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일아트 소비자 계약 불만 크다

  • 경제/과학
  • 유통/쇼핑

네일아트 소비자 계약 불만 크다

계약 해지 거부와 위약금 과다 청구 심각
계약서 등 꼼꼼히 받고 확인해야

  • 승인 2018-06-29 09:08
  • 윤희진 기자윤희진 기자
# A 씨는 2016년 3월 네일샵에서 네일서비스 10회권(40만원)을 구입했다. 1회 사용 후 임신으로 인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어 사업자에게 계약해지 의사를 표하고 잔여분(9회)에 대한 환급을 요구했다. 하지만 사업자는 고객 변심에 따른 환급은 불가하다며 거부했다.

# B 씨는 네일샵에서 30만원 상당의 정액권을 샀다. 당시 사업자는 계약서를 작성하지 않았고 유효기간에 대해서도 안내하지 않았다. 1년 후에 C 씨는 네일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네일샵을 방문했는데, 사업자는 유효기간(1년) 경과로 정액권이 소멸됐다며 서비스 제공을 거부했다. 사업자의 일방적인 유효기간 설정으로 계약이 소멸됐다.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최근 손발톱 미용을 위해 네일서비스를 이용하는 소비자가 늘고 있는 만큼, 피해도 커지고 있다

일정 금액을 예치해 서비스를 받는 ‘계속 거래’ 성격의 회원제 계약이 많은데, 사업자가 계약 중도 해지를 거부하거나 과다한 위약금을 청구하면서 곳곳에서 마찰을 빚고 있다.



한국소비자원이 최근 5년간(2013년~2017년) 1372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네일서비스' 관련 소비자상담은 모두 2616건으로 매년 늘고 있다. 여름 휴가 기간인 6월에서 8월 사이에 더 많다.

가장 많은 상담은 계약 중도 해지 거부와 위약금 과다 청구다.

대부분의 네일서비스 업체는 장기계약(회원제)과 단기계약(일회성 비회원)으로 구분해 서비스 금액에 차이를 두면서 고액의 회원제 장기계약을 유도하고 있다.

1소비자
한국소비자원 제공
소비자상담 2616건을 불만 유형별로 분석한 결과, '계약 중도 해지를 거부하거나 과다한 위약금을 청구한 경우'가 46.7%(1,221건)로 가장 많았다.

이어, 설명과 달리 무료서비스를 이행하지 않는 등의 '계약불이행' 15.1%(395건), 소비자에게 안내하지 않은 유효기간을 계약조건으로 설정해 일정 기간 후 서비스 잔여액을 소멸시키는 등의 '부당행위'가 7.6%(199건), '서비스 불만족' 6.2%(163건) 등의 순이었다.

계약금은 최대 621만원이며, 평균 34만 5000원이었다. 결제방법은 대다수(78.4%)는 일시불 거래(현금 41.3%, 신용카드 37.1%)를 이용했고, 14.4%만 할부거래다. 사업장 휴·폐업 시 많은 소비자 피해가 커질 수밖에 없다.

그런데도 일부 업체는 계약서조차 작성하지 않았다.

방문판매 관련법에 따라 계속 거래 계약 시 사업자는 계약서를 작성해 소비자에게 줘야 하지만, 일부 네일서비스 업체는 구두 설명 또는 쿠폰 지급만 하고 있는 실정이다. 계약서를 작성하지 않을 경우 소비자는 보상을, 업체도 행정처분을 받을 수 있어 개선이 필요하다.

소비자원은 네일서비스 업체 대부분 일반보다 저렴한 금액 또는 무료 서비스 추가 등을 내세우며 일정금액을 미리 내는 고액의 회원제 가입을 유도하고 있는 만큼 소비자들은 충동적으로 계약을 체결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윤희진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유성구, 전동보조기기 운전연습장 교육
  2. 이천시, '설봉공원 야외 대공연장' 재건립 추진
  3. "놀이터에 안심벨 설치해주세요"
  4. 호서대, '소프트웨어 중심대학' 연속 선정
  5. 아산소방서, 대형사업장 화재예방 집중 현장점검
  1. 아산시, 재미있는 인형극으로 흡연예방, 구강보건 홍보 나서
  2. 아산시, 도고초교에 '학교 숲' 조성
  3. (사)한국상품학회서 선보인 미래 각 분야별 논문 트렌드는
  4. '학생 꿈 위한 따뜻한 나눔' 대전국제통상고 장학금 기탁식
  5. 충남도, 청소년 대상 드론 무상교육 추진… 드론스포츠·드론코딩 '눈길'

헤드라인 뉴스


`깜깜이 선거`  앞  금강벨트 밴드왜건? 언더독?

'깜깜이 선거' 앞 금강벨트 밴드왜건? 언더독?

21대 대선레이스가 종반전으로 치닫고 있는 가운데 여론조사 공표 금지기간 돌입을 앞두고 최대 승부처 금강벨트 민심이 어떻게 출렁일지 정치권이 숨을 죽이고 있다. 각종 여론조사에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와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의 격차가 좁혀지고 있으며 보수 단일화가 막판 변수인 가운데 이른바 '깜깜이 선거' 기간에 대선링 민심변화 추이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정치권에 따르면 지난 22∼24일 잇따라 발표된 대선 후보 여론조사 결과에 집중됐다. 22일 발표된 전국지표조사(NBS) 결과(19∼21일 조사)에서 대전·세총·충청권에서 이재..

민주는 김문수·국힘은 이재명 공선법 위반 고발… 충돌 격화
민주는 김문수·국힘은 이재명 공선법 위반 고발… 충돌 격화

6·3 대선 운동이 종반전에 진입하고 치열한 지지율 경쟁이 벌어지면서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이 상대 후보를 고발하는 등 충돌이 격화되고 있다. 민주당은 5월 24일 국힘 김문수 후보를 공직선거법상 허위사실 유포죄로 경찰에 고발했다. 전날 대선 후보 2차 TV 토론회에서 ‘전광훈 목사가 사전 선거운동 혐의로 구속되자 눈물을 흘렸다는 사실을 김문수 후보가 부인했다는 이유에서다. 김 후보는 5월 23일 TV 토론회에서 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전 목사가 감옥을 갔을 때 눈물을 흘린, 그런 관계를 여전히 청산하지 못한 것 같아 안타깝다'고..

대전·세종·충남 4월 수출 전년比 4.5% ↓… 대전·세종 웃고 충남 울고
대전·세종·충남 4월 수출 전년比 4.5% ↓… 대전·세종 웃고 충남 울고

대전·세종·충남의 4월 수출이 전년 동월 대비 4.5% 감소한 69억2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대전과 세종은 선전했지만, 충남이 중화권 수출 부진으로 전체 수출에 발목을 잡았다. 25일 한국무역협회 대전세종충남지역본부(본부장 김용태)가 발표한 '4월 대전·세종·충남 수출입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대전·세종·충남 4월 전체 수출은 69억2000만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4.5% 감소했다. 같은 기간 수입은 36억1000만 달러로 14.1% 줄었고, 무역수지는 33억1000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지역별로 희비가 엇갈렸다. 대전은..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제21대 대통령선거 투표용지 인쇄 제21대 대통령선거 투표용지 인쇄

  • 대전 유성구, 전동보조기기 운전연습장 교육 대전 유성구, 전동보조기기 운전연습장 교육

  • 일주일 앞으로 다가온 대통령선거 사전투표 일주일 앞으로 다가온 대통령선거 사전투표

  • ‘실제 상황이 아닙니다’…재난현장 긴급구조 종합훈련 ‘실제 상황이 아닙니다’…재난현장 긴급구조 종합훈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