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그잔” vs “일회용컵” 커피숍 플라스틱 줄이기 동상이몽

  • 경제/과학
  • 유통/쇼핑

“머그잔” vs “일회용컵” 커피숍 플라스틱 줄이기 동상이몽

커피숍 업계 플라스틱 줄이기 캠페인
소비자들 여전히 편리함만 추구 나몰라라
개인 텀블러 사용 고객도 소수에 불과

  • 승인 2018-07-11 16:25
  • 이해미 기자이해미 기자
148094905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손님, 매장에서는 머그컵만 사용 가능합니다.”

“잠깐 있다가 갈 건데요. 테이크아웃 잔에 주세요.”

커피숍 업계가 플라스틱 사용량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여전히 소비자와는 ‘동상이몽’이다.

매장 내에서는 머그컵 사용만 가능하다는 공지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들은 테이크아웃 전용 잔인 일회용 컵에 음료를 받아 매장에서 즐기고 있는 모습을 손쉽게 포착할 수 있다.



일회용컵을 사용하는 고객이 매장에 머물러도 다른 조치를 취할 수 없어 플라스틱 줄이기는 헛구호라는 지적도 나온다.

대전 서구 둔산동의 한 커피숍은 하루 500잔 이상의 음료를 판매하고 있다. 이 가운데 일회용 컵으로 판매되는 음료는 약 70%다. 여름철이다 보니 아이스 음료가 판매율이 높은 것도 테이크아웃 판매율에 한몫하고 있다.

나머지 30%는 매장 내 머그컵 사용 고객과 개인 텀블러를 사용하는 손님의 몫이다. 하지만 개인 텀블러를 이용하는 고객은 여전히 소수에 불과했다.

실제 1시간 동안 커피숍에서 개인 텀블러를 사용하는 고객은 10명이 채 되지 않았다.

반대로 머그컵을 이용 하겠냐는 질문에는 대다수가 “테이크아웃 잔에 달라”며 고개를 젓기 일쑤였다.

커피숍 아르바이트생은 “매장 내 고객에게는 머그컵과 유리잔에 음료를 제공한다. 머그잔이 무겁다는 이유로 일회용 컵을 찾는 손님도 있다”며 “개인 텀블러를 사용하는 고객이 점차 늘고는 있지만 아직은 일부”라고 말했다.

스타벅스를 비롯한 대형 커피숍 프랜차이즈가 플라스틱 줄이기에 강도를 높이고 있지만, 소비자들은 ‘편한 게 좋다’는 인식이 강하게 남아 있었다.

일회용 컵을 사용하고 있던 익명의 손님은 “매장에서 먹다가 나갈 건데 굳이 유리잔에 받을 필요가 없다고 생각했다. 또 일회용컵이 가볍고 버리기도 쉬워서 텀블러를 이용해야겠다는 생각이 적은 것도 사실”이라고 말했다.

머그잔을 이용한 고객은 “알바생들이 컵을 또 닦아야 하는 불편함도 있겠지만, 플라스틱 사용하는 것보다는 낫다는 생각에 되도록 머그잔을 이용한다”고 강조했다.

플라스틱 컵 사용 제한에 이어 빨대까지 퇴출한다는 소식에 개인 텀블러와 스테인리스 빨대(영구 사용 가능)를 구입하는 등 일부 소비자들은 플라스틱 줄이기에 적극 대응하고 있기도 했다.

개인 텀블러만 사용한다는 직장인 고객은 “매장에선 머그컵만 사용할 수 있다고 하더니, 실제로는 테이크아웃 잔을 이용하는 고객이 훨씬 많다. 커피숍 매장에서도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이어 “플라스틱 줄이기 에코 인증제를 도입하는 등 모든 국민이 쉽게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전국캠핑족들, 대전의 매력에 빠져든다
  2. '한글날 경축식', 행정수도 세종시서 개최 안되나
  3. 24일 대전시 국감... 내년 지선 '전초전' 촉각
  4. 579돌 한글날, 대전시청 광장에 울려 퍼진 한글 사랑
  5. 2027년, 세종에 한글미술관 문 연다
  1. 최충규 대덕구청장,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목소리 청취 나서
  2. 한산한 귀경길
  3. 579돌 한글날…대전서 울려퍼진 ‘사랑해요, 한글’
  4. 긴 연휴 끝…‘다시, 일상으로’
  5. '포스트 추석' 충청 정가… 본격 지선 체제 돌입

헤드라인 뉴스


한글날 정부 주재 경축식, 내년에는 세종서 개최되길

한글날 정부 주재 경축식, 내년에는 세종서 개최되길

정부의 한글날 경축식마저 수도 서울의 전유물이어야 하나. 올해 제579돌 경축식 역시 서울 몫이 됐다. 이재명 새 정부의 정무적 판단이 아쉬운 10월 9일 한글날이 되고 있다. 국무조정실이 정부세종청사에 있고 김민석 총리 주재의 경축식이었던 만큼, 아쉬움은 더욱 컸다. 새 정부의 첫 경축식이 지방분권의 상징인 세종시에서 열리는 것 자체만으로도 의미는 남다르기 때문이다. 공교롭게도 이날 세종시 대표 축제인 '2025 한글 축제'가 오전 8시 한글런과 함께 막을 올렸다. 김 총리가 이재명 대통령을 대신해 한글날 경축식을 세종시에서 열었..

[`무주공산` 제2중앙경찰학교, 어디로] 정치적 이해득실 따지다 제2중경 놓칠라
['무주공산' 제2중앙경찰학교, 어디로] 정치적 이해득실 따지다 제2중경 놓칠라

1. 1년 넘게 이어진 유치전, 현주소 2. 치열한 3파전… 최적지는 어디? 3. '왜 충남인가' 수요자의 의견은 4. 단일화 여론… 미동 없는 정치권 제2중앙경찰학교 1차 후보지 3곳 가운데 충남 아산이 입지 여건에서 뚜렷한 우위를 보이고 있지만 충남 내부의 단일화 논의는 좀처럼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지역 정치권이 이 문제에 사실상 침묵하면서 단일화 논의가 표류할 가능성까지 제기된다. 이에 지역 정치권의 시선이 내년 지방선거에 쏠려있어 정치적 이해득실을 따지는 것 아니냐는 비판도 거세지고 있다. 앞서 1일 김태흠 충남지사는..

국토부 서울·대전·부산·경기 원룸촌 조사… 허위·과장 의심광고 321건
국토부 서울·대전·부산·경기 원룸촌 조사… 허위·과장 의심광고 321건

청년층 거주 비율이 높은 대학가 원룸촌 부동산 매물 중 허위·과장 의심 광고가 321건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토교통부는 10일 전국 대학가 원룸촌 10곳을 대상으로 인터넷 허위매물 광고를 점검한 모니터링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는 7월 21일부터 8월 22일까지 약 5주간 진행했으며, 대상 지역은 서울 5곳, 대전 1곳, 부산 2곳, 경기 1곳 등 10곳이었다. 대전의 경우엔 유성구 온천2동이 대상이었다. 네이버 부동산, 직방, 당근마켓 등 온라인 플랫폼과 유튜브, 블로그, 카페 등에 올려진 중개 대상물 표시·광고 등 1100..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치워야 할 생활쓰레기 ‘산더미’ 치워야 할 생활쓰레기 ‘산더미’

  • 579돌 한글날…대전서 울려퍼진 ‘사랑해요, 한글’ 579돌 한글날…대전서 울려퍼진 ‘사랑해요, 한글’

  • 긴 연휴 끝…‘다시, 일상으로’ 긴 연휴 끝…‘다시, 일상으로’

  • 한산한 귀경길 한산한 귀경길