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성 취약' 대전 교통약자 보호구역 정비 필요

  • 정치/행정
  • 대전

'안전성 취약' 대전 교통약자 보호구역 정비 필요

관내 557곳...양적성장에도 사고 빈발
시간제 차량통행 제한구역 확대해야

  • 승인 2018-01-13 08:00
  • 박태구 기자박태구 기자
어린이 보호구역2
어린이·노인·장애인 등 교통약자 보호구역의 안전성 향상을 위해 불법주·정차 금지구역과 시간제 차량통행 제한구역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전문가 주장이 제기됐다.

대전세종연구원이 발표한 '안전한 교통약자 보호구역 정비방안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대전에 지정된 교통약자 보호구역이 양적으로 크게 성장했음에도 안전성 측면에서 취약한 곳이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대전에 지정된 교통약자 보호구역은 지난해 기준 모두 557곳에 달한다. 이중 어린이보호구역은 469곳으로, 서구가 137곳, 유성구 105곳, 중구 78곳, 동구 77곳, 대덕구 72곳 순이다.

유형별로는 유치원이 190곳으로 가장 많으며, 다음으로 초등학교 152곳, 어린이집 121곳 순으로 나타났다.



대전에 지정된 노인 보호구역은 모두 87곳이다. 서구 23곳, 중구 22곳, 유성구 17곳, 동구 14곳, 대덕구 11곳 순으로 지정돼 있다.

장애인 보호구역은 전국에 51곳이 있는데, 대전에는 딱 1곳(동구 자양동) 뿐이다.

최근 5년간 대전 어린이 보호구역 내 어린이 교통사고는 매년 15건 내외가 발생한다. 2016년에는 18건이 발생했다.

연구원은 교통약자 보호구역을 확충하는 것도 좋지만, 기존 보호구역의 미흡한 측면을 개선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대전 어린이 보호구역
이런 측면에서 연구원은 대전 관내 교통약자 보호구역의 실태와 문제점을 분석하고, 안전성 향상을 위한 정비방안을 내놨다.

먼저 교통약자 보호구역 내 3~15m의 생활도로는 가급적 통행속도를 30㎞/h 이하로 줄이고, 차량 통행로와 분리된 보행로를 확보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교통사고가 많은 등·하교 시간 만이라도 차량통행을 제안해 어린이의 교통사고가 감소할 수 있도록 시간제 차량통행 제한구역 확대 필요성을 제기했다.

이와 함께 불법주·정차 금지구역을 확대하고 무인단속 장비 설치를 통해 단속활동 강화 할 것도 제안했다.

이범규 대전세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교통약자 보호구역 내 교통사고는 크게 줄지 않고 있다"며 "교통약자 안전성 확보를 위한 정비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태구 기자 hebalaky@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구미, 주민안전 무시한 보행자 보도정비공사 논란
  2. 안양시, 평촌신도시 정비 ‘청신호’ 가속
  3. 영천, '신성일기념관 개관 기념' 고향사랑기부 이벤트
  4. "아산페이 안 쓰면 손해"-연말까지 18% 할인 연장, 법인 10% 연장 할인
  5. 아산시 음봉어울림도서관, '시선 너머의 이야기' 전시
  1. 순천향대, 취-창업박람회 개최
  2. 아산시보건소, 보건사업 우수사례 질병관리청장상 수상
  3. (주)서연이화, 취약계층에 이불 후원
  4.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3~4학년부 4강전
  5.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5~6학년부 예선

헤드라인 뉴스


"지역사랑상품권 지방비 최소분담률, 재정여건 따라 차등해야"

"지역사랑상품권 지방비 최소분담률, 재정여건 따라 차등해야"

국가 예산을 지원하는 ‘지역사랑상품권’(지역화폐) 발행 시 자치단체가 부담하는 ‘지방비 최소 분담률’은 재정 여건에 따라 차등해야 한다는 평가 결과가 나왔다. 또 이미 보편화 됐지만, 운영자금이나 이자 수입 등 자치단체의 자금 관리가 여전히 미흡하다는 문제점도 제기했다. 국회예산정책처가 발간해 11월 14일 공개한 ‘지역사랑상품권 발행 및 관리체계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 9월 기준 지역사랑상품권을 발행하고 있는 자치단체는 모두 190곳(광역 17곳 중 11곳, 기초 226곳 중 179곳)으로 집계됐다. 상품권 발행액은..

한미 통상·안보 팩트시트 발표… 상호관세 15% 인하, 핵잠 승인 담겨
한미 통상·안보 팩트시트 발표… 상호관세 15% 인하, 핵잠 승인 담겨

자동차와 반도체 분야 관세율을 포함한 한미 간의 무역 협상이 최종 마무리됐다. 한국의 핵추진 잠수함 건조와 우라늄 농축 및 사용후핵연료 재처리를 포함한 양국의 안보 협상도 문서 형태로 공식화됐다. 대통령실과 백악관은 14일 오전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양국의 관세·안보 협상에 대한 '조인트 팩트시트'(공동 설명자료)를 동시에 공개했다. 지난달 한미정상회담 직후 나올 예정이던 팩트시트 발표가 지연되면서 세부 내용에서 이견을 보이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왔지만, 이날 공개된 팩트시트에는 지난 정상회담 당시 발표된 내용이 고스란히 반영됐다..

대전시의회, "대전교도소 이전 지지부진…市 대책시급"
대전시의회, "대전교도소 이전 지지부진…市 대책시급"

대전교도소 이전사업이 8년째 진척을 보지 못하면서 대전시의 명확한 추진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시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제기됐다. 교도소 과밀화와 시설 노후 문제는 이미 한계를 넘었지만, 이전 사업이 장기간 답보 상태에 놓이며 후적지 개발 계획 역시 실효성이 떨어지고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14일 열린 대전시의회 제291회 정례회 도시주택국 행정사무감사에서 방진영 의원(더불어민주당·유성구2)은 "대전교도소는 수용률이 142.9%에 달해 전국 평균(122.1%)을 크게 웃돌고, 노후 시설로 국가인권위원회의 개선 권고까지 받..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3~4학년부 4강전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3~4학년부 4강전

  •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5~6학년부 예선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5~6학년부 예선

  • ‘수능 끝, 해방이다’ ‘수능 끝, 해방이다’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