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전교육청과 대전 제일학원은 14일 이런 내용이 포함된 수험생 유의사항을 발표했다. 수험생들이 알아두면 좋은 문제 풀기 및 답안지 작성법을 소개한다.
▲문제 풀기 = 시간이 부족하면 심호흡을 하거나 기분을 바꾸자. 시계를 자꾸 보면 초조함이 더해져 문제를 풀지 못한다. 푼 문제 수와 시간을 확인하면서 시험을 보는 것이 시간 조절에는 가장 효과적이다.
오후 1시 10분에 시작되는 3교시는 시작과 동시에 듣기평가가 실시되니 긴장을 늦춰서는 안 된다. 사회탐구·과학탐구의 경우는 응시원서에 기재한 선택과목에 해당하는 문제를 풀어야 한다.
듣기평가에서는 보기를 먼저 읽는 것이 좋다. 한 차례만 들려주기 때문에 먼저 지문이나 보기를 봐두고 방송을 들으면 묻는 내용이 장소인지 사람에 관한 것인지 알 수 있어 훨씬 빠르게 요지를 파악할 수 있다. 문제지를 배부하면 바로 듣기문제부터 읽는 것이 좋다.
어려운 문제에 집착하지 말자. 수능은 앞 문항이 뒷 문항보다 쉽게 출제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므로 번호순으로 문제를 풀되 쉬운 문제부터 풀고 어려운 문제는 별도로 표시해 뒀다가 나중에 풀어야 시간적 여유가 있다. 주관식 문제는 객관식보다 어렵지 않으니 득점의 기회로 활용해야 한다. 수능 문제는 한 가지 풀이 법에만 매달리면 안 된다. 정답은 1개이지만 풀이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음을 염두에 두자. 문제와 지문은 반드시 끝까지 읽어라. 국어, 영어 영역의 지문은 마지막 부분에 결론이 많다.
▲답안지 작성 = 답안지에 예비마킹을 하면 안 된다. 답안지에 컴퓨터용 사인펜 이외의 필기도구 흔적이 남아 있는 경우 중복 답안으로 채점되는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므로 수정 테이프로 깨끗이 지워야 한다. 수정 테이프는 시험 감독관에게 요청하거나 개인 휴대가 가능하다. 시험 종료 10분 전까지 답안지에 답을 옮겨 적자. 마지막 순간에 시간이 부족해 답안지 표기를 잘못하면 돌이킬 수 없는 실수가 된다.
가급적 처음 고른 답을 고치지 말자. 알쏭달쏭한 문제는 처음 고른 것이 답일 확률이 높다. 전유진 기자 victory330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