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의 거목' '원조' 충청대망론 김종필 전 국무총리 별세

  • 정치/행정
  • 국회/정당

'충청의 거목' '원조' 충청대망론 김종필 전 국무총리 별세

5.16, 한일수교, 국무총리 등 현대정치사 족적 뚜렷
신민주공화당, 자유민주연합 창립…'원조' 충청대망론 주자
'포스트 JP' 경쟁도 후끈 전망

  • 승인 2018-06-24 10:39
  • 강제일 기자강제일 기자
PYH2018041806690001300_P4
김종필(JP) 전 국무총리가 23일 오전 별세했다. 향년 92세.

김 전 총리는 이날 오전 중구 신당동 자택에서 119 구급대에 의해 순천향병원으로 옮겨졌지만 이미 사망한 상태였다고 병원 측은 밝혔다. 유족으로는 아들 진씨, 딸 복리씨 1남1녀가 있다. 빈소는 서울아산병원 장례식장에 차려질 예정이다. 장지는 국립묘지가 아닌 부여 선영이 될 것으로 보인다.

김 전 총리의 서거로 김영삼 전 대통령, 김대중 전 대통령 등과 함께 1960년대부터 우리 정치권을 풍미해 온 이른바 '3김 시대'는 실질적 종언을 고하게 됐다. 김 전 총리는 충남 부여출신으로 공주고와 서울대 사범대,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했으며 6대 총선에서 당선된 뒤 7·8·9·10·13·14·15·16대를 거치며 9선 금자탑을 쌓은 충청을 대표하는 정치인이다.

PYH2015112200800001300_P4
그는 1961년 처삼촌인 박정희 전 대통령의 5·16 쿠데타에 가담하면서 현대 정치사에 전격 등장한 뒤 초대 중앙정보부장 초대부장을 역임했고 한일 국교정상화에도 깊숙이 관여했다. 1971년부터 1975년까지 4년 6개월 간 국무총리를 지내며 탄탄대로를 걸었다.



하지만, 1980년 신군부의 등장과 함께 '권력형 부정축재자 1호'로 몰려 영어의 몸으로 옥고를 치르기도 했으며 현실정치에서 밀려난1984년부터는 미국으로 건너가 유랑생활을 하기도 했다.

하지만, 김 전 총리는 충청권을 기반으로 재기에 성공했다. 1986년 귀국한 뒤 신민주공화당을 창당한 김 전 총리는 1987년 13대 대선에 출마해다가 낙선했다. 그러나 1988년 치러진 13대 총선에서 충청권을 기반으로 35석의 국회의원을 확보하는 데 성공, 충청권 맹주로서의 입지를 다졌다.

'원조' 충청대망론 주자로서의 도전의 역사도 파란만장했다. 김 전 총리는 자신의 평생의 꿈인 내각제를 고리로 1992년 대선에서 3당 합당과 함께 김영삼(YS) 당시 대선 후보를 지원했다. 5년 뒤 1997년에 치러진 대선에선 직접 '선수'로 뛰었다.

자신이 창당한 자유민주연합 후보로 다시 대권에 도전했으나 선거 막바지 'DJP(김대중·김종필) 연합'을 성사시키며 김대중(DJ) 당시 대선 후보에 대한 지지를 선언함으로써 첫 수평적 정권교체와 함께 국민회의·자민련 공동정권을 탄생시켰다.

PYH2018062302760001300_P4
그러나 내각제 파동과 16대 총선 과정에서 쌓인 공동정권 앙금은 결국 2001년 9월 임동원 당시 통일부 장관 해임안 가결 및 공조파기로 이어지면서 김 전 총리의 시련은 또 다시 시작됐다. 김 전 총리는 2004년 17대 총선을 통해 재기를 시도했으나, 자신의 10선 도전 실패와 함께 고작 4명의 의원만 배출하는 참패를 당한 뒤 정계은퇴를 선언하기에 이르렀다.

김 전 총리에 대한 평가는 정치 9단' ,'경륜의 정치인' 등 긍정적인 평가에서 '처세의 달인, '쿠테타 세력' 등 부정적 평가가 엇갈린다. '영원한 2인자', '풍운의 정치인' 등 그동안 한국정치사에서 세(勢)가 약했던 충청출신 정치인을 빗댄 별명도 있다. 하지만, 최근까지 충청 정치인들은 자신의 정치적 거취를 밝히거나 결단을 하기 전 김 전 총리에 대한 예방을 '통과의례'로 생각해 오는 등 '충청의 거목'으로서의 김 전 총리의 영향력은 막대했다 이 때문에 김 전 총리 별세 이후 누가 과연 충청권 대표정치인으로 성장할 수 있을런지도 관심이 쏠린다. 보수 및 진보진영을 총망라해 거론되는 후보는 많지만, 아직 김 전 총리의 아성에 필적하는 커리어를 보여준 정치인이 없는 만큼 향후 이 자리를 향한 뜨거운 대결이 전망된다. 서울=강제일 기자 kangjeil@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천안 A대기업서 질소가스 누출로 3명 부상
  2. 신탁계약 남발한 부동산신탁사 전 임직원들 뒷돈 수수 '적발'
  3. 천안김안과 천안역본점, 운동선수 등을 위한 '새빛' 선사
  4. 내년 최저임금 1만320원 지역 노사 엇갈린 반응… 노동계 "실망·우려" vs 경영계 "절충·수용"
  5. ‘몸짱을 위해’
  1. 대전상의-대전조달청, 공공조달제도 설명회 성료
  2. 성추행 유죄받은 송활섭 대전시의원 제명 촉구에 의회 "논의 후 결정"
  3. 김민숙, 뇌병변장애인 맞춤 지원정책 모색… "정책 실현 적극 뒷받침"
  4. 회덕농협-NH누리봉사단, 포도농가 일손 돕기 나서
  5. 세종시 싱싱장터 납품업체 위생 상태 '양호'

헤드라인 뉴스


이재명 정부 해수부 이전 강행…국론분열 자초하나

이재명 정부 해수부 이전 강행…국론분열 자초하나

이재명 정부가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을 추진하면서 국론분열을 자초하지 않을까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집권 초 미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위협 등 매크로 경제 불확실성 속 민생과 경제 회생을 위해 국민 통합이 중차대한 시기임에도 되려 갈등만 키우고 있다는 지적이다. 공론화 절차 없이 해수부 탈(脫) 세종만 서두를 뿐 특별법 또는 개헌 등 행정수도 완성 구체적 로드맵 발표는 없어 충청 지역민의 박탈감을 키우고 있기 때문이다. 해수부는 10일 이전 청사로 부산시 동구 소재 IM빌딩과 협성타워 두 곳을 임차해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두 건물 모두..

31년 만에 폐원한 세종 `금강수목원`...국가자산 전환이 답
31년 만에 폐원한 세종 '금강수목원'...국가자산 전환이 답

2012년 세종시 출범 전·후 '행정구역은 세종시, 소유권은 충남도'에 있는 애매한 상황을 해결하지 못해 7월 폐원한 금강수목원. 그동안 중앙정부와 세종시, 충남도 모두 해법을 찾지 못한 채 사실상 어정쩡한 상태를 유지한 탓이다. 국·시비 매칭 방식으로 중부권 최대 산림자원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열 수 있었으나 그 기회를 모두 놓쳤다. 세종시 행정중심복합도시와 인접한 입지의 금남면인 만큼, 금강수목원 주변을 신도시로 편입해 '행복도시 특별회계'로 새로운 미래를 열자는 제안이 나왔다. 무소속 김종민 국회의원(산자중기위, 세종 갑)은 7..

신탁계약 남발한 부동산신탁사 전 임직원들 뒷돈 수수 `적발`
신탁계약 남발한 부동산신탁사 전 임직원들 뒷돈 수수 '적발'

전국 부동산신탁사 부실 문제가 시한폭탄으로 여겨지는 가운데 토지신탁 계약 체결을 조건으로 뒷돈을 받은 부동산신탁회사 법인의 임직원들이 재판에 넘겨졌다. 대전지검 형사4부는 모 부동산신탁 대전지점 차장 A(38)씨와 대전지점장 B(44)씨 그리고 대전지점 과장 C(34)씨를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수재등) 등의 혐의로 불구속 기소했다고 11일 밝혔다. 또 시행사 대표 D(60)씨를 특경법위반(증재등) 혐의로 함께 불구속 기소했다. A씨 등 부동산 신탁사 대전지점 차장으로 지내던 2020년 11월부터 2022년 4월까지 시행..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몸짱을 위해’ ‘몸짱을 위해’

  • ‘꿈돌이와 전통주가 만났다’…꿈돌이 막걸리 출시 ‘꿈돌이와 전통주가 만났다’…꿈돌이 막걸리 출시

  • 대전 쪽방촌 찾은 김민석 국무총리 대전 쪽방촌 찾은 김민석 국무총리

  • ‘시원하게 장 보세요’ ‘시원하게 장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