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성 취약' 대전 교통약자 보호구역 정비 필요

  • 정치/행정
  • 대전

'안전성 취약' 대전 교통약자 보호구역 정비 필요

관내 557곳...양적성장에도 사고 빈발
시간제 차량통행 제한구역 확대해야

  • 승인 2018-01-13 08:00
  • 박태구 기자박태구 기자
어린이 보호구역2
어린이·노인·장애인 등 교통약자 보호구역의 안전성 향상을 위해 불법주·정차 금지구역과 시간제 차량통행 제한구역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전문가 주장이 제기됐다.

대전세종연구원이 발표한 '안전한 교통약자 보호구역 정비방안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대전에 지정된 교통약자 보호구역이 양적으로 크게 성장했음에도 안전성 측면에서 취약한 곳이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대전에 지정된 교통약자 보호구역은 지난해 기준 모두 557곳에 달한다. 이중 어린이보호구역은 469곳으로, 서구가 137곳, 유성구 105곳, 중구 78곳, 동구 77곳, 대덕구 72곳 순이다.

유형별로는 유치원이 190곳으로 가장 많으며, 다음으로 초등학교 152곳, 어린이집 121곳 순으로 나타났다.



대전에 지정된 노인 보호구역은 모두 87곳이다. 서구 23곳, 중구 22곳, 유성구 17곳, 동구 14곳, 대덕구 11곳 순으로 지정돼 있다.

장애인 보호구역은 전국에 51곳이 있는데, 대전에는 딱 1곳(동구 자양동) 뿐이다.

최근 5년간 대전 어린이 보호구역 내 어린이 교통사고는 매년 15건 내외가 발생한다. 2016년에는 18건이 발생했다.

연구원은 교통약자 보호구역을 확충하는 것도 좋지만, 기존 보호구역의 미흡한 측면을 개선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대전 어린이 보호구역
이런 측면에서 연구원은 대전 관내 교통약자 보호구역의 실태와 문제점을 분석하고, 안전성 향상을 위한 정비방안을 내놨다.

먼저 교통약자 보호구역 내 3~15m의 생활도로는 가급적 통행속도를 30㎞/h 이하로 줄이고, 차량 통행로와 분리된 보행로를 확보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교통사고가 많은 등·하교 시간 만이라도 차량통행을 제안해 어린이의 교통사고가 감소할 수 있도록 시간제 차량통행 제한구역 확대 필요성을 제기했다.

이와 함께 불법주·정차 금지구역을 확대하고 무인단속 장비 설치를 통해 단속활동 강화 할 것도 제안했다.

이범규 대전세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교통약자 보호구역 내 교통사고는 크게 줄지 않고 있다"며 "교통약자 안전성 확보를 위한 정비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태구 기자 hebalaky@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김해시, '김해맛집' 82곳 지정 확대...지역 외식산업 경쟁력 강화
  2. 인천 남동구 장승백이 전통시장 새단장 본격화
  3. 파주시, 운정신도시 교통혼잡 교차로 신호체계 개선
  4. 고양시, 2026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 참여자 모집
  5. 대전 횡단보도 건너던 50대 승합차 치여 숨져
  1. 고등학생 70% "고교학점제 선택에 학원·컨설팅 필요"… 미이수학생 낙인 인식도
  2. 대전·충남 우수 법관 13명 공통점은? '경청·존중·공정' 키워드 3개
  3. 충남도의회, 인재개발원·충남도립대 행정사무감사 "시대 변화 따른 공무원 교육·대학 운영 정상화" 촉구
  4. [홍석환의 3분 경영] 가을 비
  5. 대전 환경단체, 열병합발전 발전용량 증설 승인 전기위 규탄

헤드라인 뉴스


1천만원 이상 고액‧상습체납 대전 247명, 94.6억원 달해

1천만원 이상 고액‧상습체납 대전 247명, 94.6억원 달해

대전지역에 1000만원 이상 고액·상습 체납자 247명의 명단이 공개됐다. 대전시는 19일 지방세 및 지방행정제제·부과금 체납액이 각 1000만 원 이상인 고액·상습체납자의 명단을 시 누리집 및 위택스를 통해 공개했다. 이번에 공개된 고액·상습체납자는 올해 1월 1일 기준 체납 발생일부터 1년이 지난 1000만 원 이상 체납자이며 지난 10월까지 자진 납부 및 소명 기회를 부여한 후 지방세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됐다. 공개된 정보는 체납자의 성명·상호(법인명), 나이, 직업, 주소, 체납세목, 납부기한 및 체납요지 등이며..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개막이 500일 앞으로 다가왔다. 섬비엔날레 조직위원회(이하 조직위)는 예술감독과 사무총장, 민간조직위원장 등을 잇따라 선임하며 추진 체계를 재정비하고, 전시 기본계획을 마련하며 성공 개최를 위한 시동을 켰다. 19일 조직위에 따르면, 도와 보령시가 주최하는 제1회 섬비엔날레가 2027년 4월 3일부터 5월 30일까지 2개월 간 열린다. '움직이는 섬 : 사건의 수평선을 넘어'를 주제로 한 이번 비엔날레는 원산도와 고대도 일원에서 펼쳐진다. 2027년 두 개 섬에서의 행사 이후에는 2029년 3개 섬에서, 2031년에..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가 공공기관과 지자체가 발주하는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을 확대하는 등 지역 건설업체 살리기에 나선다. 정부는 1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러한 내용이 담긴 '지방공사 지역 업체 참여 확대방안'을 발표했다. 최근 지역 건설사의 경영난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지방공사는 지역 업체가 최대한 수주할 수 있도록 개선 방안을 마련한 것이다. 우선 정부는 공공기관(88억 원 미만)과 지자체(100억 원 미만)의 지역제한경쟁입찰 기준을 150억 원 미만까지 확..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