 겪는 대한민국 철강산업의 재도약의 발판을 마련할 이른바, ‘K-스틸법’이 27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면서 국가 경제의 탄탄한 동력을 확보하게 됐다. 충청 의원들이 대표 발의한 여러 민생법안들도 국회 문턱을 넘었으며, 여야 갈등의 정점인 국민의힘 추경호 의원 체포동의안도 국회 가결됐다. 국회는 이날 오후 본회의장에서 여야 합의로 상정된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 및 탄소중립 전환을 위한 특별법안’(K-스틸법)에 대한 표결을 진행한 결과, 재석 의원 255명 중 찬성 245명, 반대 5명, 기권 5명으로 가결했다고 밝혔다. K-스틸..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연말연시 어려운 이웃에게 온정을 나누기 위한 적십자회비가 매년 감소하자,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회장 유정복 인천시장)가 27일 2026년 대국민 모금 동참 공동담화문을 발표했다. 국내외 재난 구호와 취약계층 지원, 긴급 지원 등 도움이 필요한 이웃에 대한 인도주의적 활동에 사용하는 적십자회비는 최근 2022년 427억원에서 2023년 418억원, 2024년 406억원으로 줄었다. 올해도 현재까지 406억원 모금에 그쳤다. 협의회는 공동담화문을 통해 “최근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적십자회비 모금 참여가 감소하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