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 '굿모닝 라이스 페스타' 추진

  • 정치/행정
  • 세종

농식품부, '굿모닝 라이스 페스타' 추진

쌀가공식품 시장 확대.쌀 소비 촉진 위해
이달 말까지 아침 대용 200여종 할인 판매

  • 승인 2017-10-09 10:06
  • 백운석 기자백운석 기자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는 아침밥 먹기 캠페인 확산을 위해 2017 코리아세일페스타와 연계해 '굿모닝 라이스 페스타'를 추진한다.

아침 식사용 쌀가공식품 할인 판매를 통해 쌀가공식품 시장 확대와 쌀 소비 촉진을 위해서다.



농식품부는 이에 따라 10일부터 이달 말까지 행사기간으로 정하고 오픈마켓을 통한 온라인 기획전과 오프라인 매장을 통해 아침 식사용으로 적합한 쌀가공식품을 할인된 가격으로 판매하기로 했다.

간편하게 아침밥을 먹을 수 있는 여건 조성을 위해 오픈마켓 기획전은 쿠팡, 티몬, 위메프, 지마켓, 옥션 5개사를 통해 오뚜기, CJ, 동원 등 식품업체가 참여해 즉석밥, 냉동밥, 죽, 누룽지 등 200여 종의 쌀가공식품을 판매한다.



또, 떡 프랜차이즈 떡담과 삼송빵집, 쌀빵 전문점인 외계인방앗간의 일반매장에서도 행사를 진행한다.

직장인 대다수가 아침밥이 건강과 업무효율에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침밥을 잘 먹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실제로, 올해 초 서울시내 직장인 1400명을 대상으로 아침식사 실태조사를 한 결과, 평소 아침밥을 먹는 직장인들은 일주일(주말 제외)에 평균 4회 아침을 먹는 것으로 조사됐다. 연령이 낮을수록 섭취 빈도가 감소해 2·30대의 경우 평균에 못 미쳤다.

아침밥을 전혀 먹지 않는 직장인들은 '빠른 출근시간'(28.7%)과 '수면시간 확보'(27.9%) 등 시간적 여유 문제를 주요 결식 이유로 꼽았다.

2·30대는 '수면시간 확보'를, 4·50대 이상은 '빠른 출근시간'을 가장 큰 결식 이유로 꼽아 연령별 차이를 보였다.

아침을 먹는 직장인의 91.1%는 '아침밥이 건강에 도움이 된다'고 평가했다. '업무능률에도 도움이 된다'는 의견도 83.0%로 높게 나타났다.

아침밥을 먹는 직장인들은 '밥류'(64.7%), '빵류'(16.7%) 등으로 아침을 먹었다. 메뉴 선정 이유로는 '든든하다'(46.0%), '편리하다'(29.3%)는 점을 들었다.

평일에 아침밥을 전혀 먹지 않는 1인 가구들은 '수면시간 확보'(35.4%), '출근(등교)시간을 맞추기 위해'(29.7%), '식사 준비의 번거로움'(15.8%) 등의 이유로 아침밥을 먹지 않았다.

결식 이유 중 '밥 먹기 귀찮아서'라는 응답은 20대에서 0%였으나, 40대에서는 20.4%로 나타나 연령대별 응답 경향에 차이를 보였다.

평일에 아침밥을 먹는 1인 가구들은 '밥류'(42.8%), '빵류'(25.1%) 등으로 주로 아침을 먹었고, 해당 메뉴를 선정한 이유로는 '편리하다'(57.2%), '든든하다'(30.4%)는 점을 꼽았다.

주말에 아침밥을 먹는 1인 가구는 전체 응답자의 69.2%로 평일(77.4%)보다 비율이 낮았다. 주된 결식 이유는 '수면시간 확보'(64.7%), '밥 먹기 귀찮아서'(15.3%) 등이었다.

혼자 살기 이전에 비해 아침밥을 '거르는 경우가 더 많다'(48.7%)는 응답이 '더 챙겨먹는다'(11.7%)는 응답보다 많았다.

1인 가구들이 아침식사로 가장 많이 접해 본 쌀가공식품은 '떡·떡볶이'(69.0%)였으며, '누룽지'(64.9%), '쌀국수' (46.7%), '쌀 베이커리'(41.1%), '쌀 씨리얼'(25.9%) 등 종류가 다양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아침 식사 실태조사 결과, 아침밥이 업무 능률에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고 있으면서도 시간이 없어 아침밥을 먹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한 것에 큰 의미가 있다"며 "이를 종합적으로 분석해 아침밥 확산 정책 수립에 활용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이어 "굿모닝 라이스 페스타를 통해 직장인 등 국민들이 손쉽게 아침밥을 접할 수 있는 계기가 되어 쌀 소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앞으로도 국민들의 라이프 스타일에 맞춘 다양한 정책과 쌀 간편식 및 가공제품 개발을 계속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세종=백운석기자 bws@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시, 6대 전략 산업으로 미래 산업지도 그린다
  2. 강성삼 하남시의원, '미사강변도시 5성급 호텔 유치' 직격탄
  3. [특집]대전역세권개발로 새로운 미래 도약
  4. 대전시와 5개구, 대덕세무서 추가 신설 등 주민 밀접행정 협력
  5. 대전 출입국·외국인사무소, 사회통합 자원봉사위원 위촉식 개최
  1. 백소회 회원 김중식 서양화가 아트코리아방송 문화예술대상 올해의 작가 대상 수상자 선정
  2. 대전시 '제60회 전국기능경기대회 선수단 해단'
  3. 충남대·한밭대, 교육부 양성평등 평가 '최하위'
  4. 9개 국립대병원 "복지부 이관 전 토론과 협의부터" 공개 요구
  5. 대전경찰, 고령운전자에게 '면허 자진반납·가속페달 안전장치' 홍보 나선다

헤드라인 뉴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연말연시 어려운 이웃에게 온정을 나누기 위한 적십자회비가 매년 감소하자,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회장 유정복 인천시장)가 27일 2026년 대국민 모금 동참 공동담화문을 발표했다. 국내외 재난 구호와 취약계층 지원, 긴급 지원 등 도움이 필요한 이웃에 대한 인도주의적 활동에 사용하는 적십자회비는 최근 2022년 427억원에서 2023년 418억원, 2024년 406억원으로 줄었다. 올해도 현재까지 406억원 모금에 그쳤다. 협의회는 공동담화문을 통해 “최근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적십자회비 모금 참여가 감소하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제과 상점가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 대전 제과 상점가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