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 전 총리는 이날 오전 중구 신당동 자택에서 119 구급대에 의해 순천향병원으로 옮겨졌지만 이미 사망한 상태였다고 병원 측은 밝혔다. 유족으로는 아들 진씨, 딸 복리씨 1남1녀가 있다. 빈소는 서울아산병원 장례식장에 차려질 예정이다. 장지는 국립묘지가 아닌 부여 선영이 될 것으로 보인다.
김 전 총리의 서거로 김영삼 전 대통령, 김대중 전 대통령 등과 함께 1960년대부터 우리 정치권을 풍미해 온 이른바 '3김 시대'는 실질적 종언을 고하게 됐다. 김 전 총리는 충남 부여출신으로 공주고와 서울대 사범대,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했으며 6대 총선에서 당선된 뒤 7·8·9·10·13·14·15·16대를 거치며 9선 금자탑을 쌓은 충청을 대표하는 정치인이다.
![]() |
하지만, 1980년 신군부의 등장과 함께 '권력형 부정축재자 1호'로 몰려 영어의 몸으로 옥고를 치르기도 했으며 현실정치에서 밀려난1984년부터는 미국으로 건너가 유랑생활을 하기도 했다.
하지만, 김 전 총리는 충청권을 기반으로 재기에 성공했다. 1986년 귀국한 뒤 신민주공화당을 창당한 김 전 총리는 1987년 13대 대선에 출마해다가 낙선했다. 그러나 1988년 치러진 13대 총선에서 충청권을 기반으로 35석의 국회의원을 확보하는 데 성공, 충청권 맹주로서의 입지를 다졌다.
'원조' 충청대망론 주자로서의 도전의 역사도 파란만장했다. 김 전 총리는 자신의 평생의 꿈인 내각제를 고리로 1992년 대선에서 3당 합당과 함께 김영삼(YS) 당시 대선 후보를 지원했다. 5년 뒤 1997년에 치러진 대선에선 직접 '선수'로 뛰었다.
자신이 창당한 자유민주연합 후보로 다시 대권에 도전했으나 선거 막바지 'DJP(김대중·김종필) 연합'을 성사시키며 김대중(DJ) 당시 대선 후보에 대한 지지를 선언함으로써 첫 수평적 정권교체와 함께 국민회의·자민련 공동정권을 탄생시켰다.
![]() |
김 전 총리에 대한 평가는 정치 9단' ,'경륜의 정치인' 등 긍정적인 평가에서 '처세의 달인, '쿠테타 세력' 등 부정적 평가가 엇갈린다. '영원한 2인자', '풍운의 정치인' 등 그동안 한국정치사에서 세(勢)가 약했던 충청출신 정치인을 빗댄 별명도 있다. 하지만, 최근까지 충청 정치인들은 자신의 정치적 거취를 밝히거나 결단을 하기 전 김 전 총리에 대한 예방을 '통과의례'로 생각해 오는 등 '충청의 거목'으로서의 김 전 총리의 영향력은 막대했다 이 때문에 김 전 총리 별세 이후 누가 과연 충청권 대표정치인으로 성장할 수 있을런지도 관심이 쏠린다. 보수 및 진보진영을 총망라해 거론되는 후보는 많지만, 아직 김 전 총리의 아성에 필적하는 커리어를 보여준 정치인이 없는 만큼 향후 이 자리를 향한 뜨거운 대결이 전망된다. 서울=강제일 기자 kangjeil@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