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송아영 자유한국당 부대변인 |
이러한 Me Too 캠페인에 대한 수많은 지지와 동참은 우리나라에 그간 성폭력 사건이 얼마나 빈번하게 발생하고 은폐되어 왔는지 그 심각성을 보여주고 있다.
나는 Me Too 캠페인이 과거의 경험에 대한 폭로를 넘어 성적 자기결정권의 확립을 위한 우리 사회의 혁신운동으로 승화되어 발전되기를 바란다. 지금은 여성들이 남성들의 성폭력에 대응하는 용기와 결단이 필요한 때이다.
또한 이제껏 우리 사회가 반복해온 "이런 행동쯤은", "이런 말쯤은"이라는 성폭력 가해자에 대한 옹호가 더 이상 용인되어서는 안 된다. 사회 전반적 인식 개선과 교육을 통해 성적 문제들에 대한 엄격한 도덕적 잣대가 정립되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운동에 편승하여 특정 개인의 발언을 기초로 정확한 조사 없이 가해자를 함부로 추측하거나, 가해자로 지목된 사람의 신상을 함부로 보도하는 등 무죄추정의 원칙마저 저버리는 언론의 보도행태가 옹호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Me Too 운동의 진정한 의의는 단순한 폭로에 있는 것이 아니라, 성폭력 경험을 누구나 당당히 드러낼 수 있고 정당한 절차를 통하여 가해자에 대한 처벌이 이루어지는 건강한 사회를 만드는 것에 있다고 할 것이다. 이 과정에서 무고한 피해자가 발생한다면 Me Too 운동의 의의가 훼손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또한 Me Too 캠페인의 진행이 단순히 여성을 피해자로, 남성을 가해자로 생각하는 이분법적 사고를 통해 우리 사회의 남녀 갈등이 촉발되는 계기가 되어서도 안 될 것이다.
과거의 전통적 가치관 하에서는 대부분 여성들이 성폭력의 피해자였으나, 현대에는 남성 역시 피해자가 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으므로 성적 자기결정권의 존중이라는 보다 근본적인 사회개혁 운동으로 발전시키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